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1/24 10:42:17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4f930cc890ae5d8b3bd043c6ac53bd3e.jpg (339.3 KB), Download : 31
File #2 6493827c420a28da64f34ebbbaadb6c9.jpg (105.7 KB), Download : 32
출처 네이버
Link #2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309143?ntype=RANKING
Subject [기타] 전기료 지역별 차등화 내년도입





전기료 차등 도입은 필요하다고 봤었는데 되긴되네요

전력 자급률 100%를 기준으로 했을때 인천과 부산은 저렴해지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멸천도
25/01/24 10:44
수정 아이콘
누가 그러던데 인천은 경기도랑 묶여서 할인이 안될꺼라고...
25/01/24 10:48
수정 아이콘
행정구역 별로 나눠서 진행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렇게 하면 인천의 불만이 너무 많을 것 같네요
구름달
25/01/24 13:16
수정 아이콘
1차안이 수도권 비수도권 지방 이런식으로 크게 묶였는데, 당연히 반발이 많아서 추가로 세분화해서 차등화 추진하고 있는겁니다.
포의부하
25/01/24 10:45
수정 아이콘
이야 이렇게 보니 한국 가격이 엄청나게 저렴하네요. 괜히 한전이 죽는소리 했던게 아니었네요
에이펙스
25/01/24 11:59
수정 아이콘
영하 20도 영상 35도 왔다갔다 하는 나라에 집마다 냉장고 두개씩 있죠. 저렴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25/01/24 23:13
수정 아이콘
오히려 반대죠. 전기세가 싸니까 집집마다 냉장고를 두 개씩 돌리고 있죠. 막상 열어보면 있는지도 잊고 있는 장기보관품이 한가득. 미국처럼 마트가 멀어서 한꺼번에 쟁여 놓고 있어야만 하는 나라도 아니고, 동네마다 마트가 있는 나라에서 집집마다 냉장고 두 개씩 돌리는 것은 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김장김치 저장용이면 또 이해가 가지만, 요샌 김장하는 집도 별로 없고.)
25/01/24 10:46
수정 아이콘
대전은 충남이랑 지역 연합을 강화한다던데, 이런데서는 좀 효용을 누리려나요?

서울은 빼박이고, 광주, 대구가 어떻게 될지 궁금하군요.
25/01/24 14:17
수정 아이콘
대구도 이미 경북이랑 통합 추진하고 있죠
깃털달린뱀
25/01/24 10:48
수정 아이콘
기사 보니까 이쪽은 소매전기네요. 도매는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권 3분할이라 인천이 손해...
벌점받는사람바보
25/01/24 10:49
수정 아이콘
수도권만 아니면 발전소 꽤있을줄 알았는데 아니네용
꿈트리
25/01/24 10:55
수정 아이콘
내륙지방은 냉각수가 없어서 발전소 놓기 힘들죠.
25/01/24 10:56
수정 아이콘
대형 발전소(화력, 원자력)는 냉각수를 구하기 용이한 해안가에 지어지기 마련이라...
25/01/24 10:53
수정 아이콘
궁여지책 같긴한데 지금도 적자가 엄청난 상태라 더 저렴해지진 않을것 같고 해당건을 기준으로 할증되겠네요.
날씬해질아빠곰
25/01/24 10:57
수정 아이콘
울산이 자급율이 100%가 안된다는게 신기하네요?
거기 발전소에서 서울로 보내는 송전선로 한참 건설중일텐데...
영양만점치킨
25/01/24 11:01
수정 아이콘
고리 원자력발전소와 월성 원자력 발전소가 울산과 가깝지만 각각 부산과 경주에 있어서 그렇지 않을까요. 화력 발전소가 있지만 쓰는 양이 많으니 자급률이 100이 안되나 봅니다.
25/01/24 11:16
수정 아이콘
공업도시라 전력소비가 많고 월성과 고리가 울산과 접경지대긴 한데 일부 호기 빼면 경주 부산 소속이라...
동구밖과수원
25/01/24 12:50
수정 아이콘
공장들이 원체 많으니.. 아마 지금 새로 짓는것들 가동 시작하면 100 가까이 될겁니다
무테안경
25/01/24 14:29
수정 아이콘
새울원전은 울산입니당 
뒹굴뒹굴
25/01/24 11:09
수정 아이콘
서울 살지만 지금처럼 전기를 다른 지역에 맞겨 놓고 싸게 쓰는건 문제가 있죠.
강남 또는 여의도 SMR도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아들뭐하니
25/01/24 11:19
수정 아이콘
발전비용과 송전비용 나누어서 잘 적용해야죠.
덴드로븀
25/01/24 11:21
수정 아이콘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122023008033
[한전 ‘204조원’ 부채 누구 때문인데…산업계 전력직접거래 흐름에 “속타네”] 2025.01.22
전력당국, SK어드밴스드 전력직접거래 요청 가결 임박
한전 강력 반대, 그동안 최저요금 최대 수혜자는 산업계

한전 21~23년 적자 : 43조원
[한전 총부채 : 204조원]

