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10/12 09:00:19
Name a-ha
File #1 after_han_kang.jpg (246.2 KB), Download : 155
출처 유튜브
Subject [기타] 해외 문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한국 작가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한강 작가 말고도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이 더 있다는 보도들이 있네요. 직접 거론되거나 자막으로라도 언급된 작가들을 살펴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가운데서는 정보라 작가의 "저주토끼"만 읽어봤는데 저는 진짜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황석영 작가는 사실 문학계 원로인데 작품 번역이 늦게 되서 그런건지 뒤늦게 주목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 문학계가 좋은 작가의 발굴은 물론이고 능력있는 번역가의 발굴에도 힘을 써야 되는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정보라 (저주토끼)
황석영 (철도원 삼대)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천명관 (고래)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손원평 (아몬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베리
24/10/12 09:14
수정 아이콘
문학에도 한류가 부나요
EnergyFlow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눈마새... 눈마새는 없는가
24/10/12 09:16
수정 아이콘
고래 진짜 재미있게 읽었고 좋아하긴 하지만, 언제까지 고래 이야기만 할런지... 다음 작품은 기대치가 있어서 그런지 좀 아쉽네요.
진공묘유
24/10/12 09:19
수정 아이콘
고래가 그 통뼈 아줌마나오는 거였나요

글빨은 좋지만 그거 빼곤 다 별로였던거같은데

아니 근데 이걸 읽은지가 20년은 족히 됐는데 지금 와서 조명된다는게 좀 재밌네요
데몬헌터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문학은 만화만 보는 저도 황석영 이름 석자는 들어봤으니 흐흐
제육볶음
24/10/12 09:21
수정 아이콘
황석영의 삼대라고 불렀던 철도원 삼대... 꼭 읽어보세요.
대작입니다
요케레스
24/10/12 09:26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 붐은 온다
如是我聞
24/10/12 09:35
수정 아이콘
황석영선생의 장길산은 외국인들이 읽기 부담스럽겠지만, 무기의 그늘과 손님은 꽤 볼만할 겁니다.
랜능크
24/10/12 09:42
수정 아이콘
고래는 확실히 국내보단 해외에서 좋아할거같네요
지구 최후의 밤
24/10/12 09:57
수정 아이콘
학창시절까지 제일 좋았던 책이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이었습니다.
처음 읽을 땐 어려서 가닥이 안 잡히는 것도 많았는데 중학교 들어가서 읽으니 새로운게 보이고 고등학교때 다시 읽어도 새로운게 보이더라구요
24/10/12 10:0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작품도 중요하겠지만

번역이 진짜 중요할 것 같네요..

영화같은건 자막이 거지같아도

그래도 배우들의 연기나 표정 이런거로 어느정도 보완이되는데 글은...그렇지 않으니...
청운지몽
24/10/12 13:3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하죠
단순히 언어만 배운분이 아닌 해당 서적의
전공지식이 있는분들이 번역할때 퀄리티도 확 좋아지고요
사부작
24/10/12 10:07
수정 아이콘
박상영 작가 평범한 회사원 시절 이야기 재밌던데 잘 됐으면 좋겠네요
지네와꼬마
24/10/12 10:12
수정 아이콘
천명관 고래는 백년의 고독같은 작품인데 힌번쯤 앍어볼만한 작품입니다.
환상회랑
24/10/12 10:19
수정 아이콘
천명관, 박상영이 주목받는게 좋네요.
24/10/12 10:25
수정 아이콘
한국문학이 세계적으로 영문학에 비해 문학성 전혀 딸리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심지어 장르소설 쪽으로 가도 명작은 전세계 흥행한 해리포터 같은 세계적 소설에 겨룰만하다 봐요.
문화 측면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가 통하는거 자체가 한국적 감성이 통한다는 증거죠.

