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10 16:51:49
Name a-ha
File #1 1.jpg (330.2 KB), Download : 143
File #2 2.jpg (244.6 KB), Download : 139
출처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5/02/08/PL5TSGK6GNDKHFCE7YNZ4LPWSU/
Subject [기타] 과학 분야 세계 최상위 대학교




조선일보 기사에 나온 지표입니다. 네이처를 발행하는 스프링거 네이처 출판사가 발표하는 "2024 네이처 인덱스" 자료라고 하네요. 이걸 보니까 중국이 과학 분야에 어마어마하게 투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0 16:53
수정 아이콘
조금 전에 자게에 더 상세하게 올라왔죠.
바부야마
25/02/10 16:54
수정 아이콘
작년 6월 발표라고 하네요. 8개월만에 이슈화가 되는군요.
에스콘필드
25/02/10 16:56
수정 아이콘
중국 대단하네요~
@user-ak23f7kgkz
25/02/10 17:05
수정 아이콘
중국 대단하다 생각하고 다시보니 서울대 54위, 카이스트 76위...
이게 더 심각하군요.
사비알론소
25/02/11 10:13
수정 아이콘
국가 규모와 등록금 생각하면 딱히 심각하진 않습니다 크크
기준치가 너무 높을 뿐
김유라
25/02/10 17:05
수정 아이콘
다른데서 같은 글 본 거에서는,

결론은 중국이 편법(?) 느낌으로 뻥튀기친거라 MSG가 좀 쳐진 것이긴 하지만, MSG 치는 것도 실력이라 무시무시한거다

이런 느낌이더라고요
25/02/10 17:33
수정 아이콘
저기에 더해 미국 영국 등 다른 나라에 유학간 중국인도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죠. 학회가서 자기들끼리 관화로 이야기하는 걸 본 적 있는데...
25/02/10 17:09
수정 아이콘
이과 칭화대 문과 북경대도 옛말이군요
25/02/10 17:1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드라마 주인공은 의대생인데, 중국 드라마 주인공은 공대생이라 들었습니다.
옥동이
25/02/10 19:1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카이스트 드라마 있었던적이 있었는데 격세지감이네요 어렷을적 장래희망 상위권에 항상 과학자 있었는데 크크
25/02/10 17:20
수정 아이콘
불현듯 떠오르는 초전도체...
만약 성공했다면 저기에 올라갔을까요?
탑클라우드
25/02/10 17: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도 영화를 봐도 과학자, IT 스타트업 CEO 등이 정말 존중받고 있음이 느껴지더라구요.
우리는 일단 이과생이 공부를 잘하면 의대를 가니...

예전에 직장 동료 중 의대가 유명한 미국의 J대를 나온 친구 이야기를 들었는데,
미국도 마찬가지라고 하긴 하더라구요.
1학년 입학하면 전교생이 다 자신이 의대생이 될거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하는데,
막상 과가 나뉠 때 즈음엔 그 중에서도 정말 선택된 소수만이 의대를 간다고...

참고로 그 친구는 응용수학을 전공하고 퇴직연금을 설계하는 일을 하며 부를 쌓았...
나는 뭐하고 있냐... 그땐 같은 주니어였는데...
25/02/10 18:26
수정 아이콘
카이스트가 왜 낮은거지?
김건희
25/02/10 19:36
수정 아이콘
상해교통대가 복단대를 이겼다는 건데, 이건 중국 사람들도 쉽게 못 믿을 것 같은데요?
無欲則剛
25/02/10 19:56
수정 아이콘
교통대는 진즉에 복단대를 라이벌로 안 생각할텐데…..
김건희
25/02/10 19:58
수정 아이콘
아 교통대가 복단대를 진즉에 넘어섰다는 뜻인가요?
無欲則剛
25/02/10 22:36
수정 아이콘
그렇게 알고있습니다.
김건희
25/02/11 06:2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2084 [유머] 사람들이 도산대로 새로 들어온 건물소개영상에 불편해하는 이유 [9] 김삼관8145 25/02/17 8145
512083 [서브컬쳐] 죠죠 7부 스틸볼런의 애니화가 극한의 난이도인 이유. [22] 캬라4919 25/02/17 4919
512082 [유머] 여자친구가 놀이터 데이트를 좋아하는 이유 [8] EnergyFlow8506 25/02/17 8506
512081 [기타] 미키17 로튼토마토 순조로운 출발 [8] EnergyFlow6110 25/02/17 6110
512080 [기타] 위기의 인텔을 살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 [23] Lord Be Goja6835 25/02/17 6835
512079 [기타] 자동차로 억만장자된 사람의 기이한 세계관 [15] Lord Be Goja9614 25/02/17 9614
512078 [유머] 말같지도 않은 법안 발의로 어그로 끄는 건 세계 공통! [10] 깃털달린뱀7319 25/02/17 7319
512077 [동물&귀욤] 고양이의 흉폭함 [11] Lord Be Goja5517 25/02/17 5517
512076 [기타] 그래픽카드 가격이 더 비싸진 느낌이 드는 이유 [11] 길갈6063 25/02/17 6063
512075 [기타] 머글용 그래픽카드 근황 [22] Lord Be Goja6708 25/02/17 6708
512074 [연예인] 어제부터 화제가 되고있는 김신영의 플레이브 관련 발언 [194] EnergyFlow12444 25/02/17 12444
512073 [유머] 환장하네...초밥 시켰더니 이렇게옴 [25] Myoi Mina 9944 25/02/17 9944
512072 [기타] 갑진년의 흉참한 조합 [6] 전자수도승7878 25/02/17 7878
512071 [유머] 전국 최강의 미쳐버린 가성비의 식당 [53] 홈스위트홈13712 25/02/17 13712
512070 [서브컬쳐] 여자친구랑 죠죠 보는 만화 [15] 퍼블레인6992 25/02/17 6992
512069 [서브컬쳐] 어과초 4기 결정 [34] STEAM8003 25/02/16 8003
512068 [기타] 의외로 개꿀이 아니라는 스타벅스 건물주 [59] 깃털달린뱀13089 25/02/16 13089
512067 [게임] 팝니다 스파6를 정상화한 마이 [10] STEAM8117 25/02/16 8117
512066 [유머] 이번에 큰 거 들고 온 치지직 [25] 길갈11421 25/02/16 11421
512065 [기타] 프라모델 디테일 대결 [4] 톰슨가젤연탄구이6628 25/02/16 6628
512064 [기타] . [34] 삭제됨12984 25/02/16 12984
512063 [LOL] 5꽉의 사나이의 전설은 계속된다. [16] 카루오스6797 25/02/16 6797
512062 [LOL] 5세트 피넛의 한마디 [4] 카루오스7076 25/02/16 70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