<2023년 기준 용도별 전기사용 비중>
산업용 53%
일반용 24%
주택용 1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2290?sid=101
["한국전력, 4분기 실적 예상치 웃돌 전망"-한화] 2025.01.15.
2024년 영업이익 : 9조, 순이익 4조원 예상
Zakk WyldE
25/01/24 11:47
수정 아이콘
당진 대기질 생각하면 전기세 진짜 싸게 해줘야 할듯요?
25/01/24 11:52
수정 아이콘
좋네요. 서울이 더 비싼 비용을 내는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몽키매직
25/01/24 12:05
수정 아이콘
서울은 비싸고 지방은 싸게 하는 건 합리적으로 보이는데,
지방끼리는 행정구역 경계선 차이로 발전소의 공해 피해는 받으면서 전기료 혜택은 못 받는 사례가 꽤나 많을 것으로 보여서 이 부분은 조율이 좀 되어야...
친친나트
25/01/24 12:16
수정 아이콘
행정구역, 자치단체 단위로 나누는걸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는가 모르겠습니다.
설탕물
25/01/24 12:19
수정 아이콘
서울 살긴 하는데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서울 사는데 메리트가 커서 어느정도 차등화 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전 적자도 해결을 해야되겠고요. 다만 누진제 할때 단순 가구 수가 아니라 세대원 수 봐서 조절해야 적절하지 않나 싶은..
아이군
25/01/24 12:22
수정 아이콘
부산 생각하면 서울 근처에도 원전 짓긴 지어야 한다고 봅니다.
25/01/24 12:38
수정 아이콘
광역시들이 대체적으로 작은건 이해되는데 그 사이에 충북이 있는건 재밌네요.댐 설치할 곳이 없나?
25/01/24 12:52
수정 아이콘
수력은 발전용량 한계가 크죠. 발전용량이 큰 화력 원자력은 대부분 냉각수 수급 문제로 해안가에 짓고.
25/01/24 1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곧 음성에 준공되는 복합발전소를 제외하면 출력이 괜찮게 나오는 유닛자체가 없습니다.
그리고 국내 수력발전 용량은 화력이나 원자력에 비하면 쥐꼬리라고 봐도 무방해서..
닉네임바꿔야지
25/01/24 12:57
수정 아이콘
대구 경북 특별시니 뭐니 하던게 설마 이것도 있었나
VictoryFood
25/01/24 13:06
수정 아이콘
광역단체 기준으로 하면 말이 많을테고 기초단체 기준으로 차등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다람쥐룰루
25/01/24 13:33
수정 아이콘
조력발전소 근처에 살면 전기료가 싸질까요
탑클라우드
25/01/24 14:31
수정 아이콘
저도 한국 출장가면 서울 집에 묵지만, 서울은 전기세 올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협오 시설이라며 서울로 오는 중간에 송전 시설 설치도 어려운데,
지방에서 생산하는 전기를 지방과 동일한 가격으로 사용하는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살려야한다
25/01/24 15:26
수정 아이콘
많이 낼 의향 있으니 올려주세요
25/01/24 21:28
수정 아이콘
오 충남?
Chrollo Lucilfer
25/01/27 09:27
수정 아이콘
국내 대용량 석탄화력 발전소가 충남에 집중 되어 있습니다. 발전사별 코어사업소도 충남에 많아요. 태안, 당진, 보령 등. 수도권의 막대한 전력수요를 상당 부분 충남에서 충당 하고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447 [게임] 요즘 유행하는 어느 게임의 별명 [13] 깃털달린뱀9241 25/02/02 9241
511446 [유머] 에어프라이어 청소법.jpg [42] VictoryFood11193 25/02/02 11193
511445 [유머] 빌런이 히어로의 맨얼굴을 봐도 별 의미없는 이유 [1] 꿈꾸는드래곤7713 25/02/02 7713
511444 [유머] 하나로마트 근황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416 25/02/02 11416
511443 [기타] 나쁜 디자이너, 보통 디자이너, 좋은 디자이너 [25] a-ha9910 25/02/02 9910
511442 [방송] 전국노래자랑 듀오 레전드 [19] 핑크솔져10016 25/02/02 10016
511441 [스포츠] LA 레이커스 프론트실 근황 [17] INTJ10685 25/02/02 10685
511440 [유머] 친구한테 과일 사주고 욕 먹은 썰 [11] 길갈9982 25/02/02 9982
511439 [LOL] 이시각 농심 공트 [3] 카루오스6978 25/02/02 6978
511438 [유머] 눈마새는 대체 무슨 이야기인가요? [30] 동굴곰9209 25/02/02 9209
511437 [연예인] 생긴 것과 입맛이 따로 노시는 분 [17] INTJ9200 25/02/02 9200
511436 [기타] (약후?) 이대로만 자라다오의 적절한 예 [22] 묻고 더블로 가!12401 25/02/02 12401
511435 [LOL] x나 강하게 큰 사나이 스매시 [5] roqur7161 25/02/02 7161
511434 [유머] 국내도입이 시급합니다 [7] DogSound-_-*9219 25/02/02 9219
511433 [기타] 국내 빅5 병원들의 위상 [39] a-ha10472 25/02/02 10472
511432 [텍스트] 2024 한국인 해외여행 목적지 순위 [20] 삭제됨8808 25/02/02 8808
511431 [기타] 거대한 팬쿨러는 가짜 광기 [11] 닉넴길이제한8자7485 25/02/02 7485
511430 [유머] 8090 착샷 [11] 마스터충달8166 25/02/02 8166
511429 [LOL] Dk..강팀상대 전세트승의 비결 [8] Lord Be Goja5970 25/02/02 5970
511428 [기타] 러-우전쟁에 러시아용병으로 참전한 펨코인 [55] INTJ11256 25/02/02 11256
511427 [기타] 은근히 파급력이 강해보이는 딥시크 [3] Lord Be Goja8235 25/02/02 8235
511425 [게임] 우리회사 캐릭만 다 넣어도 망하기 힘들걸?? [11] Lord Be Goja8873 25/02/02 8873
511423 [유머] 인생이 40대부터 실전인 이유.jpg [53] 포상은13458 25/02/02 134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