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23 13:16:19
Name insane
File #1 7391588869_486616_b8b5a5845111bdd64c4d5c8db3b79d00.jpg (139.7 KB), Download : 145
File #2 7391588869_486616_1628b0fa82b1720546d1df8def4c740f.jpg (140.8 KB), Download : 137
출처 유튜브.fmkorea
Subject [기타] 소방청에서 알려주는 완강기 사용법.mp4 (수정됨)






생각보다는 간단해보이는데
경험하고 안하고 차이가 크겟네여


1.완강기는 양쪽 끝 노란띠를 번갈아 사용하면서
내려오는 구조라는군요

2 아파트의 경우 10층까지만 완강기가 설치됨
그 이상 층은 10층으로 대피하거나 옥상을 통해
다른 라인으로 대피해야함


3 최대하중은 150kg이기 때문에 체중관리 필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3 13:19
수정 아이콘
이런 게 정말 학교에서 미리 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여수 말고도 이런 거랑 생존 수영 등 가르쳤으면 좋겠어요
덴드로븀
24/08/23 13:32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28552?sid=102
[초등학교 ‘생존 수영’ 의무화했더니… 물엔 안 들어가고 참관 수업] 2024.04.16.
생존수영은 이미 2020년에 의무화됐지만 현실적으로 완벽하게 수업이 이루어지긴 힘든 상황이죠.

2023년 3월 기준 전국 초등학교 수 : 6175곳 / 수영장 보유 122곳
교육청 보유 수영장 40곳
지자체 등의 수영장 810곳
24/08/23 13:53
수정 아이콘
근처 수영장 제휴해서 하더군요
10빠정
24/08/23 14:43
수정 아이콘
우리아들 생존수영 배우더라구요. 근처 수영장으로가서 배웁디다
김태연아
24/08/24 11:15
수정 아이콘
민간수영장과 제휴해서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저출산 예산이 쓰이더군요
짐바르도
24/08/23 13:24
수정 아이콘
훈련상 한번 써봤는데 훈련 없으면 이거 써보지도 못하고 죽겠구나 싶은... 
보신탕맛있다
24/08/23 13:41
수정 아이콘
저희아파트가 2004년 준공인데 몇년전 관리사무소에서 완강기를 설치해주긴 하더군요 뭐 시행령같은 게 떨어져서 해주지 않았나 싶은데요 문제는 설치후 작동에 대한 설명을 한번도 해주지 않았다는 겁니다 실제로 사고가 나면 이에대해 관리소에 법적 책임을 물을 수도 있을 거 같은데 왜 중요한 걸 빠뜨렸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아요
시린비
24/08/23 13:27
수정 아이콘
어렵고 무서워보이긴한데 이번에 에어매트 탈출실패 영상을 보고나니 저게 훨씬 나을거같단 생각은 드네요....
에어매트 성공사례만 영화드라마에서 봐왔는데 허
덴드로븀
24/08/23 13:35
수정 아이콘
문제는 이번 에어매트 사고가 난 호텔에는 완강기가 있을까부터도 의문이고,
완강기가 있었다고 해도 2003년도에 지어진 건물이니 제대로 관리된 상태라는 보장도 없죠...
경마장9번마
24/08/23 13:29
수정 아이콘
예전 살던 원룸 테라스에 완강기가 달려 있었는데 (9층이었습니다.) 볼 때마다 느끼는 게 관리도 안하는데 이게 정말 내 몸무게를 버틸 수 있을까? 벽에서 뽑히는 것 아닐까? 줄 끊어지는 거 아닐까 라고 오만 생각이 다 들긴 했습니다. 심지어 뚜껑이 제대로 안 닫혀서 비오면 완강기 줄 박스에 물이 가득 차는 것을 한참 후에 알게되어서 박스에 물 다 비우고 실내에 보관하기는 했습니다만 이미 안에는 다 녹이 슬어서...
하아아아암
24/08/23 13:31
수정 아이콘
전에 살던 곳에 있어서 유심히 사용법 봤던 기억이... 근데 불났을때 탈 수 있을진 잘 모르겠더라구요
덴드로븀
24/08/23 13:37
수정 아이콘
보통 화염보단 유독가스(검은연기) 때문에 시야확보도 안되고 숨몇번만 쉬어도 정신이 혼미해지는거라
저 수많은 단계를 완벽히 수행할수있으려면 저런 완강기가 있는곳에 연기가 한참동안 오지 않는 상황일때만 가능하겠죠...
하아아아암
24/08/23 13:39
수정 아이콘
완강기는 대피실(패닉룸)에 별도로 있긴했는데 다들 여기 창고로 쓰지않나 하는 생각이... 저도 휴지같은거 몇개 두기도 했었고
보신탕맛있다
24/08/23 13:34
수정 아이콘
저는 중고등 커리큘럼에 불필요한 과목들 배제하고 전기 소방 교통 화재 전염병에 관련된 포괄적인 안전 과목과 노동법에 관한 과목이 신설되었음 합니다 이거 진짜 필요해요 돌발적인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이 반드시 있어야하고, 일을 한다고 하면 사용자가 되거나 근로자가 되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노동법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모자라 서로 손해보는 일 절대로 없어야 하거든요 이런 걸 등한시 하는 현 풍토가 답답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8/23 13:40
수정 아이콘
뭐 현 커리큘럼 중 불필요한거라...음...
보신탕맛있다
24/08/23 13:46
수정 아이콘
뭐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선순위로는 실과 가정 기술 이런 과목들이요 교련만큼이나 불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Hamartia
24/08/23 14:33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만 현실적으로 없애기가 어렵죠..
24/08/23 15:40
수정 아이콘
뜨개질 재밌었는뎅...
24/08/23 16:44
수정 아이콘
실생활 기여라는 의미에서는 오히려 미분적분 이런 것보다 더 필요하지 않나? 싶을 수도 있는 과목들이죠;
No.99 AaronJudge
24/08/23 19:58
수정 아이콘
실과 가정 기술 이런거 일상생활에 써먹을 수 있나..측면으로 보면 사실 유용하긴 굉장히 유용하다 싶어요
한발더나아가
24/08/23 13: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있는 피난기구죠

