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6/14 14:45:03
Name 北海道
File #1 Screenshot_20240614_143241_Samsung_Internet.jpg (192.7 KB), Download : 35
File #2 061414384791021.jpg (2.53 MB), Download : 34
출처 디시
Subject [유머] 문화예술계 레전드 vs 스포츠계 레전드.jpg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퀸, 마이클 잭슨,
스티븐 스필버그, 미야자키 하야오

vs

리오넬 메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마이클 조던,
클레이튼 커쇼, 오타니 쇼헤이, 타이거 우즈, 매니 파퀴아오,
우사인 볼트, 마이클 펠프스, 알렉스 퍼거슨, 펩 과르디올라

두 그룹 중 하나가 한국인이라면
어느 쪽의 위상이나 영향력이 더 클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의문의남자
24/06/14 14:47
수정 아이콘
팰프스는 팬티를 좀 올려입어야하지 않을까요
마카롱
24/06/14 15:05
수정 아이콘
슥슥 내리면서 못 보고 지나쳤는데 이 댓글을 왜 봤을까 후회 중입니다.
그럴수도있어
24/06/14 15:16
수정 아이콘
이 댓글 보고 스크롤 올릴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24/06/14 15:23
수정 아이콘
올려서 후회 중입니다 크크
그럴수도있어
24/06/14 15:28
수정 아이콘
저도 결국 못참고 올렸다가 후회했습니다 크크킄
24/06/15 11:18
수정 아이콘
아 웃겨..
24/06/15 12:04
수정 아이콘
아니 모르고 지나쳤는데 첫댓이 왜이거라 다시올려봤..
킹다람쥐
24/06/14 14:48
수정 아이콘
새삼 영국이란 나라가 대단하다는 생각.
톨리일자
24/06/14 15:03
수정 아이콘
전자... 후자는 마이클조던 말곤 사회적 영향은 별로 없지 않나 싶네요.
No.99 AaronJudge
24/06/14 15:05
수정 아이콘
저는 전자 할래요
24/06/14 15:07
수정 아이콘
전자가 만들어둔 산출물은 그 종속기간이 언제까지가 될 지 알수가 없죠. 폼은 계속 유지되는거나 마찬가지고

후자는 GOAT는 될 수 있지만, 폼은 결국 유지되는데 한계가 전자들에 비해 너무 크다고 봅니다.

전자의 예를 든 인원들이 만들어낸 산출물은 그때로부터 시간이 지나도 이야기가 되지만, 후자에 있는 인원들의 앞선 레전드급 인원들은 잊혀지거나 현재의 누군가를 이야기할 때 언급이 간간히 되는 정도죠. 펠레 - 마라도나 - 날두냐 메시냐 같은 상태처럼요.. 심지어 예시에도 빠졌음.
24/06/14 15:23
수정 아이콘
전자가 더 돈이 될 것 같아요
24/06/14 15:27
수정 아이콘
스포츠 좋아하지만 전자요

저는 실제로 케이팝 뜨기 시작하면서 국가위상도 올라갔다고 느낍니다
Lapierre
24/06/14 15:44
수정 아이콘
예시만 봐도 전자같은데요 후자는 대부분이 현시점 또는 1세대전 스타, 전자는 대부분 고인이거나 은퇴한지 오래된..근데 아직도 레전드
전기쥐
24/06/14 15:51
수정 아이콘
스포츠 선수는 은퇴하면 웬만해선 자주 언급 안되죠.
아서스
24/06/14 16:21
수정 아이콘
영어권 내 국가 한정 닥전

영어권 외 국가 한정 닥후
꿈꾸는사나이
24/06/14 16:27
수정 아이콘
스포츠 광팬이지만 비교 자체가 성립 불가라고 생각...
딜서폿이미래다
24/06/14 17:14
수정 아이콘
문화계는 시대를 감안해서 버프를 주지만
스포츠계는 너프를 줌.. 고로 문화계승
썬콜and아델
24/06/14 18:05
수정 아이콘
호날두(인성 좋은)

(웃음)
24/06/14 18:30
수정 아이콘
2012 런던올림픽 개, 폐막식 보면서 느낀건 엄연히 스포츠 대축제였지만 영국이 가진 문화 유산, 특히 대중 문화는 수십년이 지나도 대중들을 열광시킬수 있음을 느꼈습니다.
다시마두장
24/06/14 19:26
수정 아이콘
문화의 힘에 비빌 수 있는 게 얼마나 될지...
당장 브라질이 우승을 더 밥먹듯 하고 더 많은 축구 스타를 배출해도 그게 브라질에 대한 인식을 뒤집을 순 없겠죠.
전 전자 중 하나만 골라야 한다 해도 전자를 고르겠습니다.
내우편함안에
24/06/14 19:36
수정 아이콘
문화는 문명을 구성하는 핵심이자 정수라고 아놀드 토인비가
그의 저서 역사의 연구에서 적었죠
물론 문화에도 상급(문자,예술) 하급(경제,기술)이 있지만
엄연히 문명의 정수인 문화의 한핵심을 당당히 이루고있는 음악에
스포츠를 비비는것은 정말 아니뇨
스포츠는 그냥 유행이죠 유행
이명준
24/06/14 19:53
수정 아이콘
작품을 남기느냐 이름을 남기느냐의 차이인데
작품을 남기는 게 비교할 수 없이 영향력이 크지 않을까요?
닭강정
24/06/14 21:13
수정 아이콘
브라질하면 떠오르는건 쌈바와 축구인데, 그 축구조차 쌈바축구라 부를 정도로 국가의 문화라는것이.....
또 이탈리아는 월드컵 4회 우승이지만 다수에게는 축구 강국보다 패션과 도시, 조각상, 역사적 예술인, 로마, 종교가 떠오르죠.
Zakk WyldE
24/06/14 21:18
수정 아이콘
50-60년 전 노래 듣는 사람이
50-60년 전 플레이 다시 보는 사람보다 많을 거 같아서~
24/06/14 21:25
수정 아이콘
스포츠 좋아하지만 만약 손흥민이 epl평정하고 챔스까지 먹고 발롱도르 탄다해도.. BTS보다 위상이 높지 않을거라 생각해서..
카페알파
24/06/14 22:20
수정 아이콘
조금 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예를 들어 수백 년 전 인물인 바흐, 베토벤, 모차르트 등등의 작곡가들의 업적/곡이 아직까지도 연주되고 또 현대에서까지 걸작이라고 칭송받죠. 미술이나 문학의 경우도 비슷하고요. 물론 '이름을 남긴다' 라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는 현대적인 스포츠의 역사가 백 년 정도라고 생각되므로, 음악, 미술, 음악 등의 예술 분야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아직 힘들다고 볼 수 있지만, 현재의 스포츠 스타들이 수백 년 뒤에도 지금 음악사에서 바흐나 베토벤, 모차르트가 받는 대접을 받을 수 있을지는...... 좀 회의적이죠.

