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3/26 20:19:57
Name Croove
출처 지식인사이드 채널
Subject [기타] 아주대 병원 정경원 권역외상 센터장 인터뷰
요약
1. 중증외상센터(드라마) 이후 니가 항문이냐? 질문 많이 받는데
: 맥락은 비슷한데 난 항문은 아니다(혈관외과 출신이다)

2. 사고가 심하게 나면 의식이 있었더라도 "제발!" 119부터 신고해라
(거의 대부분 보험부터 부르다 의식을 잃으신다고)

3. 경기남부(아주대) 제외한 나머지 병원의 현실은 참혹하다

4. 바퀴2개인거 안탐

5. 노인들 골반,대퇴골(화장실 등에서 넘어져서 발생) 골절은 노인들 에게는 아주 위험하다
: 예방이 필요하고 다치셨으면 빨리 119 불러라

1편


2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3/26 20:37
수정 아이콘
이분이 .. 이국종교수님이 목숨을 줄만큼 고마워하는 하나밖에없는 제자이자 동료이자 그렇다고 알고있습니다..

심지어 교수님 책 골든아워 첫장에 "정경원에게" 라고 박혀있어요
25/03/26 20:41
수정 아이콘
제 지인분도 애가 크게 아프셨는데 소아 중환자실 받아주는곳이 경기에서 아주대뿐 이었다더라구여. 경기권에서 큰 역할 해주는듯
25/03/26 21:15
수정 아이콘
외상센터와 응급센터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다른 곳입니다.
25/03/26 21:17
수정 아이콘
그냥 아주대 나온김에 칭찬 해보고 싶었습니다
25/03/26 21:20
수정 아이콘
칭찬은 들어야 머땅한 곳이기는 하나 그만큼 주변에서 바라는 것도 많고 부담도 많아서... 그냥 전국 수십개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하나로만 취급해줬으면 좋겠습니다. 
25/03/27 07:34
수정 아이콘
마네님도 응급의로 기억하는데… 이기회를 빌어 수고하신다는 말씀 전하고 싶네요. 
25/03/27 08:59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어쩌다보니 전공의도 경기서남권역센터 중 한 군데에서 수료하고, 전문의 따고 첫 직장으로 원댓글에서 언급된 또다른 경기서남권역센터를 선택하고.. 지금은 서울에 세팅된 지 얼마 안된 권역센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일할 때 정말 빡세지만 쉴 땐 전화조차 거들떠보지 않아도 되는 라이프스타일 때문에 선택한건데 그건 정말 일부만 본거였고... 나이와 경력이 차고 권역센터의 역할이 더 커지고 지역사회나 각 유관기관 심지어는 병원 내에서도 응급의학과의 역할이 커져가니 듀티가 아닐 때에도 뭔가 할 일이 점차 많아지는게 만만치않기는 한데, 뭐 아직까진 재미로 합니다. 원래 은은한 똘끼가 있어서 남아있는 거 같기는 한데 언제까지 이러고 있을진 잘 모르겠네요.
25/03/27 09:15
수정 아이콘
똘끼.. 인정입니다. 
네파리안
25/03/26 20:49
수정 아이콘
자전거도 안된다는 말인가
25/03/27 09:11
수정 아이콘
네 영상에선 자전거도 안탄다고 합니다
네파리안
25/03/27 09:25
수정 아이콘
아 그쵸 오토바이는 안타는게 맞는거 같은데 자전거는 타도 되는거 아닐까 해서
근데 한강에서 클릿슈즈로 타시는 분들 자전거채로 날라가는거 몇번 보긴해서 위험성은 알고있었지만
의사선생님이 안탈정도라니 슬프군요.
25/03/27 09:38
수정 아이콘
의사도 자전거 많이 탑니다.
안전장비 하시고 속도 잘 지키시고 타시면 되죠.
25/03/26 20:54
수정 아이콘
거동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희 할머니도 대퇴골 골절로 치료 후에도 예전처럼 자유롭게 걷지 못하게 되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의욕과 기력, 식욕을 잃으시더라고요...
25/03/26 22:44
수정 아이콘
그쵸 노인분들 다쳐서 누우시는 순간부터 전반적인 건강이 안좋아지시더군요
병리학적자세
25/03/26 22:54
수정 아이콘
걷고 못 걷고의 차이가 1차적으로 크고
앉고 못 앉고의 차이가 또 크게 납니다.
일단 앉는자세가 힘들어지는 순간부터는
폐흡인 가능성이 훨씬 높아져요.
설탕물
25/03/27 00:37