저거 쓰고 살았다는 경우도 극히 드물어 보여서 솔직히 효용성이 있나 싶습니다
고라니라고
24/08/23 13:39
수정 아이콘
학원에서 튈때 사용해본...
뜨거운눈물
24/08/23 13:51
수정 아이콘
집에 있는건데 저렇게 쓰는거였군요
24/08/23 14:07
수정 아이콘
체중 관?리 필?요
쪼아저씨
24/08/23 14:13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살았던 아파트, 오피스텔들 전부 옥상은 잠겨 있었는데, 10층 이상은 옥상 찾아가다가 잠긴문 앞에서 다 질식해 죽지 싶어요.
열어놓으면 자살할까봐 + 담배피러 올라가서 라고 하는데, 그래도 열어놔야 하지 않나 싶은데.
옥상문 잠그는게 소방법 위반도 아니라는것 같더군요.
돔페리뇽
24/08/23 14:13
수정 아이콘
아, 10층까지만 있군요? ...
덴드로븀
24/08/23 14:52
수정 아이콘
10층이면 보통 20~25미터 수준의 높이라 저걸 타고 바닥까지 안전하게 내려올수있을거란 보장이 없죠...
유료도로당
24/08/23 14:28
수정 아이콘
어디 가서 완강기 볼때마다 생각합니다. 살면서 저걸 한번도 안해봤는데 위급상황에 내가 저걸 쓸수있을까?
예비군 훈련에서 저거라도 시켜줘야하는거 아닌가 하고요.
24/08/23 14:40
수정 아이콘
어후 개무섭네.. 고소공포증
황신강림
24/08/23 14:51
수정 아이콘
어린이가 있으면 같이 안고 내려와도 될까요?
덴드로븀
24/08/23 14:54
수정 아이콘
https://www.media24.kr/21808
[완강기 사용법 알아보기] 2018/02/19
가벼운 어린이는 안전벨트를 채워 위에서 줄을 당겨 내려보내야 한다.
안전벨트 착용이 불가능한 영유아는 아기띠 등으로 보호자 몸에 밀착시켜 함께 하강한다.
[절대 아이를 손으로 안고 내려가선 안 된다. ]
황신강림
24/08/23 14:5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아들이 초1이라 갑자기 궁금했네요 감사합니다.
사이버포뮬러
24/08/23 14:57
수정 아이콘
어우..저라면 창문에 안전장치가 있는 지 없는 지 확인 과정부터 멘붕이 올 것 같네요.
한글자
24/08/23 15:10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한번 사용해본 경험 없으면 급한 마음에 당황해서 골든타임 놓치기 쉽겠네요.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익혀야 할 것 같습니다.
예전 화재 때는 두 명이 동시에 타서 추락한 안타까운 사고도 있었기 때문에 반드시 한번은 경험해봐야 하는 기구인 듯.
손꾸랔
24/08/23 15:11
수정 아이콘
예전에 TV에서 봤던건 그 뒤로 기억이 한개도 안났는데 이건 작동원리가 대략 이해 되네요. (완강기 종류가 바뀐건가?)
근데 상자 속에 예쁘게 포장해두기보다는 평소에 벨트 설치까지는 미리 해두고 있는게 위급시에 쓸모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24/08/23 15:28
수정 아이콘
평소에 쳐다도 안 보는데 스터디카페에 있으니깐 마스터하게 되더라구요
역시 공부 빼고 다 잘되는 공간...!
종말메이커
24/08/23 15:57
수정 아이콘
좀더 쉽고 직관적으로는 안될까요?
배우기 싫다 불평하는게 아니라 더 폭넓은 사람이 구조받을수 있도록 뭔가 단계를 더 줄일만한게 없나 싶긴 한데요
24/08/23 16:1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체험 해봤는데 저같은 일반인은 절대 못할껍니다. 

