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1/14 11:56:17
Name 독서상품권
File #1 5.jpg (29.8 KB), Download : 322
출처 디시인사이드 미국 주식 갤러리
Subject [기타] 한국과 일본의 대기업들 직원수 비교 (수정됨)


처음에는 한국이 왜이렇게 일본에 비해 채용을 안할까 했는데

사실 저 자료는 일본은 계열사 전체로 따지니까 저렇게 된거고 한국은 그렇게 안하고 개별회사만 따지니까 저렇게 통계가 나온거라네요

수정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14 11:57
수정 아이콘
하이닉스 3만 2천명이요? 덜덜덜
탑클라우드
25/01/14 12:00
수정 아이콘
한국은 전 세계에서 로봇 도입 비율이 1위 국가이지만,
최근 중국이 무섭게 쫓아온다고 하더라구요.
방가방가햄토리
25/01/14 12:01
수정 아이콘
나라의 총 인구수 차이 자체가 2배인것도 있지 않나요?
독서상품권
25/01/14 12:05
수정 아이콘
그렇게따지면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화웨이 징동 이런 기업들 직원수가 위의 일본을 넘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보다도 많아야겠죠
쵸젠뇽밍
25/01/14 12:52
수정 아이콘
인구 차이보단 협력업체 관련한 차이겠죠.
25/01/14 12: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도요타는 계열사 다 포함하고 현대차는 다 뺐군요. 회계 관련 문제라 그렇게 계산하는게 틀린건 아닌듯한데 암튼...
도요타도 단독 기준 7만 4천명 정도라고 합니다.
현대차도 그룹 다 포함하면 20만명정도 되구요.

ntt는 찾아보니 그룹사가 수백개에 달하는 거대그룹이네요. 그렇게 따지면 삼성그룹도 28만명이네요.
독서상품권
25/01/14 12:0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하긴 일본도 대기업들이 한국 대기업들만큼 계열사 분사 및 상장을 많이 했다고 들었는데 저건 그걸 간과한 자료인듯 하네요
25/01/14 12:07
수정 아이콘
계열사들을 포함한거랑 뺸거랑 비교한거라서........

왜 계열사가 저렇게 쪼개졌냐.. 하면 국장부터 연결되는게 많긴 합니다만
고용 인원만 따지면 맞는 비교는 아닌듯
친친나트
25/01/14 12:11
수정 아이콘
현대차는 그룹단위로 하면 31만명이라네요.
오컬트
25/01/14 12:11
수정 아이콘
코리아..디스카운트가 여기서도...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2
수정 아이콘
확실히 IT기업이 돈을 인원에비해 엄청 버는군요, 네이버가.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3
수정 아이콘
NTT는 닌텐도 같은데, 뭐 포켓몬 만드는 팀하고 이런팀들이 다 합쳐진건가. 어마어마하네요?
독서상품권
25/01/14 12:14
수정 아이콘
그 게임회사 닌텐도하고는 완전히 별개의 회사고 미국으로 따지면 AT&T같은 통신회사입니다
인생잘모르겠
25/01/14 12:16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 ntt가 될려면 틴텐토가 되야되는데 끝이 도군요. ;;;
25/01/14 12:15
수정 아이콘
닌텐도와는 관련없고 한국으로 따지면 KT라 보시면 됩니다. 버블시절에는 전세계 시총1위 먹기도 했던 괴물...
기무라탈리야
25/01/14 13:56
수정 아이콘
딱 KT 포지션 입니다. 원래 통신 관련 공기업인데 민영화 했죠.
프리미어1k
25/01/14 12:16
수정 아이콘
","를 없으니까 읽기 어렵네요..

미국 대기업(주로 IT) 포함해보니, 확실히 인구차이가 느껴지긴 하네요.
그 와중에 nVidia... 하이닉스를 능가!하는 직원수네요.

< 한국 >
1. 현대차 72,000명
2. 기아차 35,000명
3. 삼성전자 127,000명
4. 하이닉스 32,000명
5. 네이버 4,300명

< 일본 >
1. 소니 109,000명
2. 덴소 163,000명
3. 도요타 360,000명
4. 혼다  210,000명
5. NTT  300,000명

