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7/03 10:41:48
Name Leeka
출처 https://www.molit.go.kr/LCMS/DWN.jsp?fold=koreaNews/mobile/file&fileName=231222%28%EC%84%9D%EA%B0%84%29_2022%EB%85%84%EB%8F%84_%EC%A3%BC%EA%B1%B0%EC%8B%A4%ED%83%9C%EC%A1%B0%EC%82%AC_%EA%B2%B0%EA%B3%BC
Subject [기타] 한국인들 중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는 몇%나 될까?


2022년 정부에서 조사한 통계 기준


- 자기 집이 있는 가구 : 61.3%  (수도권 55.8% / 광역시 62.8% / 도 69.1%)


-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 : 57.5% (수도권 51.9% / 광역시 58.7% / 도 65.6%)



- 신혼 부부의 점유 형태 : 자가 43.6% / 임대 52.9% / 무상 3.5%


- 신혼 부부의 주거 형태 : 아파트 73.3% / 단독주택 10.7% / 다세대 10.5%


* 법적인 신혼 부부 기준 : 혼인신고 한지 7년 이내



- 청년의 점유 형태 : 자가 13.2% / 임대 82.5% / 무상 4.3%


- 청년의 주거 형태 : 아파트 31.3% / 단독주택 38.1% / 다세대 11.2%


* 청년의 기준 : 만 19세 이상~만 34세 미만이 가구주



- 고령의 점유 형태 : 자가 75.0% / 임대 19.8% / 무상 5.2%


- 고령의 주거 형태 : 아파트 44.7% / 단독주택 41.7% / 다세대 7.8%


* 고령의 기준 : 만 65세 이상이 가구주



-------------


정답은 수도권 기준으로도 2가구 중 1가구는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03 10:4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엄청 높네요... 
아Jo씨
24/07/03 10:47
수정 아이콘
다들 천상계를 봐서 그렇지, 생각보다 살만합니더.
은행 들의 크으으은 도움이 필요해서 그렇죠 ㅠㅠ
날씬해질아빠곰
24/07/03 11:00
수정 아이콘
'으' 를 한 7개쯤 더 붙여야 할 거 같아요...
24/07/03 10:53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기준이 7년이나 되는군요
24/07/03 10:55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 특공등.. 정책적으로 신혼부부의 기준이 특별한 명시가 없다면 7년으로 되어 있습니다.
24/07/03 10:54
수정 아이콘
1인가구 기준으로 하면 자가비율 떡락하긴 할겁니다(...)
24/07/03 10:59
수정 아이콘
신혼자가가 절반이상이라...
Riffrain
24/07/03 11:00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로 잡는 기간이 7년이라니 생각보다 엄청 기네요. 
24/07/03 11: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거 형태 비중을 생각해보면 신혼부부 임대 중에서도 전세가 많겠죠.
타카이
24/07/03 11:20
수정 아이콘
은행껀데요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31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의 점유형태 중 자가 비율이 높다는 이야기는 저게 준비가 안 되면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고 결국 결혼 허들이 높은 주요인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결혼할 때 돈이 어딨어요.
24/07/03 11:36
수정 아이콘
저기서의 신혼부부 기준이

혼인신고한지 7년 이내라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혼부부보단 기간이 꽤 길고 (법적인 기간이 7년이라서)
+
혼인신고를 안한 신혼부부는 통계에 안잡히는 맹점은 있습니다.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39
수정 아이콘
아하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4/07/03 11:41
수정 아이콘
심지어 혼인신고 안한 신혼부부가 3년뒤에 출생신고 하면서 혼인신고를 하면..
이 부부는 실제 결혼 10년차까지도 통계에선 신혼부부..가 되버려서...
하아아아암
24/07/03 11:41
수정 아이콘
그걸 집을 다 해결해줘서 풀 수 있는 문젠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본도 결혼/출산이 떨어지는데 거긴 집을 안사는데도 그러는걸 봐서 더 그런 생각이 들고 있네오.
지구 최후의 밤
24/07/03 11:42
수정 아이콘
집을 해결한다기보다 집에 대한 관념이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만 사실 더 가속화될 걸로 예상합니다.
그대는눈물겹
24/07/03 13:0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일본 사례를 봤을때나, 전세계적인 트렌드인 점을 고려하면 집 한채씩 줘도 많이 오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
24/07/03 11:38
수정 아이콘
청년, 노년에 비해 신혼부부는 압도적으로 아파트가 높네요. 신혼부부도 대부분은 청년일텐데 아파트 살 정도로 경제력 안갖춰지면 결혼 안해! 이런 인식이 보편화된 것인가 싶군요.
24/07/03 11: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혼부부의 50% 이상은 청년이 아닙니다...