수정 아이콘
크크 요약해주시니 참 좋은데요. 저희 할머니도 화장실에서 넘어지신 후 대퇴골 골절? 이셨다 그 후에 못일어나셨어요... 몇 년 됐네요 이것도.
o o (175.223)
25/03/27 01:25
수정 아이콘
진짜 아흔 넘기시고도 건강하셨는데 골절 한번 터지고 순식간에 약해지시더라구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3/27 01:34
수정 아이콘
조부모 네분중 교통사고, 암으로 돌아가신 두분을 제외한 나머지 두 분은 모두 골절로 쓰러진후 요양원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아빠도 추락사고로 돌아가시고 지금은 엄마만 남았는데, 마주칠때마다 넘어지지 마라 넘어지는거 조심하라고 노래를 합니다.
슬이아빠
25/03/27 04:47
수정 아이콘
알려주셔서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25/03/27 08:40
수정 아이콘
5번은 노인들 돌아가시는 정말 일반적인 테크트리입니다.
낙상->고관절 골절->거동불가->장기입원후 폐렴 등 합병증으로 사망
모리건 앤슬랜드
25/03/27 10:14
수정 아이콘
OS가 바이탈과인 이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4704 [유머] 충격과 공포의 2:1 결말 (나는솔로 스포) [7] 나미르10256 25/04/24 10256
514703 [유머] 백종원식 땔나무 구하는 법 [18] 나미르11819 25/04/24 11819
514702 [LOL] 태윤 근황 [24] 카루오스9007 25/04/24 9007
514701 [서브컬쳐] 10 년이나 뒤따라 준 메이드를 해고하는 만화.manga [4] 유머8080 25/04/24 8080
514700 [유머] 그래도 트럼프가 대단하다 평가 받는 이유 [7] 길갈10728 25/04/24 10728
514699 [기타] 대륙의 "컬리넌" 지커 9X [9] a-ha7847 25/04/24 7847
514698 [연예인] 이세계 페스티벌 근황 [103] 슬로15731 25/04/24 15731
514697 [게임] PGR유저들은 이미 죽었다는 신작 게임 설정 [30] 유머9405 25/04/24 9405
514695 [유머] 스시는 대체 뭐가 문제야? [10] 공기청정기11210 25/04/24 11210
514694 [유머] It’s truly awful that Korea is being blocked by Bethesda [2] 된장까스7630 25/04/24 7630
514693 [연예인] 할머니 정정하시고, 노래도 잘 하시네요 [8] Timeless9673 25/04/24 9673
514692 [유머] 마비노기 고인물의 능력 [6] 두드리짱7676 25/04/24 7676
514691 [유머] 민초를 먹을때마다 레벨업?? 이거 완전 사기잖아. [10] 동굴곰10113 25/04/24 10113
514690 [기타] 아이를 안낳는 이유가 나왔습니다. [266] Lz20027 25/04/24 20027
514689 [게임] 가로우 공식대회 상금 발표 [18] STEAM8561 25/04/24 8561
514688 [기타] 세대별로 갈리는 맛스타 [28] 카루오스11349 25/04/24 11349
514687 [기타] 운전할 때 의외로 신경쓰이는거 [7] 윌슨 블레이드10827 25/04/24 10827
514685 [기타] 일본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 [44] a-ha13580 25/04/24 13580
514684 [게임] 오블리비언 한국 지역락을 한 토드 하워드를 찬양합니다 [2] STEAM10670 25/04/24 10670
514683 [유머] 뭐냐 이건....신챔이야? [6] Myoi Mina 12629 25/04/24 12629
514682 [게임] 퍼디의 5월 업데이트 예정이라는 중요사항 [4] 묻고 더블로 가!7858 25/04/24 7858
514681 [유머] 정찬성 vs 할로웨이 진심 펀치머신 대결 승자는? [10] EnergyFlow9013 25/04/24 9013
514680 [서브컬쳐] 혼자 다른 장르를 찍는 원피스 캐릭터 [11] 두드리짱10223 25/04/23 102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