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8/22 17:00:45
Name Croove
출처 OGN 채널
Subject [스타1] 홍진호 프로게이머로써 포스 넘치던 시기 (수정됨)
외모적인 부분
야외무대의 약간 푸르스름한 조명 + 샤프한 안경 + 날카로운 눈빛
경기준비 브금(Soulfly - pain)과의 조합


경기력적인 부분
당시 홍진호vs박경락 상대전적(7:1)
토스전 제외한 테란/저그전의 무시무시한 승률

하지만 경기 결과는?
P.S 박경락 선수 그립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2 17:03
수정 아이콘
확실히 프로게이머 홍진호는 재평가 되어야 한다 생각하지만 (왕중왕전 우승 인정, 당시 막장 밸런스의 맵들)
그냥 현재 행복해보이니 2의 밈으로 남는 것도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크크
전기쥐
24/08/22 17:08
수정 아이콘
진짜 홍진호가 겪은 맵들은 저그가 어떻게 이기나 싶을 정도로 심각하긴 했네요.
24/08/22 17:11
수정 아이콘
뭐 그시절 개념 혹은 메타도 생각할 문제긴하지만 지금와서 보면 맵이 진짜 말도 안되긴하죠 크크
사이퍼
24/08/22 17:1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수 많은 억까들때문에 평생을 즐길 수 있고 방송인으로서 활약할 수도 있는 밈이 생겼으니
정말 새옹지마 그 자체
한화거너스
24/08/22 17:11
수정 아이콘
아.. 박경락 선수 보니 울컥하네요.
24/08/22 17:12
수정 아이콘
박경락 선수가 그립다길래 무슨 의미인가하고 검색해보니 하늘나라로 갔군요. 전혀 몰랐네요...아이고 ㅜㅜ
24/08/22 17:21
수정 아이콘
조진락중 조용호는 결국 셋중 유일하게 우승했고, 홍진호는 방송인으로 남부럽지 않게 성공했는데 박경락은...
지구 최후의 밤
24/08/22 17:27
수정 아이콘
오늘 갑자기 스타 관련 글이 많이 올라오네요.
이정후MLB200안타
24/08/22 17:40
수정 아이콘
그립습니다 박경락 선수ㅠㅠ
Davi4ever
24/08/22 17:48
수정 아이콘
저는 홍진호의 최전성기가 2002년 1분기였다고 생각하고, 왕중왕전 우승은 인정받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와 별개로 당시 테저전 맵밸런스에 대한 부분은 너무 지금의 상황을 그 시대에 맞춘 느낌이 있다고 봐요.
그때 테저 밸런스는 그렇게까지 극악은 아니었습니다. 그랬다면 홍진호가 왕중왕전+위너스 챔피언십 우승하는 상황이 안 나왔겠죠.
그 시대에 진짜 심각한 건 본선진출조차 어려웠던 프로토스였는데 거기에 대한 언급은 별로 없죠...
대단하다대단해
24/08/22 17:54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에도 진짜 토스가 심각했죠.
16명중에 3명진출 선방 4명진출 대박 1~2명 진출 절망
이런 흐름이었죠.
전기쥐
24/08/22 17:56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절망기가 머큐리 맵 쓰였던 때에 박정석이 시드로 혼자 본선 진출 뭐 그랬던거가 생각나네요.
유료도로당
24/08/22 17:59
수정 아이콘
임요환이 '야 그때 맵이 그렇게 저그한테 불리했으면 넌 결승까지 어떻게 몇번이나 왔냐?' 라고 했다는게 생각나네요 크크
종말메이커
24/08/22 18:01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기준으로 말하면 당대는 임요환의 시대였고 임요환의 저그전 앞에 추풍낙엽처럼 쓸려나가는 저그들에 비해 희대의 사기소리를 듣는 라그나로크와 테란에게 유리한 편인 홀오브 발할라를 끼고도 3:2로 선전한 홍진호가 특히 뇌리에 많이 남아 맵밸런스 문제가 좀 과대표됐죠
그리고 실제 비율상으로는 소수였지만 김동수와 박정석이라는 걸출한 토스유저들이 임요환을 상대로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가을의 전설을 써내려가는 바람에 약체 이미지가 많이 희석됐죠
전기쥐
24/08/22 18:09
수정 아이콘
저그는 이상하게 우승을 오랫동안 못했죠. 온게임넷은 박성준이, 엠비씨게임은 박태민이 최초였을거에요. 아 물론 왕중왕전까지 포함한다면 홍진호가 처음이지만요.
Davi4ever
24/08/22 18:18
수정 아이콘
저는 테사기 이야기를 장난스럽게 하는 것까지는 몰라도, 진지하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습니다.
홍진호는 테란과 치열하면서 이기고 지고를 반복하며 멋진 역사를 만들었는데,
누군가는 그 이야기를 테사기와 테란맵으로 퉁쳐버립니다. 결과가 모이고 많은 이들이 우승에 집중하니 그렇게 보이는 것이지
2001~2003년의 스타판을 지켜본 분들은 테vs저가... 기울더라도 그렇게까지 기울어 있진 않았다는 걸 기억하실 겁니다.

