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1/24 10:42:17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4f930cc890ae5d8b3bd043c6ac53bd3e.jpg (339.3 KB), Download : 31
File #2 6493827c420a28da64f34ebbbaadb6c9.jpg (105.7 KB), Download : 32
출처 네이버
Link #2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309143?ntype=RANKING
Subject [기타] 전기료 지역별 차등화 내년도입





전기료 차등 도입은 필요하다고 봤었는데 되긴되네요

전력 자급률 100%를 기준으로 했을때 인천과 부산은 저렴해지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멸천도
25/01/24 10:44
수정 아이콘
누가 그러던데 인천은 경기도랑 묶여서 할인이 안될꺼라고...
25/01/24 10:48
수정 아이콘
행정구역 별로 나눠서 진행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렇게 하면 인천의 불만이 너무 많을 것 같네요
구름달
25/01/24 13:16
수정 아이콘
1차안이 수도권 비수도권 지방 이런식으로 크게 묶였는데, 당연히 반발이 많아서 추가로 세분화해서 차등화 추진하고 있는겁니다.
포의부하
25/01/24 10:45
수정 아이콘
이야 이렇게 보니 한국 가격이 엄청나게 저렴하네요. 괜히 한전이 죽는소리 했던게 아니었네요
에이펙스
25/01/24 11:59
수정 아이콘
영하 20도 영상 35도 왔다갔다 하는 나라에 집마다 냉장고 두개씩 있죠. 저렴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25/01/24 23:13
수정 아이콘
오히려 반대죠. 전기세가 싸니까 집집마다 냉장고를 두 개씩 돌리고 있죠. 막상 열어보면 있는지도 잊고 있는 장기보관품이 한가득. 미국처럼 마트가 멀어서 한꺼번에 쟁여 놓고 있어야만 하는 나라도 아니고, 동네마다 마트가 있는 나라에서 집집마다 냉장고 두 개씩 돌리는 것은 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김장김치 저장용이면 또 이해가 가지만, 요샌 김장하는 집도 별로 없고.)
25/01/24 10:46
수정 아이콘
대전은 충남이랑 지역 연합을 강화한다던데, 이런데서는 좀 효용을 누리려나요?

서울은 빼박이고, 광주, 대구가 어떻게 될지 궁금하군요.
25/01/24 14:17
수정 아이콘
대구도 이미 경북이랑 통합 추진하고 있죠
깃털달린뱀
25/01/24 10:48
수정 아이콘
기사 보니까 이쪽은 소매전기네요. 도매는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권 3분할이라 인천이 손해...
벌점받는사람바보
25/01/24 10:49
수정 아이콘
수도권만 아니면 발전소 꽤있을줄 알았는데 아니네용
꿈트리
25/01/24 10:55
수정 아이콘
내륙지방은 냉각수가 없어서 발전소 놓기 힘들죠.
25/01/24 10:56
수정 아이콘
대형 발전소(화력, 원자력)는 냉각수를 구하기 용이한 해안가에 지어지기 마련이라...
25/01/24 10:53
수정 아이콘
궁여지책 같긴한데 지금도 적자가 엄청난 상태라 더 저렴해지진 않을것 같고 해당건을 기준으로 할증되겠네요.
날씬해질아빠곰
25/01/24 10:57
수정 아이콘
울산이 자급율이 100%가 안된다는게 신기하네요?
거기 발전소에서 서울로 보내는 송전선로 한참 건설중일텐데...
영양만점치킨
25/01/24 11:01
수정 아이콘
고리 원자력발전소와 월성 원자력 발전소가 울산과 가깝지만 각각 부산과 경주에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요. 화력 발전소가 있지만 쓰는 양이 많으니 자급률이 100이 안되나 봅니다.
25/01/24 11:16
수정 아이콘
공업도시라 전력소비가 많고 월성과 고리가 울산과 접경지대긴 한데 일부 호기 빼면 경주 부산 소속이라...
동구밖과수원
25/01/24 12:50
수정 아이콘
공장들이 원체 많으니.. 아마 지금 새로 짓는것들 가동 시작하면 100 가까이 될겁니다
무테안경
25/01/24 14:29
수정 아이콘
새울원전은 울산입니당 
뒹굴뒹굴
25/01/24 11:09
수정 아이콘
서울 살지만 지금처럼 전기를 다른 지역에 맞겨 놓고 싸게 쓰는건 문제가 있죠.
강남 또는 여의도 SMR도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아들뭐하니
25/01/24 11:19
수정 아이콘
발전비용과 송전비용 나누어서 잘 적용해야죠.
덴드로븀
25/01/24 11:21
수정 아이콘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122023008033
[한전 ‘204조원’ 부채 누구 때문인데…산업계 전력직접거래 흐름에 “속타네”] 2025.01.22
전력당국, SK어드밴스드 전력직접거래 요청 가결 임박
한전 강력 반대, 그동안 최저요금 최대 수혜자는 산업계

한전 21~23년 적자 : 43조원
[한전 총부채 : 204조원]

