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2/01 00:38:57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340.0 KB), Download : 610
출처 종묘
Link #2 https://royal.khs.go.kr/ROYAL/contents/R105020000.do?schBdcode=jms&pageType=story&bdProgramCode=storyCtg2#;
Subject [기타] 조선왕조 공식 왕실 족보 계보.jongmyo (수정됨)


1실 태조
(정종 빠짐)
2실 태종
3실 세종
(문종, 단종 빠짐)
4실 세조
(예종 빠짐)
5실 성종
(연산군 빠짐)
6실 중종
(인종, 명종 빠짐)
7실 선조
(광해군 빠짐)
8실 인조
9실 효종
10실 현종
11실 숙종
(경종 빠짐)
12실 영조
13실 정조
14실 순조
15실 문조 (효명세자, 왕 아닌데 들어감)
16실 헌종
17실 철종
18실 고종
19실 순종

연산군, 광해군 말고는 정전말고 영녕전에 모시긴 했지만 어쨌든 조선 공식 족보는 이렇습니다.
같은 항렬에서 왕이 2명 이상이 나오면 1명만 남겼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둥그러미
24/12/01 00:52
수정 아이콘
문종만 조금 더 오래 살았으면 모든게 달라졌을거라고 상상해봅니다
세조 대신 문종 직계가 되었을듯
달푸른
24/12/01 01: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종묘 정전에 신위를 봉안한 조선 왕들의 목록은 "불천위"와 연관된 상황일 뿐, 공식 족보라는 식의 표현은 전혀 맞지 않아보입니다.

조선의 종묘는 5묘 원칙에 따라 창업군주인 태조 + 현재의 왕의 4대조까지를 정전에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 예법이었습니다. 즉 후대로 내려감에 따라 위에서부터 한명씩 정전에서 빠져야 하는데, 태종이 빠질 차례에서 공적이 크다 하여 불천위로 지정하여 영구적으로 옮기지 않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이후에 중요한 업적을 세웠다고 평가받는 왕들을 하나씩 불천위로 지정하게 되는데, 좀 남발한 감이 적잖게 있구요. 그러다보니 정전이 모자르고 그에 따라 자꾸 증축하여 19칸까지 늘어났습니다. 고종 때 왕->황제가 되면서 제후국의 예법에서 황제국에 해당하는 7묘제로 바꿨구요. 정조 이후의 정전에 모신 왕들은 업적이 특별히 없는 경우에도 영녕전에 옮길 단계까지 가기 전에 나라가 망해버리다보니 그대로 정전에 남았습니다.