다만 언어체계가 문법부터 시작해서 영어계열이랑 완전 다르다보니까
그 다른 언어의 섬세함을 그대로 전달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었죠. 전달 측면에서 순수하게 글로만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순수문학은 다른 나라에 전달하기 가장 어려운 분야니까요. 여튼 국격이 올라가니까 이런 부분도 전부 되는군요.
울리히케슬러
24/10/12 10:48
수정 아이콘
투명드래곤이 없다니 실망이군요
24/10/12 11:13
수정 아이콘
일단 저 6권부터 봐야겠네요
철도원 삼대는 옛날에 보긴했는데 지금 읽으면 느낌이 다를 거 같음 크크
씨네94
24/10/12 11:15
수정 아이콘
대도시의 사랑법 참 재밌게 읽었습니다.
수퍼카
24/10/12 11:24
수정 아이콘
봉준호 영화가 해외에서 주목받은 것에는 달시 파켓이, 한강 작품이 잘 알려진 것에는 데보라 스미스가 많이 기여했다고 생각해서... 저런 좋은 번역가들을 잘 섭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10/12 13:04
수정 아이콘
제 쇼츠에 최종후보 전문이라고 알고리즘에 걸렸던 정보라 작가님...크크
20231003
24/10/12 14:18
수정 아이콘
철도원 삼대 아몬드 재밌게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8620 [유머] 의외로 요즘 유치원 여교사가 할 수 있는 것 [16] 길갈12995 24/11/19 12995
508619 [유머] 나이들면 컴퓨터게임을 안하게되는 이유 [68] 독서상품권12145 24/11/19 12145
508618 [기타] 에버랜드가 평가가 안좋은 이유 [59] 뭉땡쓰11549 24/11/19 11549
508617 [유머] 내가 별풍 왕창 쏜 여 BJ가 결혼을 한다고? [10] 뭉땡쓰10982 24/11/19 10982
508616 [서브컬쳐] 예쁘잖아 예쁘잖아 이정도면 나 예쁘잖아. [31] 뭉땡쓰13452 24/11/19 13452
508615 [기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하는 정용진의 유일한(?) 업적 [32] 뭉땡쓰10685 24/11/19 10685
508614 [유머] ??? : 시위 그렇게 하는거 아닌데... [43] 캬라12766 24/11/19 12766
508613 [유머] 유럽 배터리의 자존심, 노스볼트가 간다! [10] 깃털달린뱀10134 24/11/19 10134
508612 [게임] 카트라이더 역대급 사료 [9] 묻고 더블로 가!9999 24/11/19 9999
508611 [유머] 작가님 세상에 이런 여자가 어딨어요? [18] 된장까스11535 24/11/19 11535
508610 [유머] 한국인 비중이 가장 높은 미국 주식 순위.jpg [33] 김유라16287 24/11/19 16287
508609 [동물&귀욤] 개삐진 개 [14] 시나브로10137 24/11/19 10137
508608 [유머] 야... [10] 공기청정기17111 24/11/19 17111
508606 [스포츠] 해리 케인 동상 제막 [25] 베라히12613 24/11/19 12613
508605 [유머] 커피맛을 조금 아는 남자 [6] 김삼관13458 24/11/18 13458
508604 [게임] 천하용장 여포도 두려워 하는 것! [28] 된장까스12378 24/11/18 12378
508603 [LOL] 치지직 러너리그 팀경매 결과 [10] 길갈13288 24/11/18 13288
508602 [방송] (약스포) 최근 드라마 발암 여주인공 투톱.JPG [31] Anti-MAGE15129 24/11/18 15129
508601 [서브컬쳐] [숙보] 문제있는 그 여학교 총학생회장 결국 도망갔다고 합니다. [31] 된장까스15087 24/11/18 15087
508600 [스포츠] 범죄학을 전공했다는 UFC 선수 [18] 베라히9350 24/11/18 9350
508599 [유머] 약간 현실적인 진도준(?) 연매출 3억 고등학생 사업가 [8] 김삼관11544 24/11/18 11544
508597 [기타] 무서운 인도의 대기질 [41] 길갈12059 24/11/18 12059
508596 [스포츠] 내일 축구 국대 팔레스타인전 쿠플 게스트로 나오는 오너 선수 [4] 매번같은7654 24/11/18 76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