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1/23 08:31:00
Name a-ha
출처 이종격투기카페
Subject [기타] 미대입시 실기 평가방법 (수정됨)
TVSGEQJ.jpeg
bLAzg6K.jpeg
v1YoQd0.jpeg
0REd0qi.jpeg
Wlku3Mq.jpeg

1. 수백장 그림들을 바닥에 쫙 깔아놓고 먼저 조교들이 미완성 작품들을 1차로 걸러내서 갖다 버림
2. 교수들이 막대기를 들고 작품들 사이를 걸어다니면서 탈락할 작품들을 아래로 쓱 긁어내리면 조교들이 다시 밀대로 싹싹 쓸어가서 폐기함
3. 그렇게 해서 최종 생존할 작품들만 남김. 실기 작품을 완성하는 시간은 약 4~5시간 정도 걸리지만 작품을 평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4초 정도

(이거야 말로 진짜 냉혹한 서바이벌 각축장이로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동원
24/11/23 08:36
수정 아이콘
콧수염 난 분이 흑화할 법 하군요.
스덕선생
24/11/23 08:41
수정 아이콘
미대입시 탈락하고 권총자살한 그분은 사실 오늘날로 치면 X에서 커미션으로만 월 천은 기본으로 버는 성공한 화가죠 크크
흔히 인터넷에서 소실점이 어쩌고 원근법이 어쩌고 하면서 히틀러 그림을 까는데 아마추어 수준은 진작 넘어섰다고 봐야
wersdfhr
24/11/23 10:30
수정 아이콘
그냥 요즘으로 치면 커미션 받는 그림쟁이 정도로만 알았는데 월천급으로 잘버는줄은 몰랐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4/11/23 11:06
수정 아이콘
뭐 유산도 많이 받아서 돈문제는 없었을겁니다...
24/11/23 14:27
수정 아이콘
그건 미대입시탈락부터 자살사이에 했던일때문에
커미션이 월천급이된것아닐까요..
시노자키 아이
24/11/23 10:21
수정 아이콘
세계선이 이것 때문에....
24/11/23 08:37
수정 아이콘
저기서 1차로 휙휙 걸러지는 그림들은 일반인들이 봐도 미완성이거나 실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들입니다. 그냥 지나가면서 봐도 보여요.
24/11/23 08: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데 저렇게 몇 초만 봐도 대부분 걸러내는데 문제 없습니다. 예술작품 평가하듯이 주제, 표현, 개성 등을 보는 게 아니라 말그대로 기본기를 보는 거라.
3,4초만에 걸러낼 안목은 30,40년의 이력이라면 충분하죠.
raindraw
24/11/23 08:39
수정 아이콘
다들 똑같이 입시전문으로 연습해도 차이가 한 눈에 드러나나 봅니다. 하지만 창조성이나 이런 건 보기 힘들 것 같네요.
물론 수능 시험치는 것도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비슷하겠습니다만 좀 더 창조성이 중요한게 현대미술 같아서요.
24/11/23 08:41
수정 아이콘
많은 경우 창조성은 기본기를 토대로 나오는거고, 저 시험은 그 기본기를 보는거죠. 물론 예외적인 경우도 있겠으나 예외를 기준으로 입시를 설계할 수는 없으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24/11/23 08:43
수정 아이콘
그렇다 하더라도 기본기의 중요성이 떨어지진 않는다고 봅니다. 그 피카소도 입체파 그리기 이전에 고전 회화를 마스터한 수준이었으니까요.
파고들어라
24/11/23 08:48
수정 아이콘
미대에서 배우게 되는건 결국 "지금까지 축적된 미술" 이니까요. 그 위에 자기만의 예술을 쌓아 올리는게 작가의 길이고요. (마치 박사 논문처럼)
만약 지금까지와의 미술과 전혀 다른 방식의 미술을 하는 천재가 있다해도 어차피 미대에서 가르칠수 없으니 입시는 떨어지겠죠.
스덕선생
24/11/23 0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 의미에선 오히려 현대미술에 가장 적합한 평가방법이라고 봅니다.
진중권이 조영남 대작 사건에서 현대미술에서 직접 작업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주제의식이나 브랜딩이 핵심이라 한 적 있죠.

그 말은 작품 자체의 가치보단 본인의 이름값이 작품을 평가해준다는거고 기존의 방법론에서 증명하는게 맞죠.

