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22 17:00:45
Name Croove
출처 OGN 채널
Subject [스타1] 홍진호 프로게이머로써 포스 넘치던 시기 (수정됨)
외모적인 부분
야외무대의 약간 푸르스름한 조명 + 샤프한 안경 + 날카로운 눈빛
경기준비 브금(Soulfly - pain)과의 조합


경기력적인 부분
당시 홍진호vs박경락 상대전적(7:1)
토스전 제외한 테란/저그전의 무시무시한 승률

하지만 경기 결과는?
P.S 박경락 선수 그립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2 17:03
수정 아이콘
확실히 프로게이머 홍진호는 재평가 되어야 한다 생각하지만 (왕중왕전 우승 인정, 당시 막장 밸런스의 맵들)
그냥 현재 행복해보이니 2의 밈으로 남는 것도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크크
전기쥐
24/08/22 17:08
수정 아이콘
진짜 홍진호가 겪은 맵들은 저그가 어떻게 이기나 싶을 정도로 심각하긴 했네요.
24/08/22 17:11
수정 아이콘
뭐 그시절 개념 혹은 메타도 생각할 문제긴하지만 지금와서 보면 맵이 진짜 말도 안되긴하죠 크크
사이퍼
24/08/22 17:1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수 많은 억까들때문에 평생을 즐길 수 있고 방송인으로서 활약할 수도 있는 밈이 생겼으니
정말 새옹지마 그 자체
한화거너스
24/08/22 17:11
수정 아이콘
아.. 박경락 선수 보니 울컥하네요.
24/08/22 17:12
수정 아이콘
박경락 선수가 그립다길래 무슨 의미인가하고 검색해보니 하늘나라로 갔군요. 전혀 몰랐네요...아이고 ㅜㅜ
24/08/22 17:21
수정 아이콘
조진락중 조용호는 결국 셋중 유일하게 우승했고, 홍진호는 방송인으로 남부럽지 않게 성공했는데 박경락은...
지구 최후의 밤
24/08/22 17:27
수정 아이콘
오늘 갑자기 스타 관련 글이 많이 올라오네요.
이정후MLB200안타
24/08/22 17:40
수정 아이콘
그립습니다 박경락 선수ㅠㅠ
Davi4ever
24/08/22 17:48
수정 아이콘
저는 홍진호의 최전성기가 2002년 1분기였다고 생각하고, 왕중왕전 우승은 인정받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와 별개로 당시 테저전 맵밸런스에 대한 부분은 너무 지금의 상황을 그 시대에 맞춘 느낌이 있다고 봐요.
그때 테저 밸런스는 그렇게까지 극악은 아니었습니다. 그랬다면 홍진호가 왕중왕전+위너스 챔피언십 우승하는 상황이 안 나왔겠죠.
그 시대에 진짜 심각한 건 본선진출조차 어려웠던 프로토스였는데 거기에 대한 언급은 별로 없죠...
대단하다대단해
24/08/22 17:54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에도 진짜 토스가 심각했죠.
16명중에 3명진출 선방 4명진출 대박 1~2명 진출 절망
이런 흐름이었죠.
전기쥐
24/08/22 17:56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절망기가 머큐리 맵 쓰였던 때에 박정석이 시드로 혼자 본선 진출 뭐 그랬던거가 생각나네요.
유료도로당
24/08/22 17:59
수정 아이콘
임요환이 '야 그때 맵이 그렇게 저그한테 불리했으면 넌 결승까지 어떻게 몇번이나 왔냐?' 라고 했다는게 생각나네요 크크
종말메이커
24/08/22 18:01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기준으로 말하면 당대는 임요환의 시대였고 임요환의 저그전 앞에 추풍낙엽처럼 쓸려나가는 저그들에 비해 희대의 사기소리를 듣는 라그나로크와 테란에게 유리한 편인 홀오브 발할라를 끼고도 3:2로 선전한 홍진호가 특히 뇌리에 많이 남아 맵밸런스 문제가 좀 과대표됐죠
그리고 실제 비율상으로는 소수였지만 김동수와 박정석이라는 걸출한 토스유저들이 임요환을 상대로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가을의 전설을 써내려가는 바람에 약체 이미지가 많이 희석됐죠
전기쥐
24/08/22 18:09
수정 아이콘
저그는 이상하게 우승을 오랫동안 못했죠. 온게임넷은 박성준이, 엠비씨게임은 박태민이 최초였을거에요. 아 물론 왕중왕전까지 포함한다면 홍진호가 처음이지만요.
Davi4ever
24/08/22 18:18
수정 아이콘
저는 테사기 이야기를 장난스럽게 하는 것까지는 몰라도, 진지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습니다.
홍진호는 테란과 치열하면서 이기고 지고를 반복하며 멋진 역사를 만들었는데,
누군가는 그 이야기를 테사기와 테란맵으로 퉁쳐버립니다. 결과가 모이고 많은 이들이 우승에 집중하니 그렇게 보이는 것이지
2001~2003년의 스타판을 지켜본 분들은 테vs저가... 기울더라도 그렇게까지 기울어 있진 않았다는 걸 기억하실 겁니다.

