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1/09 21:45:25
Name 두드리짱
File #1 D0930F15_D133_43B7_B0F7_F1A8916A3C85.jpeg (146.4 KB), Download : 155
File #2 2EDB0CD4_1125_4A0F_A5A5_4B2D80E80E76.jpeg (156.1 KB), Download : 152
출처 구글
Subject [유머] 이젠 완전히 자리 잡은 듯한 신생 인방 플랫폼




lck 없이 시청자 30만 돌파에 방송인이 5천명 넘어감

1년도 안된채 이정도면 완전히 굳힌듯

네이버 접근성이 확실히 큰가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4/11/09 21:49
수정 아이콘
뭐 사실 트위치 보던사람들은 엔간해선 숲쪽과는 뭔가가 안맞는게 있어서 상당수 흡수했을거같았는데
애드가드 한 경우 집계가 안되다보니 인원수가 많이 줄어서 다들 걱정도 있었던듯한데 애드가드도 세기시작했으니 뭐 그냥저냥은 되는듯
할수있습니다
24/11/09 21:50
수정 아이콘
모든 스트리머들에게 기회가 있는 이벤트 기획이 좀 필요한데 제작비 지원등이 특정 MCN에게만 쏠려있는듯해서 좀 씁슬하긴합니다.
그러다보니 참가자들도 맨날 그밥에 그나물 해당 MCN소속 스트리머들 뿐이니. 25년도는 좀 다채로웠으면 좋겠어요.
24/11/09 22:01
수정 아이콘
그냥 치지직에 지원 신청하면 잘 들어줍니다
그리고 인챈트라고 대놓고 하시면 되는데 뭘 돌려서 크크
24/11/09 22:04
수정 아이콘
이제 막 신장개업한 집인데다 이 바닥 돌아가는 것도 파악할 겸 좀 인지도 있고 검증된 사람들이랑 일을 계속 하고 싶어했던건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아따따뚜르겐
24/11/09 22:12
수정 아이콘
다양하게 하는편인데 관심을 못 받는거죠.
시린비
24/11/09 22:38
수정 아이콘
잘 모르는 소소한 이벤트등도 있고 특정 MCN아니더라도 하는 경우는 제법 있었던걸로 압니다.
제대로 신청서 내면 된다는 느낌이고 그걸 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은것에 가까울듯
할수있습니다
24/11/09 22:48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잘 모르는데 제작비 지원은 파트너등급 이상부터 가능하다고 치지직라운지 공지에 나와있습니다. 개인세 파트너 스트리머는 없죠. 같이보기나 드롭스등 몇몇 이벤트를 프로등급등도 가능하지만요. 한번정도는 정착지원금처럼 제작비 지원 콘텐츠 공모전같은것도 할만한데 첫해라 MCN들에 의지하는구나 싶은거죠 뭐.
시린비
24/11/09 23:15
수정 아이콘
특정 MCN이라고 하셔서 딱 한 MCN만 말씀하시는줄
https://chzzk.naver.com/partner
그리고 MCN 안들어간 파트너도 있지 않나요? 다주라는 분도 현재는 MCN없다 들었고 하나하나 찾아보면 있을거같은데.
할수있습니다
24/11/09 23:16
수정 아이콘
다주님은 양띵크루 소속이고 양띵크루는 양띵님이 네이버와 협상했었습니다. 그리고 가장먼저 치치직 이적 발표했죠.
시린비
24/11/09 23:19
수정 아이콘
MCN은 아니죠. MCN은 알아서 들어가기로 했고 각자 알아서 MCN가는 와중에 다주님은 아직 MCN 안고르고 남았어서 말한겁니다.
할수있습니다
24/11/09 23:34
수정 아이콘
네 mcn은 아니죠. 크루가 단체로 이적한것일뿐. 파트너 스트리머 기준을 잘 모르겠어요 공지도 없어 문의 이메일 넣어도 답변도 없다는거 같은데.
시린비
24/11/09 23:39
수정 아이콘
그분 외에도 밑에서 대충 찾아보니 두어명 더 보이는걸로 봐서 MCN없는 사람들도 파트너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고
제작비 지원이 특정 MCN에게 쏠려있다 하셔서 말씀드렸던 것이었고