그래서 종묘 정전의 순서가 족보라는 표현은 정말 말도 안되구요. 뭐. 굳이 말하자면 당대에 높게 평가했던 왕들의 계보 정도라고 할 수 있을테고, 뒤쪽은 빼고 불천위로 모셨던 태조-태종-세종-세조-성종-중종-선조-인조-효종-현종-숙종-영조-정조의 13명이라고 해야 할겁니다. 근데 이마저도 지나치게 남발되었다고 보기에 큰 의미를 두기 어렵습니다. (진성대군-하성군-능양군 라인업은 쫌...)
如是我聞
24/12/01 11:16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15년째도피중
24/12/01 14:37
수정 아이콘
아하. 들은 기억은 있는데 이게 그건 줄은 몰랐네요.
정성스러운 설명 감사합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24/12/01 01:35
수정 아이콘
정종 : 재위기간도 짧고 원래 왕 취급도 못받았으니 인정
문종 : 재위기간 짧았으니 뭐 인정
단종 : 어쨌거나 폐위됐으니 인정
인종 : 몇 달도 못 즉위했으니 인정
연산군, 광해군 : 공식적으로 폐위됐으니 인정
경종 : 재위기간 짧았으니 뭐 인정
명종 : 재위기간도 길었고 폐위도 안 됐고 정통성에 시비가 있던 것도 아닌데 왜...?
24/12/01 01:55
수정 아이콘
재위기간이 길었다고 하나 열 한 살에 즉위해서 대부분을 수렴청정으로 보냈죠.
정전에 자리가 모자랄 때 밀려날 일순위 왕.
EnergyFlow
24/12/01 02:08
수정 아이콘
재임기간이 길기는 했지만... 재임기간 22년 중 20년을 어머니 문정왕후가 사실상 왕으로 활동했다는게 야사도 아니고 실록에 여실히 드러나있는데다가, 끝없는 권신들의 횡포, 조선시대 최대 최악의 도적난이었던 임꺽정의 난 발생, 조선 건국 이후 가장 큰 왜변이었던 을묘왜변(이건 이후에 바로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존재감이 미미해지긴 하지만), 다음 왕이었던 선조가 직계후손이 아닌 방계출신의 입양아들이라 따로 챙겨줄 사람도 없었던 점 등등 여러가지 조건들이 겹치면서 '종묘에 모실만한 훌륭한 임금님'이라는 이미지에서 좀 많이 벗어나있었다는게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무도사
24/12/01 08:29
수정 아이콘
예종: 여기에도 못낄 정도로 존재감이 없어(?) 인정
쵸젠뇽밍
24/12/01 05:22
수정 아이콘
영조까지 고종의 조상 중 왕이었던 사람은 모두 들어가 있고, 정조부터는 고종의 조상이 아닌 사람들까지 모두 들어가 있네요. 아에 빠진 사람이 없음.
재활용
24/12/01 08:23
수정 아이콘
빠짐을 삐짐으로 잘못 봤네요 (정종 삐짐)
이른취침
24/12/01 14:09
수정 아이콘
삐지긴 했을 듯
24/12/01 13:38
수정 아이콘
그럼 학생들 저걸로 다시 외워야하는 거에요?
지니팅커벨여행
24/12/01 15:05
수정 아이콘
세조, 또 당신이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9899 [유머] 미국에서 판권 사간 '복면가왕' 근황 [40] EnergyFlow14023 24/12/20 14023
509898 [기타] 1980년대 신용카드 사용방법 [36] a-ha10870 24/12/20 10870
509897 [게임] 닌텐도 스위치가 미국에서 역대 2번째로 많이 팔린게임기가 됨 [17] Lord Be Goja9162 24/12/20 9162
509896 [게임] AC6 고인물 유저를 자극한 핵쟁이 [6] 서린언니7025 24/12/20 7025
509895 [유머] 생의 감각 (Feat. 카타리나) [11] 79년생9419 24/12/20 9419
509894 [기타] 퇴마록 작가의 히스토리 [48] 퀀텀리프10657 24/12/20 10657
509893 [스타1] 스1 브루드워 프로토스 미션7 빠르게 깨기 [6] 제가LA에있을때8348 24/12/20 8348
509892 [기타] 현대 팰리세이드 가격공개 [50] a-ha11337 24/12/20 11337
509891 [게임] 스팀걸 프로젝트는 이번 겨울 세일이 마지막 [12] 김티모7811 24/12/20 7811
509890 [서브컬쳐] 천룡인은 인간 벌레로 본다면서 왜 [12] 인간흑인대머리남캐8689 24/12/20 8689
509889 [유머] 일본출생 재일교포 조선학교 아쿠자출신 정계진출희망 [2] 김삼관10532 24/12/20 10532
509888 [연예인] "상처 입은 슈퍼맨은 미국을 상징.." [4] 길갈8032 24/12/20 8032
509887 [기타]  미국 보험회사 ceo 암살범 호송사진 [30] insane12063 24/12/20 12063
509886 [유머] 인공지능시대 살아남을 직업들과 사라질 직업들 [48] EnergyFlow11836 24/12/20 11836
509885 [유머] 개망신 당한 썰.txt [14] 수리검10870 24/12/20 10870
509884 [스타1] 역대 스타1 캠페인 미션들 중에 가장 클리어 난이도가 높은 미션은? [24] 독서상품권8599 24/12/20 8599
509883 [음식] 의외로 라면과 잘 어울리는 술 [1] 로켓8406 24/12/20 8406
509882 [유머] 끔찍한 모습의 사진들 [20] TQQQ10241 24/12/20 10241
509881 [기타] 의외로 요즘 시도되는 친환경 재활용 제품 [15] Lord Be Goja8667 24/12/20 8667
509880 [LOL] 아 왜이렇게 빨리끝내나요 IG [13] 무더니8305 24/12/20 8305
509879 [기타] 의외로 더이상 1등 매출기업이 아닌것 [8] Lord Be Goja9900 24/12/20 9900
509878 [게임] 메이플스토리 근황 [8] INTJ6635 24/12/20 6635
509877 [유머] 상남자 vs 하남자 [12] 산밑의왕10516 24/12/20 105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