한국에서 평균 결혼 나이가 이미 청년 끝자락에 결혼하는데
신혼부부 기간은 7년이기 때문에..
위 통계에서 신혼부부의 대부분은 청년이 아니에요..

심지어 혼인신고 안한 신혼부부가 3년뒤에 출생신고 하면서 혼인신고를 하면..
이 부부는 실제 결혼 10년차까지도 통계에선 신혼부부..가 되는 구조기 때문에.
위 통계에서의 신혼부부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신혼부부보다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24/07/03 11:42
수정 아이콘
아 청년은 34세까지군요. 요새 하도 청년 기준이 관대해져서 39세까지는 치는 건 줄 알았네요.
신혼부부 연령대가 하도 높아져서 신혼부부하면 떠오르는 젊은 이미지가 많이 바뀌긴 했네요.
24/07/03 11:43
수정 아이콘
그게 지자체나 일부 조례에서 예외로 39세까지....... 넓혀서 혜택을 주고 있다보니... 그런데

법적으로는 아직 만 19~34세를 청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현재 결혼 평균 나이가
남자 34세 / 여자 31.5세인데 신혼부부 범위를 결혼 후 7년까지 잡으니
저 통계상 신혼부부는 반 이상이 청년을 넘어선 사람들..... 이라 괴리감이 큰..
24/07/03 11:40
수정 아이콘
신혼부부/출산 시기만큼 집 마련하기 좋은 기회가 없다보니...
24/07/03 12:03
수정 아이콘
댓글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드네요.
나막신
24/07/03 12:11
수정 아이콘
부모님도 없고 저도 없는데 수도권 50퍼센트는 좀 의외네요
24/07/03 12:15
수정 아이콘
이게 생각보다 애들 어릴 때는 돈도 좀 모이고 신혼부부는 돈도 많이 땡겨줘서 수도권 중급지 정도면 은행님의 도움을 받아 집을 살 수 있긴 합니다.
MissNothing
24/07/03 12:17
수정 아이콘
자가 비율만보면 그런데, 저중에 대출 10년 갚은 사람이 몇일지....
우리는 하나의 빛
24/07/03 12:31
수정 아이콘
대출을 뺀다면?
Far Niente
24/07/03 13:40
수정 아이콘
동서를 막론하고 현금으로만 자기 집 마련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상승장에선 너무나 바보같은 짓이기도 하고
24/07/03 14:15
수정 아이콘
그걸 왜 빼죠
김건희
24/07/03 12:33
수정 아이콘
말이 자가지...은행 집 임대(대출이자 매월 갚는 경우) 살고 계신 분들이 대부분일 거 같은데...
24/07/03 12:45
수정 아이콘
.... 현관 + 작은방 정도는 갚았나?
24/07/03 12:50
수정 아이콘
이러니 은행이 매년 엄청난 이익을..
24/07/03 12:55
수정 아이콘
자가 중에 부모님 집에 같이 사는 비율도 꽤 될텐데요?
연필깍이
24/07/03 13:23
수정 아이콘
신혼 자가 43%라는 통계가 결혼/출산의 허들을 말해주는거 같네요 ㅡㅠ
미카엘
24/07/03 13:50
수정 아이콘
신혼 자가 43 진짠가... 제 주변은 전부 전월세인데ㅜㅜ
승승장구
24/07/03 13:55
수정 아이콘
원문좀 보고싶은데 에러 페이지네요 ㅠ
Far Niente
24/07/03 14:23
수정 아이콘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검색해보시면 나옵니다
달빛기사
24/07/03 14:18
수정 아이콘
