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7/03 10:41:48
Name Leeka
출처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
Subject [기타] 한국인들 중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는 몇%나 될까?


2022년 정부에서 조사한 통계 기준


- 자기 집이 있는 가구 : 61.3%  (수도권 55.8% / 광역시 62.8% / 도 69.1%)


-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 : 57.5% (수도권 51.9% / 광역시 58.7% / 도 65.6%)



- 신혼 부부의 점유 형태 : 자가 43.6% / 임대 52.9% / 무상 3.5%


- 신혼 부부의 주거 형태 : 아파트 73.3% / 단독주택 10.7% / 다세대 10.5%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 청년의 점유 형태 : 자가 13.2% / 임대 82.5% / 무상 4.3%


- 청년의 주거 형태 : 아파트 31.3% / 단독주택 38.1% / 다세대 11.2%


* 청년의 기준 : 만 19세 이상~만 34세 미만이 가구주



- 고령의 점유 형태 : 자가 75.0% / 임대 19.8% / 무상 5.2%


- 고령의 주거 형태 : 아파트 44.7% / 단독주택 41.7% / 다세대 7.8%


* 고령의 기준 : 만 65세 이상이 가구주



-------------


정답은 수도권 기준으로도 2가구 중 1가구는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03 10:4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엄청 높네요... 
아Jo씨
24/07/03 10:47
수정 아이콘
다들 천상계를 봐서 그렇지, 생각보다 살만합니더.
은행 들의 크으으은 도움이 필요해서 그렇죠 ㅠㅠ
날씬해질아빠곰
24/07/03 11:00
수정 아이콘
'으' 를 한 7개쯤 더 붙여야 할 거 같아요...
24/07/03 10:53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기준이 7년이나 되는군요
24/07/03 10:55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 특공등.. 정책적으로 신혼부부의 기준이 특별한 명시가 없다면 7년으로 되어 있습니다.
24/07/03 10:54
수정 아이콘
1인가구 기준으로 하면 자가비율 떡락하긴 할겁니다(...)
24/07/03 10:59
수정 아이콘
신혼자가가 절반이상이라...
Riffrain
24/07/03 11:00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로 잡는 기간이 7년이라니 생각보다 엄청 기네요. 
24/07/03 11: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거 형태 비중을 생각해보면 신혼부부 임대 중에서도 전세가 많겠죠.
타카이
24/07/03 11:20
수정 아이콘
은행껀데요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31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의 점유형태 중 자가 비율이 높다는 이야기는 저게 준비가 안 되면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고 결국 결혼 허들이 높은 주요인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결혼할 때 돈이 어딨어요.
24/07/03 11:36
수정 아이콘
저기서의 신혼부부 기준이

혼인신고한지 7년 이내라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혼부부보단 기간이 꽤 길고 (법적인 기간이 7년이라서)
+
혼인신고를 안한 신혼부부는 통계에 안잡히는 맹점은 있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39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4/07/03 11:41
수정 아이콘
심지어 혼인신고 안한 신혼부부가 3년뒤에 출생신고 하면서 혼인신고를 하면..
이 부부는 실제 결혼 10년차까지도 통계에선 신혼부부..가 되버려서...
하아아아암
24/07/03 11:41
수정 아이콘
그걸 집을 다 해결해줘서 풀 수 있는 문젠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본도 결혼/출산이 떨어지는데 거긴 집을 안사는데도 그러는걸 봐서 더 그런 생각이 들고 있네오.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42
수정 아이콘
집을 해결한다기보다 집에 대한 관념이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만 사실 더 가속화될 걸로 예상합니다.
그대는눈물겹
24/07/03 13:0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일본 사례를 봤을때나, 전세계적인 트렌드인 점을 고려하면 집 한채씩 줘도 많이 오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
24/07/03 11:38
수정 아이콘
청년, 노년에 비해 신혼부부는 압도적으로 아파트가 높네요. 신혼부부도 대부분은 청년일텐데 아파트 살 정도로 경제력 안갖춰지면 결혼 안해! 이런 인식이 보편화된 것인가 싶군요.
24/07/03 11: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혼부부의 50% 이상은 청년이 아닙니다...

한국에서 평균 결혼 나이가 이미 청년 끝자락에 결혼하는데
신혼부부 기간은 7년이기 때문에..
위 통계에서 신혼부부의 대부분은 청년이 아니에요..

심지어 혼인신고 안한 신혼부부가 3년뒤에 출생신고 하면서 혼인신고를 하면..
이 부부는 실제 결혼 10년차까지도 통계에선 신혼부부..가 되는 구조기 때문에.
위 통계에서의 신혼부부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혼부부보다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24/07/03 11:42
수정 아이콘
아 청년은 34세까지군요. 요새 하도 청년 기준이 관대해져서 39세까지는 치는 건 줄 알았네요.
신혼부부 연령대가 하도 높아져서 신혼부부하면 떠오르는 젊은 이미지가 많이 바뀌긴 했네요.
24/07/03 11:43
수정 아이콘
그게 지자체나 일부 조례에서 예외로 39세까지....... 넓혀서 혜택을 주고 있다보니... 그런데