말씀하신대로 파트너 스트리머들이 가능한데,
일정이상의 규격을 가져 파트너가 된 스트리머들이면 MCN에 들어가있을 확률이 높고
그런 사람들이 주로 컨텐츠를 만드는 것 뿐이라고 봐서.. 이번에 패러블의 남궁혁님이 레이싱 대회를 한다던가도 다 그런거겠죠
파트너가 아닌 사람도 지원 가능해야한다던가, 더 많은 사람을 파트너로 만들어줘야 한다던가, 파트너 기준을 명확해야한다던가
그런건 다 제작비 지원이 특정 MCN에게 쏠려있다는 것과는 다른 주제의 이야기 같습니다.
24/11/09 23:25
수정 아이콘
양띵크루는 mcn이 아니죠 멤버 눈꽃도 픽셀 들어갔구요
종종종그그미
24/11/10 21:36
수정 아이콘
녹두로, 김도, 이글콥, 똘똘똘이, 라마, 자동 등등 개인세들 있습니다.
이부키
24/11/10 00:36
수정 아이콘
싱드컵이 원하시는 이벤트 아니었나요?
할수있습니다
24/11/10 00:59
수정 아이콘
노래나 버튜버는 제 취향은 아닙니다.
24/11/10 09:35
수정 아이콘
치스티벌, 치락실도 있었죠
밥도둑
24/11/09 21:52
수정 아이콘
???: 치지직 갈걸
Dr. Boom
24/11/09 21:54
수정 아이콘
트위치 철수하고 그거만 주워먹어도 충분하죠 뭐
칼라미티
24/11/09 21:59
수정 아이콘
네이버 메인 통해서 들어오는 유입들도 있고... 장기적으로 트위치보다 나아질 것 같긴 합니다
트코 운영 생각해보면 운영도 그쪽보다 안좋을 수가 없고요
24/11/09 22:03
수정 아이콘
그냥 트위치 한국 철수랑 맞물려 그 인구 그대로 흡수한게 컸죠
새로 유입도 있겠지만 이번에 뷰어십 정상화된거 보면 딱 트위치때 그대로더란
데스크탑
24/11/09 22:11
수정 아이콘
얘네 진짜 감없네 싶다가도 피드백은 또 열심히 하는거 보면 다음팟(카카오) 보단 훨씬 낫긴 해요.
larrabee
24/11/09 22:28
수정 아이콘
있는 자원 말아먹은걸로 카카오랑 비교하면 아무데도 이길 수 없을겁니다
24/11/09 22:22
수정 아이콘
WebOS용 앱부터 좀 만들어 줬으면...
24/11/09 22:25
수정 아이콘
네이버가 인방문화 같은거 잘모르는 느낌은 있는데 그럼에도 피드백 열심히 하는거 보면 카카오보다는 잘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24/11/09 22:32
수정 아이콘
오늘 뭐 엄청 북적북적하네요 컨텐츠들 많이하고.. 티비앱 기다리다가 지쳐서 그냥 apk로 깔아야겠네요 다행히 어느분이 만든게 있더라구요
24/11/09 22:36
수정 아이콘
근데 끊기는건 너무 아쉬워요 ㅠㅠ
15년째도피중
24/11/09 22:37
수정 아이콘
이세돌 빼고 제가 보던 스트리머는 거의 다 치치직으로 가서 잘 보고 있습니다. 트위치랑 정서가 비슷하게 흘러가더라구요. 나름 안도중.
확실히 숲? 숲으로 간 스트리머들은 숲 정서와 동화되는 뭔가도 있던. 뭐가 다르냐 내가보기에는 그게 그거다 하시면 딱히 반박은 어렵지만요.
오컬트
24/11/09 23:16
수정 아이콘
에휴... 그래도 국제적인 인방 스탠스가 단절되어서 아쉽네요.
레드빠돌이
24/11/09 23:28
수정 아이콘
지금 보면 우왁굳이 치지직 갔다면 아프리카는 진짜 그들만의 리그로 남았을거 같아요.
마라탕
24/11/10 01:56
수정 아이콘
그래도 롤판은 앞쪽이 또 꽤 커서 그정도는...
시린비
24/11/10 02:18
수정 아이콘
앞은 앞대로 지속적으로 보는 사람들과 컨텐츠가 있고,
그들만의 리그라고 칭할 부분은 치지직과 아프리카가 크게 다를것도 없다보니...
예전 트위치야 그나마 해외와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부분을 이야기하면 그런 분류가 가능했을지도 모르지만
지금의 치지직은 해외쪽은 처음부터 시작해야 할테니까요
운악산 날다람쥐
24/11/10 04:22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인터넷방송이라는거 자체가 그들만의 리그여서 별 다를건 없을겁니다.

