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7/16 14:18:20
Name 무딜링호흡머신
File #1 7252541233_486616_ecf5b82d09ed81a824c67a223f0918e3.jpeg (150.1 KB), Download : 90
출처 뉴스
Subject [기타] N년후 아재테스트에 나올 물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딜서폿이미래다
24/07/16 14:56
수정 아이콘
나의 체육-제육이…
24/07/16 14:56
수정 아이콘
매년 전국적 교과서 물량이 엄청났을 텐데 그거 만들던 사람들은... 과거의 일자리들이 계속 줄어드는 게 어쩔 수 없음을 알지만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
DIEFORYOU
24/07/16 15:06
수정 아이콘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AI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해 사용할 것"]]
아날로그 교과서 안 없어지구요 도입되도 7:3정도의 비율로 아날로그가 우세할 겁니다
그리고 모두가 모르는 사실이지만 약 10년전부터 디지털교과서는 있어왔습니다 굉장히 불편하게 만들어놔서 안써서 그렇지요
커뮤니티 돌면서 꾸준히 선동하는 게시글이던데 제발 선동되지 맙시다
24/07/16 15:16
수정 아이콘
안 없어집니다. 종이와 디지털 교과서의 집중도가 달라요. 학생들도 파일로 보내준다라고 하면 인쇄해서 달라고 합니다. 친환경을 부르짖지만 화력발전이 역대 최대로 전력 생산 중인 것과 같이 종이도 사실 지금이 가장 많은 양이 생산, 소비되는 중이죠.
시린비
24/07/16 15:24
수정 아이콘
종이교과서는 줄이면 종교이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는다!
주간회의
24/07/16 15:28
수정 아이콘
웃기는 정책이죠. 25년 전면 도입, 28년까지 병행 사용, 그 이후에 다시 판단.. 아니, 무슨 무료체험 후 환불도 아니고, 뭔 교육 정책을 3년 해보고 할지 말지인지 좀 납득이 안 갑니다.
24/07/16 15:44
수정 아이콘
책에 줄 끄어가면서 앞뒤 막 넘겨가면서 공부하는 거 테블릿이 도저히 따라잡을 수 밖에 없을 거 같은데.....
24/07/16 15: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닙니다. 종이책도 써요.
그리고 이거 관련 연수 받는 중인데 아직 상태가 베타도 아니고 알파버전에 가까워서 당장 내년에 써먹을 수 있을지 의문인 정도의 물건입니다.
교과서에 AI 들어갔다고 해서 교육부가 무슨 일로 이렇게 빨리 움직이나 싶어 기대하면서 연수 신청한 건데 실망에 대실망 중...
이걸 AI 넣었다고 홍보하냐는 말이 절로 나왔습니다. 이걸로 저보고 수업하라고 하면 당장 못한다고 드러누울 자신 있는 수준의 퀄리티에요.
24/07/16 16:40
수정 아이콘
와이프님도 저거 선도교사 연수 받는데 그냥 아무것도 준비 안되어 있고 맨날 똑같은 소리 한다고 연수 받으면서 욕하더라구요.
24/07/16 15:57
수정 아이콘
근데 디지털교과서는 단권화 쉽나요?
저는 그것 때문에라도 종이를 계속 쓸거같은데
카페알파
24/07/16 16:42
수정 아이콘
살짝 묻어가는 이야기입니다만, 디지털 서적이나 문서가 여기저기 참고자료 찾아가면서 읽을 때는 편리하긴 한데, 뭔가 종이 서적에 비해 집중도도 떨어지고, 눈도 좀 아프고 그런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저도 그렇고, 또 이런 비슷한 느낌을 받는 분들이 적지 않으신 것 같고요. 다만, 이러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원래 인간이 생리적으로 그런 것인지, 제가 종이책에 워낙 익숙해져 있어서 그런 것인지 잘 모르겠거든요.

만일 모종의 이유로 약 30년 정도 종이책 없이 전자책만 이용하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그 이후 다시 종이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그래도 사람들, 특히 태어나서부터 전자책만 사용하던 사람들이 종이책을 선호하게 될지 궁금해지네요.