서울이 아니라 수도권이라 자가가 많아 보이는데...
Far Niente
24/07/03 14:28
수정 아이콘
수도권 외 광역시(62.8)나 도(69.1)보다 경기도가 높진 않을테니, 경기가 50% 후반 정도 예상되고 그럼 서울도 40%대 후반 정도는 되겠죠
페로몬아돌
24/07/03 17:50
수정 아이콘
혼자 사는 지방 출신 저도 서울에 집이 있으니, 자가 자체가 엄청 빡세지 않을 거 같기도 하면서 또 회사 주변에 신혼들은 대부분 전세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3088 [기타] ??? : 미국,일본놈들한테는 배울게 없다 [23] Lord Be Goja10365 24/07/23 10365
503087 [게임] 스파6 WCG 2024 RIVALS 초청 선수 인터뷰 [2] STEAM5240 24/07/23 5240
503086 [기타] 뭔 곰인형이 59만원인가여 [26] Lord Be Goja10227 24/07/23 10227
503085 [동물&귀욤] 댕댕이의 질투 [1] 길갈5976 24/07/23 5976
503083 [유머] 피지알 할배들 이거 알아요? [31] 롯데리아9283 24/07/23 9283
503082 [서브컬쳐] 트릭컬 리바이브 메인스토리 풀더빙 PV [7] 한입5759 24/07/23 5759
503081 [기타] 콜롬비아 최대 우범지역 영상 올렸다가 욕 먹는 유튜버 [57] Myoi Mina 11872 24/07/23 11872
503080 [유머] 요즘 여자들이 도저히 맨정신이라고 볼 수 없는 이유 [8] 묻고 더블로 가!11113 24/07/23 11113
503079 [유머] 물감이 뭔가 잘 못된거 같다. [3] 카루오스8005 24/07/23 8005
503078 [기타] 격알못 : 저렇게 높게 차서 어따씀? [29] Lord Be Goja8846 24/07/23 8846
503077 [기타] 배달시켰는데 밥이 안왔어요. [40] 이호철11773 24/07/23 11773
503076 [동물&귀욤] 새끼를 강하게 훈육하는 엄마사자 [11] Lord Be Goja9063 24/07/23 9063
503074 [유머] 시험날짜 착각했다가 솥됨을 감지한 학생.JPG [21] Myoi Mina 12532 24/07/23 12532
503073 [기타] 순한맛 vs 매운맛 [25] 닉넴길이제한8자10158 24/07/23 10158
503071 [유머] 30년전에 1억을 투자했다면?.jpg [41] 김치찌개20301 24/07/22 20301
503070 [유머] 의외로 논란이 되는 문제.jpg [36] 김치찌개12074 24/07/22 12074
503069 [유머] 딱 2개만 먹으시오.jpg [75] 김치찌개10982 24/07/22 10982
503068 [유머] 역대 최고의 제임스 본드는?.jpg [31] 김치찌개8982 24/07/22 8982
503067 [유머] 11만명이 투표한 짜장라면 최강자.jpg [30] 김치찌개11338 24/07/22 11338
503066 [기타] 뉴욕의 가상계산원 [19] 주말11675 24/07/22 11675
503065 [기타] 광고쟁이 계정도 정신이 번쩍듬 [4] 이호철10874 24/07/22 10874
503064 [유머] [503056 관련] 게임스토리 스킵하는 게이머들.manhwa [12] 수퍼카8109 24/07/22 8109
503063 [연예인] 박남정 형님이랑 동갑인 누님 [15] BTS12833 24/07/22 128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