법적으로는 아직 만 19~34세를 청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현재 결혼 평균 나이가
남자 34세 / 여자 31.5세인데 신혼부부 범위를 결혼 후 7년까지 잡으니
저 통계상 신혼부부는 반 이상이 청년을 넘어선 사람들..... 이라 괴리감이 큰..
24/07/03 11:40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출산 시기만큼 집 마련하기 좋은 기회가 없다보니...
24/07/03 12:03
수정 아이콘
댓글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나막신
24/07/03 12:11
수정 아이콘
부모님도 없고 저도 없는데 수도권 50퍼센트는 좀 의외네요
24/07/03 12:15
수정 아이콘
이게 생각보다 애들 어릴 때는 돈도 좀 모이고 신혼부부는 돈도 많이 땡겨줘서 수도권 중급지 정도면 은행님의 도움을 받아 집을 살 수 있긴 합니다.
MissNothing
24/07/03 12:17
수정 아이콘
자가 비율만보면 그런데, 저중에 대출 10년 갚은 사람이 몇일지....
우리는 하나의 빛
24/07/03 12:31
수정 아이콘
대출을 뺀다면?
Far Niente
24/07/03 13:40
수정 아이콘
동서를 막론하고 현금으로만 자기 집 마련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상승장에선 너무나 바보같은 짓이기도 하고
24/07/03 14:15
수정 아이콘
그걸 왜 빼죠
김건희
24/07/03 12:33
수정 아이콘
말이 자가지...은행 집 임대(대출이자 매월 갚는 경우) 살고 계신 분들이 대부분일 거 같은데...
24/07/03 12:45
수정 아이콘
.... 현관 + 작은방 정도는 갚았나?
24/07/03 12:50
수정 아이콘
이러니 은행이 매년 엄청난 이익을..
24/07/03 12:55
수정 아이콘
자가 중에 부모님 집에 같이 사는 비율도 꽤 될텐데요?
연필깍이
24/07/03 13:23
수정 아이콘
신혼 자가 43%라는 통계가 결혼/출산의 허들을 말해주는거 같네요 ㅡㅠ
미카엘
24/07/03 13:50
수정 아이콘
신혼 자가 43 진짠가... 제 주변은 전부 전월세인데ㅜㅜ
승승장구
24/07/03 13:55
수정 아이콘
원문좀 보고싶은데 에러 페이지네요 ㅠ
Far Niente
24/07/03 14:23
수정 아이콘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검색해보시면 나옵니다
달빛기사
24/07/03 14:18
수정 아이콘
서울이 아니라 수도권이라 자가가 많아 보이는데...
Far Niente
24/07/03 14:28
수정 아이콘
수도권 외 광역시(62.8)나 도(69.1)보다 경기도가 높진 않을테니, 경기가 50% 후반 정도 예상되고 그럼 서울도 40%대 후반 정도는 되겠죠
페로몬아돌
24/07/03 17:50
수정 아이콘
혼자 사는 지방 출신 저도 서울에 집이 있으니, 자가 자체가 엄청 빡세지 않을 거 같기도 하면서 또 회사 주변에 신혼들은 대부분 전세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2557 [유머] 요새 예보 안맞는다고 기상청을 뭐라할 수 없는 이유.jpg [52] 캬라14023 24/07/11 14023
502556 [기타] 나이키 글 보니까 생각난 나이키 파워정품.jpg [9] insane9529 24/07/11 9529
502555 [LOL] 미친 챔프폭을 자랑하는 선수.jpg [25] insane9427 24/07/11 9427
502554 [유머] 게임계 '괴물신인' 등장, 전세계 오픈월드 게임 비상 [48] Myoi Mina 12329 24/07/11 12329
502553 [유머] 최근 나이키의 광고방식 [56] 보리야밥먹자11766 24/07/11 11766
502552 [스포츠] 파리올림픽 몽골 국가대표 유니폼 [29] 명탐정코난11345 24/07/11 11345
502551 [유머] 운전중 머리가 새하얘지는 순간 [63] 길갈13986 24/07/11 13986
502550 [게임] 스파6 니프레스의 사기성은 일본 국보도 알고있다 [10] STEAM7672 24/07/11 7672
502549 [유머] 정신이 나가버린 대학원생 [39] EnergyFlow13226 24/07/11 13226
502548 [스포츠] 25년전 제이크폴 울렷던 마이크타이슨.jpg [5] insane8140 24/07/11 8140
502547 [유머] 회사 사수가 rest in piece래 [7] Myoi Mina 10890 24/07/11 10890
502546 [게임] NC소프트 퍼즈업 아미토이 섭종.news [11] 아지매9100 24/07/11 9100
502545 [기타] 한국인이 좋아하는 술/술안주 [20] 호시노 아이9518 24/07/11 9518
502544 [기타] 법인차 연두색 번호판의 효과 [42] 톰슨가젤연탄구이13168 24/07/11 13168
502543 [기타] 현시각 성지순례가 이어지고 있는 글 [45] 묻고 더블로 가!20299 24/07/11 20299
502542 [게임] 닌텐도의 공포게임 '에미오' [12] 주말9994 24/07/11 9994
502540 [기타] 요즘 초등 경시문제.jpg [35] 로즈마리14598 24/07/10 14598
502539 [유머] 의외로 명예로운 죽음 각이 나온 차 [56] 사람되고싶다17279 24/07/10 17279
502538 [기타] 충격적인 분식집 가격.JPG [42] insane17459 24/07/10 17459
502537 [유머] 홍감독님 국대 감독 안 한다면서요? [22] insane13960 24/07/10 13960
502536 [기타] 제2의 머지 사태가 터질수도 있다는 쇼핑몰 [38] 서귀포스포츠클럽15200 24/07/10 15200
502535 [기타] [502529번 글 관련] 저도 작은 댓글 알람등 [6] 닉넴길이제한8자7051 24/07/10 7051
502534 [유머] 영국 총선 결과로 이득을 본 국가 [33] 주말12729 24/07/10 127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