당시 테란강자들이 세운 업적을 '테사기' '테란맵'으로 퉁치는 것보다
홍진호의 왕중왕전-KPGA 위너스 챔피언십 우승에 더 집중하는 게 보다 건설적인 역사 정리라고 생각합니다.
홍진호는 테란 강자들에게 일방적으로 밀린 '패배자'가 아닌, 치열하게 싸워왔던 '경쟁자'였습니다.
24/08/22 22:18
수정 아이콘
"그렇게까지"가 얼마만큼인지...대략 한 6:4 ? 혹은 5.5:4.5 정도로 어려운 건 맞는 듯 하고
최소한 홍진호가 결승전에서 맵으로는 손해 본 기억이 많지 않나요?
짐바르도
24/08/22 17:51
수정 아이콘
아 박 선수가 병이 아니라 스스로 세상을 등진 거였군요...
부대찌개
24/08/22 18:22
수정 아이콘
이것은 홍진호 선수글인가 박경락 선수글인가 ㅠㅠ
24/08/22 20:39
수정 아이콘
테란유져인데 홍진호 코카콜라배때 보고 스타에 빠졌었는데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6008 [유머] 택시기사 : 뭐 약속 시간에 늦었다구요? [47] 길갈14194 24/09/26 14194
506007 [유머] 안성재와 최현석의 관계 [12] Leeka12891 24/09/26 12891
506006 [게임] 86년생 젤지영 메타 점수 [12] 악질12074 24/09/26 12074
506005 [스포츠] 5위는 자력진출이 불가하지만 6위는 자력진출 가능? [23] 러브포보아11256 24/09/26 11256
506004 [유머] 고속도로 통행료 미납 됐다고 메일 왔음 [13] Myoi Mina 12660 24/09/26 12660
506003 [유머] 월요일까지 시말서 써오라는데 [13] Myoi Mina 10233 24/09/26 10233
506002 [기타] 동탄 경찰서 근황.jpg [15] Myoi Mina 12575 24/09/26 12575
506001 [동물&귀욤] 고양이가 뱀의 천적인 이유 [29] 묻고 더블로 가!9903 24/09/26 9903
506000 [방송] 심폐지구력 기르는 꿀팁 [22] 묻고 더블로 가!11126 24/09/26 11126
505999 [유머] 현재 환희에 빠진 주식커뮤니티들 상황 [22] 보리야밥먹자18460 24/09/26 18460
505998 [유머] 불타오르던 운동의욕이 싹 사라지는 순간 [35] 껌정13576 24/09/26 13576
505997 [방송] [흑백요리사 스포] 최현석 활약상 [23] Madmon11372 24/09/26 11372
505996 [동물&귀욤] 숏애니메이션 대홍수 이전의 생물들.youtube [2] Thirsha7438 24/09/26 7438
505995 [기타] 한국어를 몰라서 당했다는 외국인 [9] Lord Be Goja11009 24/09/26 11009
505994 [연예인] 콜드플레이 내한공연 회차 추가 오픈 [10] 슬로8093 24/09/26 8093
505993 [스포츠] 어둠은 빛 날때 자라난다 [3] Lord Be Goja7220 24/09/26 7220
505992 [기타] 사천 근처에서 고속기동중인 KF-21 [20] 아롱이다롱이8887 24/09/26 8887
505991 [유머] 제삿상 차리는데 선넘는 잔소리하는 큰아버지 [17] Myoi Mina 11055 24/09/26 11055
505990 [유머] 흑백요리사 피디 다음 신작 공개 [18] Leeka11310 24/09/26 11310
505989 [기타] 삼성 메모리,위기돌파 대책 간다 [37] Lord Be Goja11531 24/09/26 11531
505988 [게임] 최근 미소녀 게임 물리엔진 [7] 묻고 더블로 가!8191 24/09/26 8191
505987 [LOL] 롤 캡챠 난이도 최상 [17] 데갠10594 24/09/26 10594
505986 [기타] 러닝 취미붙이려는 사람들을 위한 추천아이템모음.JPG [28] insane10770 24/09/26 107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