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12 09:00:19
Name a-ha
File #1 after_han_kang.jpg (246.2 KB), Download : 155
출처 유튜브
Subject [기타] 해외 문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한국 작가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한강 작가 말고도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이 더 있다는 보도들이 있네요. 직접 거론되거나 자막으로라도 언급된 작가들을 살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가운데서는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만 읽어봤는데 저는 진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황석영 작가는 사실 문학계 원로인데 작품 번역이 늦게 되서 그런건지 뒤늦게 주목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 문학계가 좋은 작가의 발굴은 물론이고 능력있는 번역가의 발굴에도 힘을 써야 되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정보라 (저주토끼)
황석영 (철도원 삼대)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천명관 (고래)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손원평 (아몬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베리
24/10/12 09:14
수정 아이콘
문학에도 한류가 부나요
EnergyFlow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눈마새... 눈마새는 없는가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고래 진짜 재미있게 읽었고 좋아하긴 하지만, 언제까지 고래 이야기만 할런지... 다음 작품은 기대치가 있어서 그런지 좀 아쉽네요.
진공묘유
24/10/12 09:19
수정 아이콘
고래가 그 통뼈 아줌마나오는 거였나요

글빨은 좋지만 그거 빼곤 다 별로였던거같은데

아니 근데 이걸 읽은지가 20년은 족히 됐는데 지금 와서 조명된다는게 좀 재밌네요
데몬헌터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문학은 만화만 보는 저도 황석영 이름 석자는 들어봤으니 흐흐
제육볶음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황석영의 삼대라고 불렀던 철도원 삼대... 꼭 읽어보세요.
대작입니다
요케레스
24/10/12 09:26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 붐은 온다
如是我聞
24/10/12 09:35
수정 아이콘
황석영선생의 장길산은 외국인들이 읽기 부담스럽겠지만, 무기의 그늘과 손님은 꽤 볼만할 겁니다.
랜능크
24/10/12 09:42
수정 아이콘
고래는 확실히 국내보단 해외에서 좋아할거같네요
지구 최후의 밤
24/10/12 09:57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까지 제일 좋았던 책이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이었습니다.
처음 읽을 땐 어려서 가닥이 안 잡히는 것도 많았는데 중학교 들어가서 읽으니 새로운게 보이고 고등학교때 다시 읽어도 새로운게 보이더라구요
24/10/12 10: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작품도 중요하겠지만

번역이 진짜 중요할 것 같네요..

영화같은건 자막이 거지같아도

그래도 배우들의 연기나 표정 이런거로 어느정도 보완이되는데 글은...그렇지 않으니...
청운지몽
24/10/12 13:3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죠
단순히 언어만 배운분이 아닌 해당 서적의
전공지식이 있는분들이 번역할때 퀄리티도 확 좋아지고요
사부작
24/10/12 10:07
수정 아이콘
박상영 작가 평범한 회사원 시절 이야기 재밌던데 잘 됐으면 좋겠네요
지네와꼬마
24/10/12 10:12
수정 아이콘
천명관 고래는 백년의 고독같은 작품인데 힌번쯤 앍어볼만한 작품입니다.
환상회랑
24/10/12 10:19
수정 아이콘
천명관, 박상영이 주목받는게 좋네요.
24/10/12 10:25
수정 아이콘
한국문학이 세계적으로 영문학에 비해 문학성 전혀 딸리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심지어 장르소설 쪽으로 가도 명작은 전세계 흥행한 해리포터 같은 세계적 소설에 겨룰만하다 봐요.
문화 측면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가 통하는거 자체가 한국적 감성이 통한다는 증거죠.