당시 테란강자들이 세운 업적을 '테사기' '테란맵'으로 퉁치는 것보다
홍진호의 왕중왕전-KPGA 위너스 챔피언십 우승에 더 집중하는 게 보다 건설적인 역사 정리라고 생각합니다.
홍진호는 테란 강자들에게 일방적으로 밀린 '패배자'가 아닌, 치열하게 싸워왔던 '경쟁자'였습니다.
24/08/22 22:18
수정 아이콘
"그렇게까지"가 얼마만큼인지...대략 한 6:4 ? 혹은 5.5:4.5 정도로 어려운 건 맞는 듯 하고
최소한 홍진호가 결승전에서 맵으로는 손해 본 기억이 많지 않나요?
짐바르도
24/08/22 17:51
수정 아이콘
아 박 선수가 병이 아니라 스스로 세상을 등진 거였군요...
부대찌개
24/08/22 18:22
수정 아이콘
이것은 홍진호 선수글인가 박경락 선수글인가 ㅠㅠ
24/08/22 20:39
수정 아이콘
테란유져인데 홍진호 코카콜라배때 보고 스타에 빠졌었는데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4548 [스타1] 프로게이머 임홍규(홍구) 근황 [28] Croove12300 24/08/26 12300
504432 [스타1] 정소림 캐스터 실시간 근황.jpg [17] Thirsha13080 24/08/23 13080
504387 [스타1] 홍진호 프로게이머로써 포스 넘치던 시기 [20] Croove12597 24/08/22 12597
504381 [스타1] 아프리카에서 방송 시작한 정소림 캐스터 [23] 카루오스10668 24/08/22 10668
504377 [스타1] 박성준의 불꽃테란(feat. 조용호) [23] Croove10246 24/08/22 10246
504014 [스타1] 2024 SSL 시즌1 24강 대진표 [14] 이시하라사토미7594 24/08/14 7594
503830 [스타1] 2024 버전으로 신음소리 아파 리메이크 해주는 정소림 캐스터.mp4 [3] insane8856 24/08/09 8856
503824 [스타1] 코흘리던 이제동이 회장님이 되서 감동한 누나.mp4 [5] insane9464 24/08/09 9464
503202 [스타1] 저그 상대로는 테란이 결승 다 이겼다는 스타 레전드들 [29] 태양의맛썬칩10871 24/07/25 10871
503182 [스타1] (약후) 가슴뽕 논란 해명하는 스타유투버.mp4 [3] insane14565 24/07/25 14565
503125 [스타1] ???: 울라리 아니고 울트라입니다! [4] 로켓8458 24/07/23 8458
502991 [스타1] 래더게임 랭크 1위 근황 [8] 보리야밥먹자9784 24/07/21 9784
502909 [스타1] 옵저버 없이 4다크 잡는 법.mp4 [14] insane10090 24/07/19 10090
502718 [스타1] 임요환이 위선자인 이유 [25] 무딜링호흡머신11721 24/07/14 11721
502457 [스타1] 레종최에서 드디어 서지수 상대로 첫 승한 여캠 [8] Pika4810390 24/07/08 10390
502441 [스타1] (살짝후방) 스타 래더 2517점 찍었다는 서지수 근황.jpg [13] insane15663 24/07/08 15663
502161 [스타1] 김지성 상대로 21연승중인 장윤철 [15] Pika488842 24/06/30 8842
501849 [스타1] 이제동 주말 근황.jpg [13] insane11759 24/06/23 11759
501819 [스타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리마스터 8,250원 [17] 주말10201 24/06/22 10201
501716 [스타1] 장윤철 김지성 상대로 9:0 승리 [24] Pika489110 24/06/19 9110
501707 [스타1] 스타크래프트 대학교 JSA, 큐센과 네이밍 스폰서쉽 체결 [9] 묻고 더블로 가!7776 24/06/19 7776
501672 [스타1] 쌈장 이기석! 1999년 스타크래프트 게임 대회속으로(KBS 1999.8.21 방송) [9] 밴더10006 24/06/18 10006
501662 [스타1] 송병구한테 사기당했다는 누나.jpg [8] insane12050 24/06/18 120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