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12 09:00:19
Name a-ha
File #1 after_han_kang.jpg (246.2 KB), Download : 155
출처 유튜브
Subject [기타] 해외 문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한국 작가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한강 작가 말고도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이 더 있다는 보도들이 있네요. 직접 거론되거나 자막으로라도 언급된 작가들을 살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가운데서는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만 읽어봤는데 저는 진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황석영 작가는 사실 문학계 원로인데 작품 번역이 늦게 되서 그런건지 뒤늦게 주목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 문학계가 좋은 작가의 발굴은 물론이고 능력있는 번역가의 발굴에도 힘을 써야 되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정보라 (저주토끼)
황석영 (철도원 삼대)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천명관 (고래)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손원평 (아몬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베리
24/10/12 09:14
수정 아이콘
문학에도 한류가 부나요
EnergyFlow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눈마새... 눈마새는 없는가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고래 진짜 재미있게 읽었고 좋아하긴 하지만, 언제까지 고래 이야기만 할런지... 다음 작품은 기대치가 있어서 그런지 좀 아쉽네요.
진공묘유
24/10/12 09:19
수정 아이콘
고래가 그 통뼈 아줌마나오는 거였나요

글빨은 좋지만 그거 빼곤 다 별로였던거같은데

아니 근데 이걸 읽은지가 20년은 족히 됐는데 지금 와서 조명된다는게 좀 재밌네요
데몬헌터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문학은 만화만 보는 저도 황석영 이름 석자는 들어봤으니 흐흐
제육볶음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황석영의 삼대라고 불렀던 철도원 삼대... 꼭 읽어보세요.
대작입니다
요케레스
24/10/12 09:26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 붐은 온다
如是我聞
24/10/12 09:35
수정 아이콘
황석영선생의 장길산은 외국인들이 읽기 부담스럽겠지만, 무기의 그늘과 손님은 꽤 볼만할 겁니다.
랜능크
24/10/12 09:42
수정 아이콘
고래는 확실히 국내보단 해외에서 좋아할거같네요
지구 최후의 밤
24/10/12 09:57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까지 제일 좋았던 책이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이었습니다.
처음 읽을 땐 어려서 가닥이 안 잡히는 것도 많았는데 중학교 들어가서 읽으니 새로운게 보이고 고등학교때 다시 읽어도 새로운게 보이더라구요
24/10/12 10: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작품도 중요하겠지만

번역이 진짜 중요할 것 같네요..

영화같은건 자막이 거지같아도

그래도 배우들의 연기나 표정 이런거로 어느정도 보완이되는데 글은...그렇지 않으니...
청운지몽
24/10/12 13:3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죠
단순히 언어만 배운분이 아닌 해당 서적의
전공지식이 있는분들이 번역할때 퀄리티도 확 좋아지고요
사부작
24/10/12 10:07
수정 아이콘
박상영 작가 평범한 회사원 시절 이야기 재밌던데 잘 됐으면 좋겠네요
지네와꼬마
24/10/12 10:12
수정 아이콘
천명관 고래는 백년의 고독같은 작품인데 힌번쯤 앍어볼만한 작품입니다.
환상회랑
24/10/12 10:19
수정 아이콘
천명관, 박상영이 주목받는게 좋네요.
24/10/12 10:25
수정 아이콘
한국문학이 세계적으로 영문학에 비해 문학성 전혀 딸리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심지어 장르소설 쪽으로 가도 명작은 전세계 흥행한 해리포터 같은 세계적 소설에 겨룰만하다 봐요.
문화 측면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가 통하는거 자체가 한국적 감성이 통한다는 증거죠.

다만 언어체계가 문법부터 시작해서 영어계열이랑 완전 다르다보니까
그 다른 언어의 섬세함을 그대로 전달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었죠. 전달 측면에서 순수하게 글로만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순수문학은 다른 나라에 전달하기 가장 어려운 분야니까요. 여튼 국격이 올라가니까 이런 부분도 전부 되는군요.
울리히케슬러
24/10/12 10:48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이 없다니 실망이군요
24/10/12 11:13
수정 아이콘
일단 저 6권부터 봐야겠네요
철도원 삼대는 옛날에 보긴했는데 지금 읽으면 느낌이 다를 거 같음 크크
씨네94
24/10/12 11:15
수정 아이콘
대도시의 사랑법 참 재밌게 읽었습니다.
수퍼카
24/10/12 11:24
수정 아이콘
봉준호 영화가 해외에서 주목받은 것에는 달시 파켓이, 한강 작품이 잘 알려진 것에는 데보라 스미스가 많이 기여했다고 생각해서... 저런 좋은 번역가들을 잘 섭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10/12 13:04
수정 아이콘
제 쇼츠에 최종후보 전문이라고 알고리즘에 걸렸던 정보라 작가님...크크
20231003
24/10/12 14:18
수정 아이콘
철도원 삼대 아몬드 재밌게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899 [유머] 자기 전 누워서 스마트폰 보면 안되는 이유. [20] 캬라10495 24/10/15 10495
506898 [유머] 충격적인 미카미 유아 근황 [31] Myoi Mina 12373 24/10/15 12373
506897 [유머] 출판사들이 서로 경쟁업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 [20] 캬라10412 24/10/15 10412
506896 [동물&귀욤] 의외로 애교 질투 많은 동물 [6] 길갈8743 24/10/15 8743
506895 [유머] 흑백요리사 시즌2 제작확정 [42] 한입8977 24/10/15 8977
506894 [스타1] 슬슬 불안해지기 시작한 SSL 근황(스포) [37] 럭키비키잖앙10138 24/10/15 10138
506892 [기타] 닷컴버블 시절에 sqqq가 있었다고 가정하고 돌린 시뮬레이션 [2] 독서상품권9095 24/10/15 9095
506891 [방송] 조커 2 10월 29일 VOD 행 [15] 롤격발매기원8055 24/10/15 8055
506890 [LOL] 구 그리핀 모임.jpg [27] insane8225 24/10/15 8225
506888 [LOL] G2 단장이 공개한 9~10월 스크림결과 [11] 아롱이다롱이12513 24/10/15 12513
506887 [LOL] 월즈 8강진출 실패 후폭풍? 리빌딩에 들어가는듯한 G2 [3] 아롱이다롱이7824 24/10/15 7824
506886 [LOL] 10인 로스터 당시 오너의 심정 [45] INTJ10100 24/10/15 10100
506885 [유머] 논란의 블라인드 1000플 게시물 [4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832 24/10/15 12832
506884 [LOL] 오너시치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2] INTJ7396 24/10/15 7396
506883 [유머] 초등학생이 어머니를 생각하며 지은 삼행시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8699 24/10/15 8699
506882 [게임] 9월 국내 서브컬쳐모바일게임 유저수 [2] STEAM6461 24/10/15 6461
506881 [유머] 540Hz 모니터를 산 디시인 후기.jpg [24] 유머9992 24/10/15 9992
506880 [유머] 요즘 유튜브 화나는 댓글 1티어.jpg [9] 유머11246 24/10/14 11246
506879 [기타] 10년전이면 안믿었을것들 [13] 유머8982 24/10/14 8982
506878 [기타] 이번 [흑백요리사]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세프 [15] a-ha10200 24/10/14 10200
506877 [기타] AI의 추론 능력 [12] 퀀텀리프8945 24/10/14 8945
506876 [유머] 호불호 갈리는 음료수들의 역사 [50] Davi4ever9662 24/10/14 9662
506875 [유머] 고래 포획은 금지지만 혼획은 봐드림 [34] 인간흑인대머리남캐9852 24/10/14 98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