여담) 진중권이 장동민 그림 평가한걸 보고 진중권도 못 알아보는 현대미술 거품이다 라는 결론을 인터넷에서 많이 내리던데
그걸 자세히 분석해보면 진중권은 장동민의 그림에 대해 칭찬 하나 없이 비판만 했고(다만 방송이다보니 순화해서)
가격측정도 물감과 캔버스를 좋은 걸 썼으며 공임이 들어갔으니 딱 그것만큼만 쳐주겠다 수준의 혹평입니다.

그러니까 기본기로 봤을때는 도저히 평가해 줄 수 없는 수준이하지만 방송이니 그렇게 말할 수 없다라고 한 셈이죠.
24/11/23 09:18
수정 아이콘
입시미술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아그리파 같은 걸 떠올리지만 말씀하신 부분을 보는 종류의 실기시험이 따로 있습니다. 2000년대 중반에는 그걸 '발상과 표현'이라고 부르며 주로 산업디자인과 같은 곳에서 봤는데, 지금은 다르게 부를 거 같군요.
24/11/23 1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떤분야든 탄탄한 기본기위에서 창조성이 발현되는 겁니다.
Ai도 충분히 학습한 다음에 그림그리기를 시작했잖아요
한화우승조국통일
24/11/23 13:22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미대도 지원하면 안되죠
혼자 예술해야지
다시마두장
24/11/23 15:31
수정 아이콘
수능이 학교에서의 수학능력을 평가하는 장이듯, 미대 실기도 지원자가 학교의 커리큘럼을 따라갈 수 있느냐를 보는 장이죠.
말하자면 체대에서 기초체력을 평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평가 기준이 기본기가 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봅니다.
갑자기왜이래
24/11/23 08:47
수정 아이콘
입시생들도 작품 수백개 깔아 놓고 고르라면 몇초 안걸려서 다 골라 냅니다 저 안에서 심사 기준들이 있고 그 기준에 부합하는 것들은 비교심사했을때 더 극명하게 들어나거든요 기본기가 최우선이고 그 안에서 입시작들마다 완성도 표현력 같은것들이 나눠지는데 순위를 정한는게 아니라 상위 몇프로를 걸러내는거라 시간오래 안걸리고 금방 끝납니다
모링가
24/11/23 08:54
수정 아이콘
뭐 저런 평가가 있나 싶을수도 있겠지만 저거만한 것도 없을 겁니다
에이펙스
24/11/23 08:59
수정 아이콘
수십년 저렇게 평가 했으니 보는 순간 사이즈 나오는거죠 뭐.
공장에서 pcb 검사하는 분들도 눈으로 순식간에 수백개의 칩중에서 틀어진걸 바로 찾아내시더라구요.
24/11/23 09:00
수정 아이콘
보고서 경진대회를 한다고 치면

일단 분량 오버 미만인거 거르고
강낭콩체 이런거 쓴거 거르고
자간 이상하고 넘버링 잘못한거 거르고
인터넷 구어체 쓴거 거르고

보노보노 거르고

그다음 남은거 평가하는거다라는거죠
24/11/23 09:13
수정 아이콘
강낭콩체가 왜요ㅠㅠ
24/11/23 09:21
수정 아이콘
보고서는 지정 글씨체를 사용해주세요
예쁜게 다인게 아니라구요

이런게 체득되어 있느냐가 선발기준인가 싶네요
달달한고양이
24/11/23 09:29
수정 아이콘
아 강낭콩체로 써진 보고서를 볼 생각을 하니 어쩐지 아득해지네요….크크크크
24/11/23 12:11
수정 아이콘
잡았다 요놈!
jjohny=쿠마
24/11/23 13:48
수정 아이콘
양재와당체를 써야죠.
24/11/23 09:17
수정 아이콘
사실 이력서도 저런식으로 거르지 않을까 싶네요
24/11/23 09:40
수정 아이콘
신입공채 서류 심사 해본적이 있는데, 자소서 하나 보는데 5초에서 10초 걸립니다 흐흐
24/11/23 09:37
수정 아이콘
보노보노 귀여운데요 ㅜ ㅜ
EnergyFlow
24/11/23 09:05
수정 아이콘
마스터 찍은 친구가 저랑 봇 듀오 갔을때 2렙 찍기도 전에 '너 롤 때려쳐라'라고 했던거랑 비슷한걸까요....
불량사용자
24/11/23 09:11
수정 아이콘
사실 예술이라고 과대평가 하는 부분이 있어서 그렇지.
엑셀 서식이면 한 눈에 뭔가 이상하다 싶은 거 보이는 분들 많을 겁니다.
모나크모나크
24/11/23 09:44
수정 아이콘
암튼 저렇게 대충 본다고 해도 실력자가 제대로 실력 발휘가 된 상태이면.. 안 떨어진다는거죠? 거참 신기하네요.
Mini Maggit
24/11/23 09:52
수정 아이콘
저런 건 합당하게 걸러내는건데
중1때 총무들 불러놓고 눈앞에서 못한 애들 작품 부수던 미술선생 미친놈 생각하니 아직도 빡치네
24/11/23 09:57
수정 아이콘
음악도 비슷하지 싶네요. 특히 바이올린은 어떤곡은 처음 5-10초정도 들으면 바로 판별남.
열혈둥이
24/11/23 10:17
수정 아이콘
무슨 내인생을 담아쓴 이력서를 5분만에 평가하지마라
이런 허세글있죠? 마찬가지입니다.
구린거 뛰어난건 한눈에 다보여요.

