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9/07 12:02:09
Name Croove
File #1 8.jpg (66.5 KB), Download : 303
출처 양궁협회
Subject [스포츠] 국내 양궁대회 근황 (수정됨)


개인전 남자
우승 : 서민기  , 준우승 : 남유빈

개인전 여자
우승 : 김수린  , 준우승 : 안산


주요 네임드 선수들 개인전 성적
이우석 : 16강
김제덕 , 김우진 : 32강
오진혁(올림픽 2관왕, 끝!) : 8강
구본찬(올림픽 2관왕) : 64강

임시현 : 불참(컨디션 문제)
남수현 : 8강
전훈영 : 32강
장민희, 강채영(도쿄올림픽 금메달) : 16강
최미선(리우올림픽 금메달) : 32강
정다소미(인천아시안게임 2관왕) : 32강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치블루
24/09/07 12:04
수정 아이콘
1 올림픽 대표선수들은 무슨 올림픽 부스터라도 있는걸까요
2 모두 다 탈락 덜덜덜
Mephisto
24/09/07 12:04
수정 아이콘
양궁은 진짜 변별력을 더 끌어올려야 하는 스포츠인데 하도 한쪽이 압도적 성적이다 보니 변별력을 더 낮춰버리는 선택을....
한글자
24/09/07 12:51
수정 아이콘
게임개발자: 그간 고인물들이 게임을 독식했던 문제와 초보 유저의 진입장벽을 개선하고자 이번 패치에는 무작위 랜덤 요소를 대폭 추가하였습니다.
게임유저: 아..씁.. 운빨망겜..
동오덕왕엄백호
24/09/07 12:05
수정 아이콘
올림픽 메달 리스트들은 방송이다 행사다 여기저기 불려나가서 아마 컨디션조절도 못했을듯..
24/09/07 12:06
수정 아이콘
역시 국내 대회가 가장 어렵군요.