다만 언어체계가 문법부터 시작해서 영어계열이랑 완전 다르다보니까
그 다른 언어의 섬세함을 그대로 전달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었죠. 전달 측면에서 순수하게 글로만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순수문학은 다른 나라에 전달하기 가장 어려운 분야니까요. 여튼 국격이 올라가니까 이런 부분도 전부 되는군요.
울리히케슬러
24/10/12 10:48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이 없다니 실망이군요
24/10/12 11:13
수정 아이콘
일단 저 6권부터 봐야겠네요
철도원 삼대는 옛날에 보긴했는데 지금 읽으면 느낌이 다를 거 같음 크크
씨네94
24/10/12 11:15
수정 아이콘
대도시의 사랑법 참 재밌게 읽었습니다.
수퍼카
24/10/12 11:24
수정 아이콘
봉준호 영화가 해외에서 주목받은 것에는 달시 파켓이, 한강 작품이 잘 알려진 것에는 데보라 스미스가 많이 기여했다고 생각해서... 저런 좋은 번역가들을 잘 섭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10/12 13:04
수정 아이콘
제 쇼츠에 최종후보 전문이라고 알고리즘에 걸렸던 정보라 작가님...크크
20231003
24/10/12 14:18
수정 아이콘
철도원 삼대 아몬드 재밌게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8355 [기타] 남들과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봐야 할 것 [41] 닉넴길이제한8자14636 24/11/12 14636
508354 [유머]  언론"독일의 반유대 범죄가 사상 최고수준" [17] 유머13674 24/11/12 13674
508352 [유머] 드래곤볼 팝업 갔다 온 후기 [9] 고쿠10116 24/11/12 10116
508351 [유머] 정말 간단한 일 [16] 유머12301 24/11/12 12301
508350 [유머] 기부하고 나서 기쁨의 눈물 흘리는 충주맨 [8] Davi4ever12072 24/11/12 12072
508348 [스포츠] 이수근+정준하 vs 정수빈+김보미 당구대결 [7] Croove10220 24/11/12 10220
508347 [기타] 여사친에게 했다간 곧바로 우정파괴 되는 말 [21] 묻고 더블로 가!15193 24/11/12 15193
508346 [유머] 역사상 워커홀릭으로 유명한 왕 [41] 포졸작곡가14774 24/11/12 14774
508345 [스타1] EVER 2004 스타리그 4강 B조 경기결과 [45] ComeAgain8824 24/11/12 8824
508343 [유머] 만찢남 조광효 셰프의 해물누룽지탕 [20] 산성비10589 24/11/12 10589
508342 [유머] 기둥뒤에 공간 있어요 [14] 츠라빈스카야10388 24/11/12 10388
508341 [기타] 슈퍼카 두대가 양옆으로 주차한거보다 조금더 무섭다는것 [26] Lord Be Goja13051 24/11/12 13051
508340 [스타1] 2004년 오늘 있었던 일 [27] 태양의맛썬칩9325 24/11/12 9325
508338 [기타] 낙원상가 기타쇼 플래시 몹 <너에게 난, 나에게 넌> [6] 유머7710 24/11/12 7710
508337 [유머] ???) 아 시위 그렇게 하는 거 아닌데 [55] kapH15478 24/11/12 15478
508336 [기타] 마블 왓 이프 시즌3 티저.youtube [16] Thirsha7099 24/11/12 7099
508334 [기타] 글래디에이터2 개봉 D-1 [18] 시나브로8266 24/11/12 8266
508332 [기타] 은근히 컨텐츠 재능이 출중해보이는 사람 [30] Lord Be Goja12781 24/11/12 12781
508331 [게임] 현재 독도의 날' 논란에 휩싸인 검은사막 [28] EnergyFlow12186 24/11/12 12186
508328 [방송] 의외로? 방송과 다른것 [32] Lord Be Goja11702 24/11/12 11702
508326 [유머] 호불호 큰 음식.jpg [34] 핑크솔져12316 24/11/12 12316
508325 [기타] 언제고 노벨 화학상 한번 받는다는 사람 [36] a-ha13030 24/11/12 13030
508324 [유머] 한국 생태계를 다 파괴시킨다던 외래종들의 결말 [50] 독서상품권13471 24/11/12 134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