100명합격이면 80등에서 120등 평가하는게 어려운거지
그 위아래는 쉽습니다.
방구차야
24/11/23 10:36
수정 아이콘
얼굴평가도 비슷하죠. 졸업사진에서 상위 10명추려내는게 어렵지 아닌얼굴 300명 빼나가는건 쉽..?
체크카드
24/11/23 11:26
수정 아이콘
고등학생때 미술 실기 점수 저런식으로 채점했는데 입시미술 채점법이였네요
24/11/23 11:35
수정 아이콘
자기개성이나 창의적인 부분을 보는건 포트폴리오로 따로 받습니다
저런 실기는 시간안에 얼마나 탄탄하게 기본기를 보여주느냐가 제일중요하고 그 다음에 약간의 독창성을 요구하는거라서요
오늘은 좀 더
24/11/23 20:18
수정 아이콘
내가 저걸 뚫었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421 [기타] 의외로 억울하게 욕먹었을지도 모르는 사람 [11] Lord Be Goja9760 25/01/06 9760
510420 [기타] 현재 잘나가는 반도체업체들 모음(시총크기로) [26] Lord Be Goja10299 25/01/06 10299
510419 [기타] 너무 뻔했나 [13] Lord Be Goja13325 25/01/06 13325
510417 [기타] 키우던 개가 실종된지 10일만에 온 편지.jpg [21] Myoi Mina 11937 25/01/06 11937
510415 [기타] 참치 경매 근황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142 25/01/06 14142
510408 [기타] 실시간 논란이라는 배달음식 [46] INTJ16664 25/01/05 16664
510399 [기타] 직장인들 퇴근 후 집 왔을 때 완전히 선호도 갈리는 것 [64] 묻고 더블로 가!14299 25/01/05 14299
510395 [기타] 약혐) 욕조에 끼어있는 의문의 머리카락 [9] 묻고 더블로 가!12126 25/01/05 12126
510394 [기타] 민간군사기업(PMC)..전직직원과 현직사장의 썰 [7] Lord Be Goja11169 25/01/05 11169
510391 [기타] 자전거로 1년만에 30킬로 감량하는 방법 [13] Lord Be Goja10746 25/01/05 10746
510379 [기타] 한강다리 근황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501 25/01/04 15501
510376 [기타] 어느샌가 소리소문없이 폭망한 유럽판 엔씨소프트 [32] 독서상품권12685 25/01/04 12685
510370 [기타] ??: 아 요즘 애들 휘발성강하고 난독이라 그런거지 뭐 [11] Lord Be Goja12678 25/01/04 12678
510367 [기타] 팀장 됐다는 충주맨 [60] INTJ13993 25/01/04 13993
510365 [기타] 1990년대 미국의 20대 주식 실적 순위 [25] 독서상품권10387 25/01/04 10387
510364 [기타] 넷플릭스에서 오징어 게임 속편을 안 만들면 이상한 이유 [29] a-ha12308 25/01/04 12308
510355 [기타] 카이지 작가가 자신의 모습을 그렸다는 만화 [28] INTJ14333 25/01/03 14333
510351 [기타] 실무자 사이의 갭 [20] 퍼블레인11813 25/01/03 11813
510349 [기타] 여자 빚 대신 갚아준 디씨인 [51] 퍼블레인14321 25/01/03 14321
510344 [기타] 한국이 중국에게 지니까 왠지 억울하다! [23] a-ha12133 25/01/03 12133
510340 [기타] 전국 광역시 백화점들의 매출 [21] Leeka10276 25/01/03 10276
510338 [기타] 아직은 기술적으로 처진 중국산 메모리 [4] Lord Be Goja11133 25/01/03 11133
510333 [기타] 경기 남부 백화점들의 3년간 매출 변화 [39] Leeka10550 25/01/03 105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