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28 17:09:06
Name Leeka
출처 네오위즈 공시
Subject [게임] 피의 거짓 최지원 디렉터 성과급 공개

- 상장사라서 5억 이상 받은 사람 중 TOP5는 공개되어야 하는 법으로 인해 오픈됨..


반년치 연봉 1억 6,600만 + 성과급 12억
(상반기에 받은 돈만 오픈이라 반년치)

RSU(주식 성과 보상) 1만 2,500주는 행사시점이 안되어서 그 시점에 최종 지급액 반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8 17:10
수정 아이콘
받은만큼 dlc도 잘 좀..
시린비
24/08/28 17:24
수정 아이콘
오공 개발진들은 잘들 받으려나
할수있습니다
24/08/28 17:41
수정 아이콘
개발사인 게임사이언스 규모가 지금 100명 좀 넘는것으로 들었으니 판매량 수익 배분 잘하면 사원들도 로또로 갈아넣은 몸 보답받겠지요.
많은 사람들이 무슨 메머드 개발사가 큰자본가지고 시작해서 수백명 투입해서 만든 게임으로 알고있더군요.(진주회사 보고있나?)
이정재
24/08/28 19:10
수정 아이콘
진주시 욕인줄...
크레토스
24/08/28 18:09
수정 아이콘
개발비가 700억원이라는데 지금 1500만장 팔려서 매출만 거의 1조죠
전부 10억씩 보너스 줘도 이익 많이 남을듯요
manbolot
24/08/28 18:17
수정 아이콘
실질적으로 개발사에 들어오는것은 많아야 20%정도라 그정도까지는 아닙니다
크레토스
24/08/28 19:34
수정 아이콘
이 기세면 2000만장 얘기도 나오던데요
그 이상도 가능해보이고요
판매량 증가속도가 미쳤습니다
MagnaDea
24/08/28 21:09
수정 아이콘
많아야 20%는 아니지 않나요? 퍼블리싱 계약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제가 있었던 곳들의 경우에 보통 5:5 또는 4:6 정도이고, 스팀이 일정 규모 이상에 대해서 수수료 할인이 있어서 아마 수수료 20% 가져갈텐데 그러면 30 - 40% 사이인데다가 일단 '공식적으로' 오공의 경우 퍼블리셔가 없으니, 그 외 로열티(엔진 로열티라던가...) 다 제외하더라도 60 = 70% 정도는 먹지 않을까 싶은데요. 물론 개발비 상각하고 분배하는 건 또 다른 얘기긴 합니다만...
manbolot
24/08/28 2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텐센트 계열사로 검색해보니 나오는게 텐센트가 사실상 글로벌 퍼블리싱 했을테니 뭐 퍼블리셔 비용은 여기서 가져가긴 하겠네요
MagnaDea
24/08/28 21:29
수정 아이콘
퍼블리싱 비용, 스토어 수수료, 엔진(언리얼 5 기준) 비용, 기타 애드온 다 감안해서 개발사 수익 30-35% 정도 잡는 게 일반적이고, 그런 곳에서 일하는 중입니다. 거기에 자체 퍼블리싱 기준이라면 초반 마케팅 비 얼마나 집행되었는지 모르겠지만 한국 기준 보통 AAA 마케팅 비가 1-200억 사이라는 걸 감안했을 때, 정말 잘 쳐줘서 오공 마케팅 비가 300억을 넘진 않았을거라 보고, 마케팅 + 개발비 합치면 천 억에 마켓 수수료 20%, 엔진 턴키 계약 없었다는 전제 하에 5%, 애드온의 경우 러닝로열티를 잡는 경우를 거의 못 봐서(보통 시트당, 아니면 프로젝트 당 가격으로 잡는 경우만 봤습니다.) 비용은 모르겠습니다만, 개발비에 매몰시킬 수 있을 정도라고 보고, 진짜 소문대로 오공이 2000만장 바라보고 매출이 1조를 찍는다면 위 계산대로 넉넉잡고 6000억 정도를 수익으로 볼 수 있을겁니다. (세금 제외) 자체 퍼블리싱 해도 20% 라는 계산의 근거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anbolot
24/08/28 21: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애드온 5%, 퍼블 40%, 스토어 30%, 엔진5% 잡고 기타비용 제하면 20%쯤 생각했지요
(5000만불 이상면 스토어 20%로 보이니 얼추 30%는 맞겠네요)

