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29 02:32:12
Name 주말
File #1 Internet_20240829_021442_1.png (1.26 MB), Download : 506
File #2 Internet_20240829_021442_2.png (21.5 KB), Download : 497
출처 인스타
Link #2 https://www.yna.co.kr/view/AKR20240828060400530
Subject [연예인] 외국인 이름, 한국인처럼 '성-이름' 띄어쓰기 없이 쓴다




톰소여, 톰 소여, 소여톰, 소여 톰···.’

외국인 이름이 중구난방으로 기록되어 본인확인이 어려웠다고합니다

이제 행정문서에선 외국인의 성명 표기에 관한 표준병기하에 따라 로마자 대문자로 쓰고 한글을 병기하는 방식으로 통일됩니다.


'TOM(이름) SAWYER(성)'인 경우

로마자ㆍ한글 성명 병기 원칙을 적용하면 표시 이름은 'SAWYER TOM(소여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9 03:21
수정 아이콘
디카프리오레오나르도는 그렇다 치고, 미들네임은 모차르트볼프강아마데우스가 될까요 모차르트아마데우스볼프강이 될까요.
24/08/29 03:24
수정 아이콘
저도 미들네임 처리가 어떻게 되나 궁금하네요
24/08/29 04:17
수정 아이콘
모차르트아마데우스볼프강이 될 듯 합니다.
한국이름을 띄여서 미들네임으로 쓰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더 그럴것 같습니다.
애플프리터
24/08/29 07:41
수정 아이콘
미국식이면 모차르트볼프강아마데우스 입니다.
사이먼도미닉
24/08/29 03:21
수정 아이콘
어허 박존씨
종말메이커
24/08/29 04:33
수정 아이콘
좀 낯설어서 그렇지 익숙해지면 편할것 같네요
손꾸랔
24/08/29 04:49
수정 아이콘
행정문서의 세계에서 벌어질 일이라 속세에는 별 영향이 없을 듯하네요
두억시니
24/08/29 06:25
수정 아이콘
존박은 성이 존이냐 박이냐
코우사카 호노카
24/08/29 06:56
수정 아이콘
닉변해야되나 머엉
24/08/29 07:02
수정 아이콘
행정문서에는 규칙이 필요하니까요
우리야 편한대로 쓰면 되는거고..
24/08/29 07: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성이 존이야 박이야
무한도전 정준하씨는 애타는 궁금증이 풀리게 되었군요 크크
꽁치대장
24/08/29 07:07
수정 아이콘
테드창이 창테드가 되겠군요
24/08/29 10:46
수정 아이콘
테드창은 창씨가 아닙니다 (진지)
24/08/29 07:11
수정 아이콘
순서야 그렇다치고 붙여쓰는 이유는 뭘까요?
24/08/29 07:38
수정 아이콘
한국이름도 붙여쓰니까...?
24/08/29 07: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름이 존이야 박이야
호야만세
24/08/29 09:22
수정 아이콘
에이~ 존이 성이지 앞인데
24/08/29 09:28
수정 아이콘
존잘이니까 존이죠
24/08/29 13:11
수정 아이콘
박존 어서오고
복타르
24/08/29 07:42
수정 아이콘
우리끼리 쓰는거야 별 상관없겠지만,
당장 언론보도부터 행정부 지침을 따를테니 우리에게도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겠죠...
24/08/29 09:18
수정 아이콘
대외적으로 강요 or 권유하는게 아니라 행정문서의 획일화를 위한 순수한 절차상 문제이므로 (행정기관에 제출할 서류를 작성하는 본인을 제외하면) 영향이 1도 없습니다.