24/07/16 17:05
수정 아이콘
정말 먼 미래엔 디지털 컨텐츠가 종이보다 더 좋을 수도 있겠지만 수천년 넘게 실물에 쓰여진 자취를 봐왔던 눈이 발광체에서 재생한 화면으로도 학습을 잘 할 수 있게 되는 건 유전적으로 꽤나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Karmotrine
24/07/16 16:43
수정 아이콘
대책도 없이 그냥
'요즘 교육일선 태블릿 많이 쓴다며 그걸로 디지털 교과서 추진해' 말 한마디 딱 내리고 갑자기 말단에 떨어져서 제가요? 어떻게요? 하는 상황이겠네요.
제이킹
24/07/16 16:47
수정 아이콘
에듀테크 신봉자였는데 코로나를 거치고 디지털선도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AI활용 수업 해봤는데 결국 다시 기본으로 돌아왔습니다. 집중도가 달라요. 일단 저부터도 줌으로 연수들으면 집중안되는데 하물며 아이들은 어떨까 싶더라구요. 그리고 아무리 태블릿 기술이 좋아지더라도 종종 발생하는 버퍼링은 집중도 떨어트립니다.
종이에 직접 필기하는 공부만한게 없습니다.
자루스
24/07/16 20:22
수정 아이콘
언젠가 자연스럽게 될 것을 억지로 하는 느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3099 [방송] 구독자 9천명인데 게스트로 유재석 섭외에 성공한 유튜브 채널.jpg [14] insane11219 24/07/23 11219
503098 [기타] 아재들의 대표 4대 과거 미화 [108] 쎌라비13327 24/07/23 13327
503097 [유머] 아시다시피 장기화 된 경기 침체로 인해... [2] 쎌라비9222 24/07/23 9222
503096 [기타] 대부분 모르는 포카칩의 비밀.jpg [14] insane10251 24/07/23 10251
503095 [기타] 선주문 취소도 막혀버린 티몬 [35] 서귀포스포츠클럽10878 24/07/23 10878
503094 [유머] "헬조선 탈출 하려는데 어디가 좋음" [46] 레드빠돌이11128 24/07/23 11128
503093 [게임] NC 리니지 신규 서버 근황 [33] 이호철10070 24/07/23 10070
503092 [유머] 한국에 온 외국인들 흔한 케이스.jpg [43] 캬라12608 24/07/23 12608
503091 [유머] 한장의 그림으로 모든 십덕을 긁히게 하기 [16] 레드빠돌이10540 24/07/23 10540
503090 [유머] 솔의 눈이 성공한 음료인 이유 [10] 무딜링호흡머신9637 24/07/23 9637
503089 [유머] 록밴드들이 해체되는 이유.jpg [18] Myoi Mina 11811 24/07/23 11811
503088 [기타] ??? : 미국,일본놈들한테는 배울게 없다 [23] Lord Be Goja10894 24/07/23 10894
503087 [게임] 스파6 WCG 2024 RIVALS 초청 선수 인터뷰 [2] STEAM5679 24/07/23 5679
503086 [기타] 뭔 곰인형이 59만원인가여 [26] Lord Be Goja10652 24/07/23 10652
503085 [동물&귀욤] 댕댕이의 질투 [1] 길갈6365 24/07/23 6365
503083 [유머] 피지알 할배들 이거 알아요? [31] 롯데리아9765 24/07/23 9765
503082 [서브컬쳐] 트릭컬 리바이브 메인스토리 풀더빙 PV [7] 한입6286 24/07/23 6286
503081 [기타] 콜롬비아 최대 우범지역 영상 올렸다가 욕 먹는 유튜버 [57] Myoi Mina 12654 24/07/23 12654
503080 [유머] 요즘 여자들이 도저히 맨정신이라고 볼 수 없는 이유 [8] 묻고 더블로 가!11635 24/07/23 11635
503079 [유머] 물감이 뭔가 잘 못된거 같다. [3] 카루오스8505 24/07/23 8505
503078 [기타] 격알못 : 저렇게 높게 차서 어따씀? [29] Lord Be Goja9303 24/07/23 9303
503077 [기타] 배달시켰는데 밥이 안왔어요. [40] 이호철12258 24/07/23 12258
503076 [동물&귀욤] 새끼를 강하게 훈육하는 엄마사자 [11] Lord Be Goja9513 24/07/23 95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