첫 잣품이고, 큰 규모의 회사가 아니니 대충 먹는거 20% 쯤 봤고요
근데 텐센트 자회사로 보이니 퍼블비용은 생각이상으로 낮게 받았을테고, 거의 절반 가까이는 개발사가 가져갈 수 있겠네요

맨날 모바일 개발만 있으니 당연히 수수료는 30%로 생각한게 문제였네요
MagnaDea
24/08/28 21: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애드온이 5%가 될 일이 없고, 퍼블리셔가 40% 정도 밖에 안 가져가는 착한 퍼블리셔일리도 없습니다. (4:6 계약은 업계 생활하며 딱 한 번 경험했었습니다.) 그리고 로열티 계산을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계산하면 애드온을 5%로 잡아도 35%가 나옵니다. 보통 6:4 계약 기준 25%, 5:5 계약 기준 32%가 엔진 턴키 계약을 하지 않았을 때 일반적인 계약이며, 규모가 있는 AAA게임이라 턴키 계약을 했을 경우 27% ~ 34% 정도가 예상 가능한 개발사의 수익일 겁니다. 참고로 이는 모바일의 경우며, 스팀의 경우 당연히 매출 700억은 넘었을테니 20% 수수료일거고, 그래서 30% - 38% 정도를 예상할 수 있을테니 대충 30-40% 정도로 말씀드린 겁니다.
manbolot
24/08/28 22:28
수정 아이콘
총 매출 기준으로 생각했습니다.
마켓 수수료 30% 제하고 70%의 0.6하면 40%정도 나오니까요
뭐 정확한거는 해당부분 현업에 계신듯 하니 저보다는 훨씬더 잘 아시는듯 하고
개발사 직원 기준인 본인으로서는 대부분 모바일 게임이 대략 개발사에 20%정도 떨어지는 거는 인지하고 있으니까요.
수지앤수아
24/08/29 08:29
수정 아이콘
제가 옆에서 본 경우들을 생각해도 모바일이 아닌 패키지 게임이라도 퍼블끼면 절대로 40% 못 넘는다고 봅니다.
맥시멈 35% 생각...
MagnaDea
24/08/29 08:48
수정 아이콘
수지앤수아 님// 이게 많이 잘 되면 스팀 수수료 할인 때문에 40 가까이 나올 수도 있다고 계산한 거고, 일반적인 케이스라면 35가 맥시멈인건 맞습니다. 20%라고 자꾸 주장하시길래 그거보단 높다고 말씀드린 겁니다.
24/08/28 17:33
수정 아이콘
이분은 그래도 디렉터라 타 개발진 빼돌려서 회사 차려버리기 시전하진 않겠죠?
김유라
24/08/28 17:35
수정 아이콘
더 받아도 된다봅니다 크크