시린비
24/08/29 07:50
수정 아이콘
도사카린
달달한고양이
24/08/29 07:55
수정 아이콘
그래도 포터해리는 아니지 않나?!?
비선광
24/08/29 07:59
수정 아이콘
바이든조 트럼프도날드 푸틴블라디미르
24/08/29 13:11
수정 아이콘
어허 날리면조입니다
비선광
24/08/29 18:43
수정 아이콘
앗..
24/08/29 07:59
수정 아이콘
한국 스타일 이름이야 성이 한자나 두자니까 붙여써도 구분이 가능하겠지만, 총합이 열개 스무개되면 성과 이름 구분에 혼동이 많지 않을까요? 하다못해 남궁민을 남씨라고 하는 마당에.
차라리꽉눌러붙을
24/08/29 08:53
수정 아이콘
2222 띄어쓰기는 해야지...
손금불산입
24/08/29 08:03
수정 아이콘
메시리오넬
24/08/29 08:25
수정 아이콘
저는 기본적으로 익숙함 자체는 아무 문제가 안된다는 입장이지만, 행정표기가 결국 그 나라에서의 정식 성명이 되는 거라 생각하면 이게 좋은 건가 싶기도 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홍길동에게 길동홍을 강제하는 나라보다는 홍길동이라는 이름을 존중해주는 나라가 조금 더 반가울 듯해요. 그리고 한글 표기에 띄어쓰기 없는 건 오히려 지속적인 불편을 야기할 거 같습니다.
24/08/29 09:21
수정 아이콘
띄어쓰기의 없음에 불편함이 생긴다면 관공서에 제출할 서류를 작성하는 본인과 이를 처리하는 공무원에 국한될 문제인 것 같네요.
24/08/29 09:55
수정 아이콘
읽는 사람 입장에서 어디서 띄어 읽는지가 한 눈에 안 들어올 거 같아서요. 그나마 우리한테 익숙한 구미권 성명은 좀 나을텐데 중동이나 서남아시아 쪽 이름은 지금보다 더 난해해지지 않을까요. 매번 옆의 영문 표기를 참고해야 할 거고, 한글로만 표기하는 경우('정식 성명'이 되면 이런 경우도 생기지 않을까 싶어요)는 아예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성이고 이름인지를 구분할 수 없게 되니 여러모로 불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이스후니
24/08/29 11:43
수정 아이콘
외국인과 결혼해서 사는데...바뀌는 방식이 좋습니다. 존중보다 지금 방식은 본인인증해야하는 불편함이 생각보다 큽니다.
24/08/29 12:07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당사자들의 불편이 크면 그 해소가 최우선인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류지나
24/08/29 08:31
수정 아이콘
볼볼
24/08/29 08:34
수정 아이콘
미나미아이자와
사나없이사나마나
24/08/29 08:35
수정 아이콘
메드베데프드미트리 라고하면 어디가 성이고 이름인지 모를 거 같은데...
왕밤빵 가사는 강제 개사가 되는 건가요
한발더나아가
24/08/29 08:37
수정 아이콘
레이카미키
흔솔략
24/08/29 08:39
수정 아이콘
행정편의를 생각하면 이게 맞는 방향인듯
카즈하
24/08/29 08:40
수정 아이콘
존박 → 박존
로이킴 → 킴로이
에릭남 → 남에릭
24/08/29 09:01
수정 아이콘
TMI) 로이킴 본명은 그냥 김상우다
카즈하
24/08/29 09:03
수정 아이콘
미원 → 원미
jjohny=쿠마
24/08/29 09:04
수정 아이콘
카즈하 → 하카즈
카즈하
24/08/29 09:05
수정 아이콘
jjohny=쿠마 → 쿠마죠니
완성형폭풍저그
24/08/29 09:05
수정 아이콘
테드창 → 창테드
jjohny=쿠마
24/08/29 09:08
수정 아이콘
테드창 → 김창식