그리고 묘하게, 음악이나 영화, 드라마 등으로 많이 접한 나라는 뭔가 괜찮은 나라라는 인식이 형성되는데(실제로 괜찮기도 하죠. 괜찮은 문화예술 작품이 나온다는 자체가 어느 정도 나라가 잘 산다는 이야기니까요. 먹고 사는 게 급하거나 생존이 시급한 나라에서 좋은 문화예술 작품이 나오기는 아무래도 쉽지 않죠.), 스포츠 스타가 있는 나라는, 어느 정도 좋은 나라라는 인식은 생길지 몰라도 문화예술에 비해 그 정도가 약한 것 같습니다.
마라탕
24/06/14 23:19
수정 아이콘
메시 조던 열명씩 줘도 전 비틀즈 마잭 고를듯요
24/06/14 23:34
수정 아이콘
저도 스포츠를 훨씬 좋아하지만 메시 펠레 보유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그냥 축구 개잘하는 아웃라이너 하나 탄생한걸로 끝나고 반대로 bts로 대표되는 k-pop유행을 시발점으로 k문화 유행하고 있는거 생각하면 닥 문화예술계죠 크크
24/06/15 07:57
수정 아이콘
비교라기엔 차이가 너무나네요
24/06/15 11:19
수정 아이콘
비교할 가치도 없이 닥전입니다..
스포츠 스타는 한세대입니다.. 지나가면 끝이죠..
24/06/15 17:34
수정 아이콘
닥전인듯요..
미래에도 알아줄까 생각하면 더더욱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615 [유머] 카페에 망사 스타킹 신은 남자가 있어. [9] 캬라5442 24/06/17 5442
501612 [유머] 인류 최고의 명문대학 [31] 일신9531 24/06/17 9531
501611 [유머] 영어로 '잘 먹겠습니다'라는 표현이 없는 이유.jpg [49] Myoi Mina 9121 24/06/17 9121
501610 [유머]  김종국 인종 차별 논란 [15] Myoi Mina 7708 24/06/17 7708
501608 [유머] 은퇴한 업계 프로에게 딱 걸린 범죄자 [12] Myoi Mina 8851 24/06/17 8851
501607 [유머] 싱글벙글 인종차별.jpg [16] Myoi Mina 8101 24/06/17 8101
501593 [유머] 일본 Z세대들에게 유행하는 차별용어 [65] 여기10036 24/06/16 10036
501591 [유머] 헬리콥터의 진실 [24] 인간흑인대머리남캐7495 24/06/16 7495
501590 [유머] 가오가 몸을 지배한 남자 [9] ggg2347908 24/06/16 7908
501587 [유머]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캐릭터 이름 [11] apothecary5937 24/06/16 5937
501586 [유머] 일본인들의 한국여행 매뉴얼 [47] 쿨럭7640 24/06/16 7640
501584 [유머] 30대 남자패션 특.jpg [4] Starlord8589 24/06/16 8589
501583 [유머] 한 때 유행한 면접 방식 [29] 길갈8834 24/06/16 8834
501573 [유머] 일본에서 가장 롤러코스터가 많은 놀이공원 [6] 김삼관7323 24/06/16 7323
501567 [유머]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에 온 어느 팬 [3] 길갈5771 24/06/15 5771
501565 [유머] 유희왕 세계에서 폭력보다 무서운 것 .mp4 [7] Myoi Mina 4495 24/06/15 4495
501562 [유머] MCU 블레이드 근황.jpg [19] 캬라11174 24/06/15 11174
501561 [유머] 푸른 눈의 한국인 [29] 길갈12120 24/06/15 12120
501560 [유머] 요즘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라진 현수막.jpg [43] 北海道11895 24/06/15 11895
501559 [유머] 짬뽕과 짬뽕밥 논란 [60] 프로불편러10584 24/06/15 10584
501557 [유머] 외국인 학생을 처음 만난 한국 고등학생 반응.jpg [21] 北海道9363 24/06/15 9363
501553 [유머] 곧 신비해질지도 모르는 친구 [5] DogSound-_-*7146 24/06/15 7146
501552 [유머] 2차 대전 선박침몰 분포도 [13] DogSound-_-*5897 24/06/15 58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