스토리도 너무 좋았고, 게임성도 훌륭했고, 최적화는 요즘 게임들 고려하면 신급입니다
24/08/28 17:40
수정 아이콘
굉장히 재밌게 했습니다..크크
덴드로븀
24/08/28 17:48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200만장정도 팔렸다고하고 앞으로도 시리즈 내서 충분히 팔아먹을수있을테니 돈 충분히 주고 굴려야죠 크크
묻고 더블로 가!
24/08/28 17:55
수정 아이콘
이래서 리스크 감수하더라도 AAA급 만드는 구나
안군시대
24/08/28 17:56
수정 아이콘
도로시 떡밥 던졌으니 DLC 내주...겠죠? 설마?
탑클라우드
24/08/28 17:57
수정 아이콘
좋은 게임이 나와 수익을 만들었다면 개발진들에게 잘 분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다른 개발자들도 비전을 얻고 불태워보죠.
사이먼도미닉
24/08/28 17:59
수정 아이콘
콘솔이라는 한국 게임업계의 리스크를 그 이상으로 리턴시킨 사람이라 이해가 되긴 하네요
종말메이커
24/08/28 18:02
수정 아이콘
성과급 하니 배틀그라운드 성과급이 생각나네요
그말싫
24/08/28 18:08
수정 아이콘
네오위즈는 이제 콘솔 쪽에 집중하는 모양새인데, 피의거짓 정도 성과 낸 개발팀에 보상이 안 돌아가면 회사 전략을 이어갈 수가 없겠죠.
할수있습니다
24/08/28 18:22
수정 아이콘
사실 PSP시절이후부터 DJMAX등 꾸준하게 콘솔게임을 발매하고있는 거의 유일한 회사라서 애정하는 회사입니다.
호랑이기운
24/08/28 18:26
수정 아이콘
반년치 연봉이라니 이 혼종같은 단어
24/08/28 18:57
수정 아이콘
최지원 디렉터면 저거보다 더 받아도 무방하죠 크크
모나크모나크
24/08/28 19:36
수정 아이콘
저도 소울을 시작하게 된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타격감도 좋았고 보스들이나 필드 분위기 디자인이 좋아서 돌아다니는 맛이 났어요.
제육볶음
24/08/28 20:36
수정 아이콘
더 잘됐으면 좋겠다
소금물
24/08/28 20:5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단 안크네 싶기도 했는데, 주식 생각하면 더 받겠네요. 충분히 성공시켰으니
24/08/28 21:24
수정 아이콘
연봉의 50%라고 써주세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5506 [기타] 논란의 수학 문제 48 ÷ 2(9 + 3)에 대한 강의 [16] 투투피치8780 24/09/16 8780
505505 [기타] 국가별 가정용 에어컨 설치 비율 [22] VictoryFood9413 24/09/16 9413
505503 [유머] 한중일 볶음밥을 만들어 본 500만 요리 유튜버 [15] VictoryFood9676 24/09/16 9676
505502 [기타] 베테랑2 평가 근황.JPG [78] 실제상황입니다14178 24/09/15 14178
505501 [기타] 결말 보면 할 말을 잃게 만드는 영화들.jpg [51] 실제상황입니다15356 24/09/15 15356
505500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 연휴 혼밥 혼술 [10] pecotek9243 24/09/15 9243
505499 [유머] 공포 게임 주인공으로 환생하는.manhwa [11] Myoi Mina 8978 24/09/15 8978
505498 [기타] 김천 김밥축제 마스코트 [31] 카루오스12304 24/09/15 12304
505497 [유머] 미국 대선 TV토론에서 카멀라 해리스가 선전한 이유 [31] 사람되고싶다11731 24/09/15 11731
505496 [기타] 세계 최초 3단 폴더블 화웨이 메이트 XT 실기 영상 [18] Heretic9603 24/09/15 9603
505495 [유머] 로봇이 아닙니다의 작동 원리.jpg [8] 김유라10185 24/09/15 10185
505494 [서브컬쳐] 좋았쓰!! 고양이 실물 [11] 우스타8674 24/09/15 8674
505493 [유머] ??: PS5 프로는 가격을 인상한 게 아닙니다. [29] 길갈9682 24/09/15 9682
505492 [스포츠] 운동 맛있게 잘먹는 영상 [2] TQQQ9023 24/09/15 9023
505490 [기타] 진상인지 아닌지 엄대엄으로 갈리는 쿠팡썰 [46] 붕붕붕13765 24/09/15 13765
505489 [유머] 김영철이 푸는 부산 구치소 썰.jpg [13] Myoi Mina 12971 24/09/15 12971
505488 [유머] 전설의 비행기 갑질 사건 [29] 길갈12123 24/09/15 12123
505487 [게임] 크래프톤, 이번엔 폰팰월드? [19] 묻고 더블로 가!9075 24/09/15 9075
505485 [유머] 추억의 여경 누나들 근황.jpg [15] 캬라15349 24/09/15 15349
505484 [유머] 대호연 갤러리 근황 [17] 사람되고싶다11225 24/09/15 11225
505483 [동물&귀욤] 외출했다가 돌아와보니 자기집에 인간이 들어와 있어서 당황한 곰.mp4 [20] insane10139 24/09/15 10139
505480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의 주말 아점 [31] pecotek13288 24/09/15 13288
505479 [기타] 경향신문의 슈카월드 저격..JPG [97] 실제상황입니다18568 24/09/15 185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