feat. "아니, 창 씨가 아닌데 왜 테드 창인 거야?"
24/08/29 16:15
수정 아이콘
"너 영어 이름 어떻게 짓는 지 모르지?"
애기찌와
24/08/29 08:50
수정 아이콘
리오넬 메시 - 메시 리오넬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호날두 크리스티아누
이렇게 되는건가요?? 입에 착 안붙는데 흐으음
24/08/29 08:51
수정 아이콘
심지어 붙여쓰셔야 합니다?
24/08/29 09:00
수정 아이콘
사실 호날두는 도스산토스아베이루 크리스티아누호날두라고 해야...
24/08/29 08:57
수정 아이콘
귀화인의 경우 성-이름을 붙여서 주민등록 이름을 표기했기 때문에 전부 통일한 느낌이 있네요.
예를 들어 귀화 방송인 구잘 같은 경우 주민등록상 이름은 투르수노바구잘로 표기 되어 있죠.
24/08/29 08:58
수정 아이콘
순서는 그렇다치고, 띄어쓰기는 해야할 거 같은데요...
EnergyFlow
24/08/29 09:02
수정 아이콘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고 한국 서류에는 한국식으로 기입하는게 당연한거죠 사실....
멀쩡한 홍길동을 외국 서류라고 GILDONG HONG 이라고 순서 바꾸고 띄어쓰는걸 당연하다고 생각하면
그 반대도 당연하게 여겨야....
아웃라스트
24/08/29 09:10
수정 아이콘
어차피 실생활에는 영향이 없으니 행정업무에 편한 방법을 써야죠
24/08/29 10:09
수정 아이콘
그래도띄어쓰기는좀합시다.
그렇군요
24/08/29 1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
24/08/29 13:29
수정 아이콘
그 렇 군 요 ! !
김선신
24/08/29 10:23
수정 아이콘
좋네요 우리나라에선 외국이름도 한국법 따라야죠 
고베짱이
24/08/29 10:36
수정 아이콘
피노키오 → 오피노키
완성형폭풍저그
24/08/29 11:25
수정 아이콘
아이언맨 → 맨아이언
R.Oswalt
24/08/29 10:55
수정 아이콘
풍양 조씨 족보에서 파인 바이든 조 ㅠㅠ
나이스후니
24/08/29 11:41
수정 아이콘
외국인과 결혼한 사람으로서 찬성입니다. 특히 영어이름과 한글이름이 함께 있는점인데요
현재는 외국인등록증은 성-이름 순으로 PARK JOHN으로 쓴다면, 혼인신고는 박존으로 씁니다. 영어의 한국어 발음을 규칙에 맞춰 씁니다. 이 규칙도 내가 들리는 기준이 아니라 박조혼이 될수도 있어요. 또, 휴대폰 가입은 외국인등록증 기준이라, 본인인증은 또 영어고...가족 할인같은거는 가족관계증명서와 신분증이 한글과 영어로 다르다보니 이걸 또 설명해야 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행정편의뿐만 아니라, 본인증명시에도 환영할만 합니다
탑클라우드
24/08/29 12:38
수정 아이콘
존 박 댓글... 크크크
24/08/29 13:05
수정 아이콘
저 포스팅의 제목 뽑는 솜씨가 기가막히다는 생각아 드네요 크크
24/08/29 13:56
수정 아이콘
도날드맥
킹버거
존스파파
터치맘스
리아롯데
버거프랭크

위험한게 하나 보이는데
24/08/29 13:58
수정 아이콘
'홍 길동'을 '홍길동'으로 바꾼 것도 어이가 없는데 한 술 더 뜨네요. 한국 이름도 띄어 써야 할 판에 거꾸로 가네요.
24/08/29 14:41
수정 아이콘
한국 이름은 왜 띄어 써야 해요?
24/08/29 15: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래 띄어 쓰던 것을 붙여 쓰기로 바꾼 것인데 그 이유를 밝히지 않고 "성과 이름은 붙여 씀을 원칙으로 한다." 이 말만 앵무새처럼 반복하고 있습니다.