근데 메달리스트들이 올림픽은 귀신 같이 올라온단 말이죠. 참 신기해요.
24/09/07 12: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국제대회와 국내대회의 난이도 차이(우승을 가정해서)
국제대회 : 우승까지 운 좋으면 한국인 1번만남, 운 나쁘면 두번 만남
국내대회 : 우승하려면 한국인 6번 이겨야됨
24/09/07 13:23
수정 아이콘
제가 유관력이라는 추상적인 힘을 믿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크크크
뭔가 뭔가가 있음
24/09/07 12:17
수정 아이콘
초상향 평준화 이기에 진짜 모르네요.
알카즈네
24/09/07 12:20
수정 아이콘
올림픽 3관왕이 32강 따리가 되는 대회가 있다?!?! 이거 완전 코랜.....
24/09/07 12:23
수정 아이콘
여성조는 안산 선수 빼면 올림픽 유관자들조차도 다 순위권 못들어간 건가요...
24/09/07 12:26
수정 아이콘
올림픽제패기념인데... 올림픽 선수들이...
아무래도 메달리스트라 여기저기 불러다닌게 큰듯..
Rorschach
24/09/07 12:49
수정 아이콘
대회명칭은 1948 LA올림픽 양궁 첫 금메달 기념으로 지어진 것이긴 하죠 크크
감전주의
24/09/07 13:13
수정 아이콘
이 때부터 양궁이 있었으면 첫 금메달은 1976년이 아니라 휠씬 빨랐겠네요 크크
Rorschach
24/09/07 14:05
수정 아이콘
아앗.... 1984.... 크크크크
약설가
24/09/07 12:27
수정 아이콘
아마 올림픽 출전자들은 이후 여러 일정들이 영향을 미쳤을 듯 하기는 한데, 그래도 이 정도 결과까지 나오는 걸 보면 심각한 상향 평준화기는 하네요. 올림픽을 예선으로 해서 한국 대회 출전을 해야 맞겠네요.
위원장
24/09/07 12:31
수정 아이콘
국대 선발전에 컨디션 맞추겠죠
동굴곰
24/09/07 12:40
수정 아이콘
전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양궁 대회는 전국체전이 아닐까...
비오는일요일
24/09/07 12:49
수정 아이콘
어이없지만 올림픽 본선이 오히려 허수가 많을듯...
24/09/07 13:10
수정 아이콘
예전 올림픽 본선에서 감독이 선수들에게 긴장하지 말라고 '니들 다음 달에 전국체전 나가서 우승할 자신있어? 그거보다 올림픽이 쉬워.' 라고 했다는 썰이... 크크
24/09/07 13:17
수정 아이콘
전국체전 우승하기 난이도를
최악의 대진운 걸렸을 경우 극단적인 예시 하나 들면
128강 : 최미선(리우올림픽 금메달)
64강 : 강채영(도쿄올림픽 금메달, 세계랭킹 1위 수성기간 역대3위[756일])
32강 : 장민희(도쿄올림픽 금메달)
16강 : 전훈영(파리올림픽 금메달)
8강 : 남수현(파리올림픽 금메달)
준결승 : 안산(도쿄올림픽 3관왕)
결승전 : 임시현(파리올림픽 3관왕)
번아웃증후군
24/09/07 13:25
수정 아이콘
와 저거 다 뚫고 우승하면 수양대군 등장짤 현실에서 찍을수 있나요
기도비닉
24/09/07 14:00
수정 아이콘
그리고 LA올림픽 선발전 광탈..
김첼시
24/09/07 14:44
수정 아이콘
전대의 고수를 모두 꺽어야만 최강의 자리에 오를수있는...
내가 고금제일이다!
24/09/07 13:47
수정 아이콘
너무 변별력이 없는 경기 방식이라서 아슬아슬한 맛은 있을지 몰라도 과연 이게 운빨이 없이 온전히 실력을 겨루는 경기인가? 하는 회의감이 들더군요.
24/09/07 14:28
수정 아이콘
이벤트전이니까요
24/09/07 18:59
수정 아이콘
제 말은 올림픽을 포함한 정규 경기 이야기였습니다.
24/09/07 19:11
수정 아이콘
운빨 요소는 어느 스포츠든 다 존재하죠
굳이 양궁에만 심하게 작용하는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4/09/08 01:3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올림픽도 큰 흐름에서는 이벤트전을 지향하는 게 맞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양궁처럼 한국, 한 나라가 압도적일 때는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네요.
김티모
24/09/07 14:44
수정 아이콘
25일부터 25국대 1차예선 있습니다~
24/09/07 17: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즐기는 종목을 비추어보면, 올림픽 직후 열리는 국내외 경기는 중요도가 높지않기 때문에 불참 선수도 많고 올림픽 비참가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냅니다. 이상한 일이 아녜요.
얘기거리야 되겠지만 좀 호들갑스럽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4/09/07 18:02
수정 아이콘
오진혁 옹은 아직 은퇴 안 했나요??
다윤파파
24/09/07 23:18
수정 아이콘
국대 선발이 누가 되더라도 올림픽 우승은 나다 라는 분위기인지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7125 [기타] 현재 중국서 욕 엄청 먹고 있는 일본 아이돌 [23] Myoi Mina 13833 24/10/19 13833
507124 [유머] 게임에서 수풀을 지나갈 수 없는 이유 [7] INTJ11019 24/10/19 11019
507123 [게임] (약후) 엘든링 마리카 고퀄 피규어 [12] 묻고 더블로 가!9209 24/10/19 9209
507122 [LOL] 스위스 스테이지 티저가 실현되야 하는 상황.. [15] Leeka8340 24/10/19 8340
507121 [LOL] 빈이 휴가까지 반납하고 만나고 싶어한 탑 [9] Leeka8462 24/10/19 8462
507120 [LOL] 빈이 다전제에서 가장 크게 털린 시리즈 [12] 포스트시즌7858 24/10/19 7858
507119 [유머] 회사를 다니는 직원의 의무(?) [63] a-ha13694 24/10/19 13694
507118 [기타] 토끼가 죽으면 여우가 운다고 Lord Be Goja8766 24/10/19 8766
507117 [유머] 곽튜브 빠니보틀 근황 [14] Myoi Mina 10345 24/10/19 10345
507116 [유머] 흑백요리사 출연한 비빔대왕 유비빔 예상치 못한 근황 [10] Davi4ever10177 24/10/19 10177
507115 [기타] 핸드폰으로 브릭스 측정가능해질지도 [11] Lord Be Goja8415 24/10/19 8415
507114 [기타] 타기 전엔 멀쩡해보였던 말이었는데... [22] 묻고 더블로 가!10457 24/10/19 10457
507113 [유머] 이만 총총 [35] 유머9908 24/10/19 9908
507112 [기타] 현재 비판 많이 받는 삼성전자의 영광의 리즈시절 [57] Heretic16877 24/10/19 16877
507111 [게임] 스파이더맨2 25년 1월 30일 PC 발매 [25] 롤격발매기원7417 24/10/19 7417
507110 [유머] 사펑2077에 3인칭이 없는 이유 [13] Myoi Mina 8810 24/10/19 8810
507109 [LOL] 1년전과 데칼코마니 [31] Leeka12027 24/10/19 12027
507108 [스포츠] 박지성에게 그만 따라오라고 경고하는 피를로 [5] Croove10991 24/10/19 10991
507107 [유머] 주한 미군 장병들의 애로사항. [36] 캬라11088 24/10/19 11088
507106 [기타] 새로운 달탐사에 쓰이게 될 우주복 [6] a-ha8923 24/10/19 8923
507105 [기타] 등산 갈 때 위장복이 권장되지 않는 이유.jpg [24] insane10992 24/10/19 10992
507104 [기타] 젓가락으로 우주선 잡기 [6] 퀀텀리프7834 24/10/19 7834
507101 [LOL] 한화생명이 올해 세운 기록 [8] 묻고 더블로 가!9775 24/10/19 97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