일단 믿음이 안가게 생겼고(?) 사용법도 모르고.  

중요한건 진짜 대피해야될 순간에 위나 아래로 달려가지 않고 저걸 꺼내서 실행한다는게 불가능 할꺼 같았습니다.
미카엘
24/08/23 16:37
수정 아이콘
완강기는 소방법에 의해 주기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는 설비라 믿고 쓰셔도 됩니다.
24/08/23 17:02
수정 아이콘
물론 머리로는 믿죠. 그리고 안전하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막상 몸을 저기에 의지하려니 불신이.....진짜 체험(?)이라도 해봤으니 아 이렇게 작동하는거구나 싶긴 하더군요. 
24/08/23 16:36
수정 아이콘
민방위 할때 가르쳐줘서 잘 기억해뒀었는데 또 까먹었네요
민방위 안전 관련 교육들은 참 알찼다고 생각했습니다. 학교에서도 알려줘야 할만한 것들이 많았던
TWICE NC
24/08/23 17:08
수정 아이콘
제발 이런건 의무 교육 진행해야 합니다
성인은 민방위(여성도 민방위 필참 시켜야죠)
이 곳에서 현재 가장 중점적으로 교육하는게 화재시 이동법(연기 피해 이동)과 심폐소생술입니다
추가로 완강기 정도는 교육해도 될 듯 합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4/08/23 19:11
수정 아이콘
직장 의무교육때 소방서 가서 해봤는데...

처음 타면 놀랍니다...

처음 느낌이 확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4635 [유머] 렉카 구제역 의외의 사실.jpg [14] 캬라11901 24/08/28 11901
504634 [유머] 헛소리하는 사람 상대로는 헛소리로 [6] 김아무개8913 24/08/28 8913
504633 [기타] 대전에 이주하고 느끼게 되는 점? [48] TQQQ11158 24/08/28 11158
504630 [LOL] 롤 근황 [38] 껌정11063 24/08/28 11063
504629 [유머] "플랜더스의 개" 국내 최초 번역본 제목 [9] Neanderthal8535 24/08/28 8535
504628 [유머] 논란이 됐던 공무원 성과평가 몰아주기.jpg [86] 北海道11882 24/08/28 11882
504627 [유머] NC 직원의 자사 평가.jpg [24] Myoi Mina 10871 24/08/28 10871
504626 [유머] 군대에서 수염으로 포상휴가 받은 썰 [11] 김아무개9825 24/08/28 9825
504625 [게임] 신창섭 덕분에 재조명 되는 전통 탈춤의 기원 [6] 된장까스8060 24/08/28 8060
504624 [기타] 룵싨룵싨룵싨룵싨룵싨룵싨 [35] 삭제됨10303 24/08/28 10303
504623 [게임] 아틀리에 신작 트레일러 [3] 묻고 더블로 가!7024 24/08/28 7024
504622 [스포츠] 바둑 역사상 최고의 묘수로 손꼽히는 한 수 [10] 물맛이좋아요12199 24/08/28 12199
504621 [기타] 이연복 쉐프가 레시피에서 생강을 제외한 이유 [3] 물맛이좋아요10695 24/08/28 10695
504620 [기타] 전용준 캐스터가 수기로 대본을 작성하는 이유 [5] 물맛이좋아요8885 24/08/28 8885
504619 [기타] 최강록 쉐프가 짧은 집게를 사용하는 이유 [2] 물맛이좋아요9493 24/08/28 9493
504618 [게임] 사골은 우려도 끝이 없다 feat.궤적 [32] 아드리아나10888 24/08/28 10888
504617 [동물&귀욤] 골뎅이가방멘 골뎅이 [6] 김아무개7420 24/08/28 7420
504615 [기타] 본인들만 모르는 것 같은 것 [8] 닉넴길이제한8자10892 24/08/27 10892
504614 [유머] 국내 최정상 게임사 화제의 기대작 최신식 UI 근황 [24] 사람되고싶다11679 24/08/27 11679
504613 [방송] 600만불의 사나이 전투씬 [9] 그10번11392 24/08/27 11392
504612 [유머] 나이별 백종원 [29] Croove13798 24/08/27 13798
504611 [기타] 약간후방)마인크래프트를 하고 싶어서 복근(?)을 공개한 버추얼BJ [13] 물맛이좋아요13842 24/08/27 13842
504610 [스타1] 역대 스타리그 오프닝 모음 [28] Croove8271 24/08/27 82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