중국·일본처럼 한자 쓰는 나라에서야 한자로 표기할 때 띄어쓰기가 없으니 '홍 길동'을 한자로 쓸 때 '洪吉同'처럼 붙여 쓰는 거야 있을 수 있지만 한글 표기에 띄어 쓰는 현 표기법에서 성과 이름을 붙여 쓸 실익이 전혀 없습니다. 한국 이름에 한자가 들어가니 붙여 써라라는 것 밖에는 안 되는 거죠. 원래 처음부터 붙여 썼으면 관행상 그러려니 하는데 띄어쓰기로 잘 쓰던 것을 붙여 쓰는 것으로 바꾸면서 그 이유를 물으면 '그게 원칙'이라는 말만 무한 반복하고 있습니다.

'연개소문'처럼 성과 이름을 알기 힘든 경우에만 띄어쓰기를 허용한다고 하는데, 띄어 쓰면 어떤 경우에도 예외가 생기지 않는 원칙을 만들 수 있는데 굳이 붙여 쓰면서 '이런 경우에는' '저런 경우에는' 하면서 각종 예외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자 쓰는 나라에서야 쓸 법한 정책을 한글 쓰면서 따라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아이유
24/08/29 21:31
수정 아이콘
킴샘 김샘 김샘...
뭐 알아서 잘 하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5587 [기타] 최근 출시 또는 출시 예정인 과체중러를 위한 맥시멈 쿠션화들 [26] Neanderthal11947 24/09/18 11947
505586 [유머] 수상하게 중국 지명을 고대인처럼 알고 있는 한국인들.jpg [20] Myoi Mina 14887 24/09/18 14887
505585 [유머] 지금 80~90년생들이 컴잘알이 된 이유.jpg [39] 김유라13797 24/09/18 13797
505584 [게임] 승부조작 터졌을때 임요환 반응 [2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353 24/09/18 13353
505582 [유머] 애플뮤직 근황 [15] SaiNT11838 24/09/18 11838
505581 [기타] 귀성길 티맵에게 속은 차들 [47] VictoryFood14869 24/09/18 14869
505580 [유머] 곽적곽 [5] 퍼블레인10548 24/09/18 10548
505579 [방송] 흑백요리사에 나온 고추장닭날개조림 바질을 곁들인 으로 유명한 최강록씨 근황.jpg [11] insane12711 24/09/17 12711
505578 [유머] 송편 만들다가 엄마한테 개쳐맞음 [6] Myoi Mina 9950 24/09/17 9950
505577 [동물&귀욤] 명절 후유증 [4] 퍼블레인7922 24/09/17 7922
505576 [기타] 명절 초딩어택 변형기출.jpg [10] 톰슨가젤연탄구이10140 24/09/17 10140
505574 [기타] 인도 여행영상 올타임 레전드.mp4 [22] Myoi Mina 11444 24/09/17 11444
505572 [기타] 냉전시대 소련군이 거대한 상비군을 유지한 이유 [26] Myoi Mina 10705 24/09/17 10705
505571 [유머] 백수 삼촌 놀리는데 삼촌 아무말도 못함 [2] Myoi Mina 9101 24/09/17 9101
505570 [기타] 싸이월드 시절 인기 여선생님 [21] 퍼블레인13666 24/09/17 13666
505569 [기타] 넌 지금 재미있는거임 [21] Lord Be Goja11305 24/09/17 11305
505568 [유머] 실시간 대구 주차장 근황 [20] 마그데부르크16655 24/09/17 16655
505567 [유머] 혼인신고하는데 연락 온 전여친 [12] 주말14870 24/09/17 14870
505566 [유머] 썸남에게 자기 방 구경 시켜주는 유쾌한 누나.mp4 [6] Myoi Mina 12829 24/09/17 12829
505565 [유머] 은거를 깨고 돌아온 전대 고수 [11] 롯데리아10928 24/09/17 10928
505564 [서브컬쳐] 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특별영상 [9] 김티모7458 24/09/17 7458
505563 [기타] 서울대, 의대도 한 수 접게 만드는 학생증 [29] 쎌라비15607 24/09/17 15607
505562 [기타] 내년추석 [22] 로즈마리9926 24/09/17 99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