대중들이 보는 유튜브조차 하나하나 파보면 엄청 파편화 되어있죠..
아스미타
24/11/11 10:50
수정 아이콘
치지직도 똑같죠.. 인방 안보는 사람은 그게 뭐냐? 이렇게 나오니까요
닉을대체왜바꿈
24/11/10 00:03
수정 아이콘
티비앱좀 만들어라 좀...
앙몬드
24/11/10 02:19
수정 아이콘
티비앱 도대체 언제만들건지..
트리거
24/11/10 02:26
수정 아이콘
그 트위치코리아의 졸속행정으로도 아프리카랑 비볐는데 치지직이면 말다했죠
如是我聞
24/11/10 06:03
수정 아이콘
피지알도 하나 만들죠.

푸지직
디쿠아스점안액
24/11/10 07:53
수정 아이콘
하지만 장기적으로 인방이 돈이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방송 켜는 스트리머분들이 아니라 플랫폼이요
24/11/10 08:38
수정 아이콘
그리드로 망사용료 깍는 것만해도 크죠.
숲만큼은 아니어도 서브파티 도네 허용 못허는 것도 짭잘하고
1등급 저지방 우유
24/11/10 08:27
수정 아이콘
그냥 트위치 하던 스트리머들 그대로 넘어가서
그거 다 흡수한거 아녔던가요?
롤이나 스타 보려면 숲 가고
종겜 보려면 치지직 가고
저는 그렇게 합니다
특정 플랫폼이나 방송인 충성충성 하는 사람은 아니라서요
24/11/10 08:37
수정 아이콘
뷰어쉽 패치 전에는 시청자 죄다 갈린 줄 알아서 망했네 소리 니왔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0094 [기타] 사람들이 잘 모르는 항공모함에 착륙하는 방법 [60] 길갈11393 24/12/26 11393
510093 [유머] 스포당하기 싫으면 커뮤를 아예 끊어야하는 이유 [27] EnergyFlow10992 24/12/26 10992
510091 [게임] poe2 하드코어 세계랭킹 11위 한국 1위 달성한 버츄얼 스트리머.jpg [10] insane9680 24/12/26 9680
510090 [유머] 전국 지역별 워라밸 지수 [53] EnergyFlow11797 24/12/26 11797
510089 [유머] (저급함) 전문가들이 전문용어를 많이 쓰는 이유. [2] 캬라9866 24/12/26 9866
510088 [유머] 새롭게 바뀐 법에 적응하지 못하고 당황하는 캘리포니아인들 [44] EnergyFlow11390 24/12/26 11390
510087 [기타] ???: WWE거리는거 솔직히 식상하지 않음?? [5] Lord Be Goja7955 24/12/26 7955
510086 [기타] 스포일러의 대명사가 되버린 영화들.jpg [24] insane9840 24/12/26 9840
510085 [게임] 2024 스팀에서 잘 나간게임들 [21] Lord Be Goja9976 24/12/26 9976
510084 [유머] 알바에게 '너도 건물 쓰고있으니 월세 부담해라' 얘기한 피자집 사장님의 최후 [24] EnergyFlow12708 24/12/26 12708
510083 [기타] 애플 신상품 29만 9천원짜리 비전프로 [16] Lord Be Goja10672 24/12/26 10672
510082 [서브컬쳐] 에반게리온 M호기 공개 [9] EnergyFlow8465 24/12/26 8465
510081 [유머] 한 해를 넘기는 시점에서 다시보는 3,40대의 노화과정 [39] EnergyFlow12037 24/12/26 12037
510080 [기타] 요즘 디카에 도입된다는 기능 [14] Lord Be Goja9730 24/12/26 9730
510079 [기타] 복권당첨 호불호 [48] Lord Be Goja14073 24/12/26 14073
510078 [기타] 2024년 98프로 완료 [10] 카루오스11422 24/12/26 11422
510077 [방송] 오늘 오후 5시 이후 인터넷 스포 주의보 [16] VictoryFood13225 24/12/26 13225
510076 [LOL] 62세 아칼리 [10] 퍼블레인10323 24/12/25 10323
510075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 2025년 4월 방영 [19] 투투피치7125 24/12/25 7125
510074 [유머] 한 할아버지가 세계최초로 초록 금붕어를 만들어 낸 이유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883 24/12/25 12883
510073 [기타] 정치적 궁지에 몰렸음에도 이 자리에서 물러날 생각 없다고 말하는 대통령 [21] 된장까스14425 24/12/25 14425
510072 [유머] 종교에서 말하는 지옥이란?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739 24/12/25 13739
510071 [기타] 3D게임 멀미 카운터.jpg [17] 영원히하얀계곡12507 24/12/25 125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