< 미국 >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largest_companies_in_the_United_States_by_revenue
1. 월마트 2,100,000명
2. 아마존  1,525,000명
3. 애플  161,000명  
7. 액슨모빌  61,500명
8. 알파벳   182,502명
13. 마이크로소프트  221,000명
40. 테슬라  140,473명
65. nVidia   29,600명
김유라
25/01/14 12:39
수정 아이콘
와 엔비디아 뭔가요 크크크
25/01/14 15:53
수정 아이콘
추천마렵네요;; 저도 나이....때문인지 쉼표 없으면
숫자가 한눈에 인식이 안되네요;;
그렇군요
25/01/14 12:36
수정 아이콘
재벌대기업
아이군
25/01/14 12:44
수정 아이콘
필요한 인원은 사실 비슷하다는 걸 생각해보면, 이 글의 주제는 사실 한국의 하청구조가 너무 복잡하다.... 라고 봅니다..
Far Niente
25/01/14 12:59
수정 아이콘
구분기호 안넣은거부터 빡치는데
본문에 있는 것처럼 회사 하나랑 그룹 전체랑 비교하는 건 뭔 기준인지도 모르겠고
계열사가 왜 많냐 쪼개기 아니냐 하지만 같은 그룹내에 제조 서비스 금융 보험 증권 다 혼재되어 있는데 쪼개기랑 상관도 없고
현대차그룹 내에 있는 회사만 해도 수많은 업종을 영위하는데 업종들간 고용특성도 다르니 그룹내 고용인원을 합치는 것도 아무 의미가 없고
그냥 한국 기업이 어쩌고 저쩌고 국장이 어쩌고 하고 싶은 말에 숫자를 적당히 끼워맞춘 느낌
마그데부르크
25/01/14 20:10
수정 아이콘
일면식
25/01/14 14:26
수정 아이콘
계열사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국가 인구수 대비 대기업 근로자 비율로 보면 한국이 훨씬 높은 것 같네요.
Far Niente
25/01/14 14:58
수정 아이콘
24년 지정 기준 대규모기업집단(그룹 자산총액 5조이상)의 상시종업원수가 1,840,672명이니
임금근로자수 대비 8.4% 정도 되고 경제활동인구수 대비 6.2% 정도 되긴 하네요

근데 나라별로 심지어 통계별로 대기업 기준이 워낙 달라서.. 역시 비교가 어렵죠
(어딘 중소기업 아니면 다 대기업, 어딘 매출기준, 어딘 자산기준..)
우리나라 기준으론 수평확장 안하고 단일기업 또는 소폭 수직계열화해서 자산 3-4조 정도 되는 회사들은 대기업에 잡히질 않습니다
그렇다고 상장 2조원 이상 또는 매출 얼마 이상 잡으면 큰 그룹에 속한 비상장회사들이 잡히지 않고

대기업 일자리 비중 하면 우리나라는 14%다 하는 기사들도 있는데 뭐가 기준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인생잘모르겠
25/01/14 15:41
수정 아이콘
평균연봉은 어디가 제일 높을려나.
미드웨이
25/01/14 16:05
수정 아이콘
국가간 통계는 이래서 함부로 비교하면 안됩니다.

지들끼리 기준이 다른데 그걸 고려안하니 숫자만 보면 이상한 결과가 많이 나오죠.
호머심슨
25/01/14 19:10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 2위와 몇배 차이나던 압도적인 세계 시가총액1위 기업이었던 ntt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865 [기타] 워렌버핏이 손해를 줄인 한수 [14] Lord Be Goja13442 25/01/17 13442
510864 [연예인] 배기성 전성기때 스케쥴 [24] INTJ11171 25/01/17 11171
510863 [기타] 무용론 나온 지 좀 됐지만 여전히 활용되고 있는 것 [52] a-ha14694 25/01/17 14694
510862 [LOL] 한화 응원하러 온 한전드.jpg [18] insane10010 25/01/17 10010
510860 [게임] 이쯤에서 다시보는 스위치 고전소설 [82] 코우사카 호노카11253 25/01/17 11253
510859 [기타] 위고비에 알려진 잘못된 소문 [64] Lord Be Goja14226 25/01/17 14226
510858 [동물&귀욤] 좋은것 [6] 개인의선택8233 25/01/17 8233
510857 [유머] 삭힌 홍어를 먹어본 일본인 후기.jpg [108] 아지매14772 25/01/17 14772
510856 [유머] (우울함 주의) 어린이 프로그램의 테마.mp4 한뫼소10122 25/01/17 10122
510855 [유머] 6,70년대 한국에서도 악명 높았던 것 [40] Myoi Mina 13219 25/01/17 13219
510854 [유머] 오늘 스타쉽 테스트 발사 중 한 장면. CG 아님!!! 역재생 아님!!! [28] 매번같은10945 25/01/17 10945
510853 [서브컬쳐] 술렁술렁거리는 건담 신작 근황 [45] 길갈10339 25/01/17 10339
510852 [유머] "문신 때문에 취직이 안 돼요" [36] Myoi Mina 13403 25/01/17 13403
510851 [기타] 추락하는 스타쉽을 본 일론머스크 [32] 카루오스12965 25/01/17 12965
510850 [게임] 스파6 마이 도발 모션 [12] STEAM8523 25/01/17 8523
510849 [기타] 2025년 SK 하이닉스 신입사원 구성현황 [61] a-ha15918 25/01/17 15918
510848 [기타] S25에서 기본앱들에 추가 된다는 ai 인터페이스 [15] Lord Be Goja11223 25/01/17 11223
510847 [유머] 리플코인 : 내가 너무 늦었지? [44] 캬라13468 25/01/17 13468
510846 [유머] 이 시장도 끝났다는 결정사 매니저 [73] 라민15542 25/01/17 15542
510845 [게임] [약후] 드디어 MAX초필살기를 써버린 마비노기 영웅전 아바타팀 [18] AGRS12698 25/01/17 12698
510844 [게임] (약후) 밝고 건전한 벽람항로 춘절 스킨 [9] 묻고 더블로 가!11571 25/01/17 11571
510843 [유머] 성심당 딸기시루 웨이팅 논란 [65] VictoryFood15879 25/01/16 15879
510842 [유머] 나보다 덩치 큰 사람에게 멱살 잡혔을 때 파훼법 [21] a-ha11709 25/01/16 117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