<2023년 기준 용도별 전기사용 비중>
산업용 53%
일반용 24%
주택용 1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2290?sid=101
["한국전력, 4분기 실적 예상치 웃돌 전망"-한화] 2025.01.15.
2024년 영업이익 : 9조, 순이익 4조원 예상
Zakk WyldE
25/01/24 11:47
수정 아이콘
당진 대기질 생각하면 전기세 진짜 싸게 해줘야 할듯요?
25/01/24 11:52
수정 아이콘
좋네요. 서울이 더 비싼 비용을 내는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몽키매직
25/01/24 12:05
수정 아이콘
서울은 비싸고 지방은 싸게 하는 건 합리적으로 보이는데,
지방끼리는 행정구역 경계선 차이로 발전소의 공해 피해는 받으면서 전기료 혜택은 못 받는 사례가 꽤나 많을 것으로 보여서 이 부분은 조율이 좀 되어야...
친친나트
25/01/24 12:16
수정 아이콘
행정구역, 자치단체 단위로 나누는걸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는가 모르겠습니다.
설탕물
25/01/24 12:19
수정 아이콘
서울 살긴 하는데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서울 사는데 메리트가 커서 어느정도 차등화 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전 적자도 해결을 해야되겠고요. 다만 누진제 할때 단순 가구 수가 아니라 세대원 수 봐서 조절해야 적절하지 않나 싶은..
아이군
25/01/24 12:22
수정 아이콘
부산 생각하면 서울 근처에도 원전 짓긴 지어야 한다고 봅니다.
25/01/24 12:38
수정 아이콘
광역시들이 대체적으로 작은건 이해되는데 그 사이에 충북이 있는건 재밌네요.댐 설치할 곳이 없나?
25/01/24 12:52
수정 아이콘
수력은 발전용량 한계가 크죠. 발전용량이 큰 화력 원자력은 대부분 냉각수 수급 문제로 해안가에 짓고.
25/01/24 1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곧 음성에 준공되는 복합발전소를 제외하면 출력이 괜찮게 나오는 유닛자체가 없습니다.
그리고 국내 수력발전 용량은 화력이나 원자력에 비하면 쥐꼬리라고 봐도 무방해서..
닉네임바꿔야지
25/01/24 12:57
수정 아이콘
대구 경북 특별시니 뭐니 하던게 설마 이것도 있었나
VictoryFood
25/01/24 13:06
수정 아이콘
광역단체 기준으로 하면 말이 많을테고 기초단체 기준으로 차등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다람쥐룰루
25/01/24 13:33
수정 아이콘
조력발전소 근처에 살면 전기료가 싸질까요
탑클라우드
25/01/24 14:31
수정 아이콘
저도 한국 출장가면 서울 집에 묵지만, 서울은 전기세 올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협오 시설이라며 서울로 오는 중간에 송전 시설 설치도 어려운데,
지방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지방과 동일한 가격으로 사용하는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살려야한다
25/01/24 15:26
수정 아이콘
많이 낼 의향 있으니 올려주세요
25/01/24 21:28
수정 아이콘
오 충남?
Chrollo Lucilfer
25/01/27 09:27
수정 아이콘
국내 대용량 석탄화력 발전소가 충남에 집중 되어 있습니다. 발전사별 코어사업소도 충남에 많아요. 태안, 당진, 보령 등. 수도권의 막대한 전력수요를 상당 부분 충남에서 충당 하고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492 [유머] 곧 죽어도 이 케이스만 쓰는 사람들 있음...jpg [16] 김치찌개10291 25/02/03 10291
511491 [기타] 트럼프가 게임체인저인 이유 [4] Lord Be Goja8004 25/02/03 8004
511490 [기타] '외국인이 보는 한국' 이런거 다 쓸모없는 이유 [1] Lord Be Goja9146 25/02/03 9146
511489 [유머] 휜 벽에 맞춰 합판을 자르는 방법.shorts [3] VictoryFood7409 25/02/03 7409
511488 [기타] 영화 '메간' 후속작이 나오네요. [9] This-Plus8440 25/02/03 8440
511487 [유머] 개원 가능한 재력있는 의사신랑감을 원하는 지방대출신 유치원선생님 [33] INTJ11439 25/02/03 11439
511486 [유머] 아기 선물로 운동화 선물이 좋은 이유 [2] 길갈9708 25/02/03 9708
511485 [유머] SNS 에서 7% VS 93% 으로 갈렸다는 주제 [39] INTJ10811 25/02/03 10811
511484 [유머] 맥도날드 VIP 카드 [16] Croove11748 25/02/03 11748
511483 [기타] 바티칸 시국의 영토 및 역외소유지 지도 [6] 삭제됨8836 25/02/03 8836
511482 [방송] 배우 김원해 의외의 스킬 [8] Croove12358 25/02/03 12358
511481 [기타] 의외로 집에서 날마다 해먹기에는 조금 부담스러운 음식 [20] Lord Be Goja11929 25/02/03 11929
511480 [유머] 똑똑해진 트럼프 지지자들.jpg [41] 캬라16645 25/02/03 16645
511478 [유머] 조회수 천만 돌파한 성기훈 얼음송 [14] Davi4ever10831 25/02/03 10831
511477 [유머] 불매운동시작하는 빨간국가... [52] 유머12391 25/02/03 12391
511476 [유머] 지폐를 훼손해서 만든 굿즈를 파는 정신나간 업체 [46] VictoryFood12190 25/02/03 12190
511475 [유머] 크리스토퍼 놀란경 신작 영화 근황 [27] 껌정11387 25/02/03 11387
511474 [게임] 명암이 극명하게 갈려버린 국산 미소녀 게임들 [17] 묻고 더블로 가!8883 25/02/03 8883
511473 [연예인] [강한후방주의] 점점 더 강해진 칸예 부인 의상 [39] VictoryFood14898 25/02/03 14898
511471 [게임] 25년 5월 8일 발매되는 신작 게임 [13] 산밑의왕8718 25/02/03 8718
511470 [서브컬쳐] 세 배 빠른 [7] BTS8917 25/02/03 8917
511469 [게임] 이게 로스터 업데이트지 뭔 신작이냐 소리를 매년듣던 게임 근황 [8] Lord Be Goja8774 25/02/03 8774
511468 [유머] 쿠팡에서 미에로화이바 12병을 주문했다 [39] VictoryFood11911 25/02/03 119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