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4/05 12:04:49
Name 캬라
File #1 65555915.jpg (1.79 MB), Download : 132
출처 루리웹
Subject [유머] 타워팰리스 인테리어 알바하는데 집주인이 보러 오심.jpg


근데 집주인님이 많이 어리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돔페리뇽
24/04/05 12:07
수정 아이콘
좋겠다 흐흐
Winter_SkaDi
24/04/05 12:10
수정 아이콘
좋겠다...
VictoryFood
24/04/05 12:14
수정 아이콘
집주인느님이 해원이는 알아봤을까?
나는솔로
24/04/05 12:15
수정 아이콘
부럽네요 흐흐
24/04/05 12:19
수정 아이콘
부럽다... ㅠㅠ
24/04/05 12:22
수정 아이콘
일당 왤케쌈?
24/04/05 12:25
수정 아이콘
하루 풀근무가 아니네요. 6시간 기준이라고 자막에 있어요...
24/04/05 12:56
수정 아이콘
인테리어는 8시간 보통 안채우고 6시간 근처로끝내긴하던데...
츠라빈스카야
24/04/05 12:24
수정 아이콘
저거 하면서 몇 번이나 자르다가 삑사리 내던 이태리제 타일이 장당 6만원이었죠..
오후의 홍차
24/04/05 12:27
수정 아이콘
해원이 나온다고 챙겨봤는데
너무 인위적인 느낌이 그득해서 별로였던...

사장님은 진짜 사장인가 연기자인가 헷갈릴정도고
같이 나온 조수도 알고보니 유튜버...

첫화라고 빡센거 찍는 줄 알았더니만
견학수준...

해원이 데리고
피디가 감다뒤...

진짜 본문의 쿠키가 젤 재밌는 부분입니다 크크
24/04/05 12:29
수정 아이콘
타일 로스보고 충격.. 한두장도 아니고 허허
사나없이사나마나
24/04/05 12:50
수정 아이콘
그거 보면서 생각한 게 이미 망한 걸로 연습하면 되지 않나? 왜 계속 새거를 쓰나 싶던데... 방송이라서 그렇겠죠?
24/04/05 13:01
수정 아이콘
워크돌이 어떤편은 일을 너무 안해서 별로인 편들이 있어요
Cazellnu
24/04/05 12:29
수정 아이콘
돈많으면 언니지
카마도 탄지로
24/04/05 12:32
수정 아이콘
와 집주인 부럽다
방구차야
24/04/05 14:36
수정 아이콘
별로 좋아보이지 않네요. 쿨한척 인정해줘야 패배자처럼 안보이는거라 억지로 웃음지어야만 하는거죠
구독자 수백만단위 나오는 어린 셀럽이나 유튜버처럼 본인이 참여한 결과로 부를 얻었다면 모를까
부모의 증여만으로 평생 일하지 않아도 될만큼의 부의 이전이 가능하다는건 SNS폐해만큼이나 자본주의의 회의적인 면이고 동경해야할 일도 아닙니다.
그걸 또 미디어에서 배출하고 아무생각없이 동경하는 순환이 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남긴다고 보네요
암기방법
24/04/05 14:46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가 아니어도 사유재산이라는 개념이 있을때부터 상속은 당연한 일이었는데 그렇게 부정적으로 보실 필요가 있나요.
방구차야
24/04/05 15:28
수정 아이콘
상속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세금비율, 자산규모, 상속시점(나이)등에 근거해 일반적인 범위안에서의 기준이 있을텐데 얼마가 합당한다에 대해선 개인이 느끼는 차이는 다를수는 있습니다. 할아버지가 워렌버핏이라 손녀에게 50억 부동산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는 기부나 재단으로 환원했다면 또 다를수있겠죠. 절세 목적으로 세손증여로 간거라면 또 다를거고요.

상속이 오르냐 그르냐의 문제를 떠나, 말씀대로 인간사에서 해오던 일이라 세금등의 문제만 없다면 되는 일이긴 합니다. 그러나 상속을 받은 입장이라면 조용히 드러나지 않게 쓰면서 사는게 미덕이지, 미디어에 나와 부러움의 대상으로 나서는건 동의가 안되는거죠. 저 아이가 원한게 아닐지라도 부모나 제작진에서 의도할 필요는 없었다는 얘깁니다. SNS가 망쳐놓은 가치비교 문화때문에도 그렇고, 내돈 내가 쓰는데 무슨 상관이냐고 묻는이가 있다면 푼돈 까까 사먹는 선택지 정도가 아니라, 일정규모 이상의 자산은 사회와 구성원이 있기에 이룰수 있었던 결과고 큰 자산을 쥔 사람은 항상 이 사회의 기준과 시선에서 자유로워서는 안된다는 생각입니다.
봉그리
24/04/05 15:09
수정 아이콘
증여만으로 평생 자녀가 일하지 않아도 될 만큼의 부를 일굴 수 없다면 누가 열심히 그토록 노력할까요?
저만 해도 자녀에게 원하는 걸 하고 싶다고 할 때 교육비나 자본이 모자라서 못하지 않는 걸 목표로 일하고 있고, 다른 아버지들도 대부분 그러실 겁니다.
똑같은 사실을 보고 어떻게 받아들이는 게 스스로의 발전과 행복에 도움이 될지 한번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24/04/05 15: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녀에게 부를 상속할 수 있다는 이유로만 사람들이 열심히 노력하는 건 아니죠. 그것도 하나의 유력한 동기가 될 수는 있지만 그것이 꼭 필요조건인 것은 아닙니다. 상속해줄 자식이 없어도 열심히 노력하면서 사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데 말이죠. 남의 주장은 마치 예전에 신분의 상속이 당연했던 시절에 신분제를 없애자고 했더니, 그럼 누가 열심히 노력해서 신분상승을 하려고 하겠냐? 하는 논리와 비슷하다고 봅니다. 과거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신분의 상속이 지금은 적어도 법적으로는 폐기가 되었듯이, 지금은 당연해 보이는 부의 상속도 마찬가지의 길을 걷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죠.
방구차야
24/04/05 15:48
수정 아이콘
일정 기준 이상의 자산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중위층 기준의 자산과 생활수준에서 필요한 것들은 본인의 노력과 보상이 정비례하는 수준안에 있다고 보는데, 이런 선순환 안에서 이루어지는 증여는 합당한 수준안에 있는거죠. 자식도 그런 노력과 성과의 선순환으로 진입하게 하는 것이 긍정적인 방향이지, 내가 좀더 고생해 자식들은 일안해도 잘먹고 잘살게 하겠다는 인식은 오히려 위험하다고 봅니다. 일정 기준 이상의 자산은 스스로 만든게 아니라 같은 구성원이나 더 넓게는 사회로부터 온거라고 여겨야하고 그 자산의 무게를 알고 용처를 구분할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쭈꾸미
24/04/05 15:02
수정 아이콘
하아… 죽창 마렵네.
24/04/05 16:10
수정 아이콘
사회주의자가 진짜 있구나.. 덜덜
방구차야
24/04/05 21:21
수정 아이콘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 사회에서 정의라고 여겨지는게 사회주의적인 제도들이 많습니다. 국방의무, 의료보험, 세금납세등

냉전 때문에 공리주의마저 거부감이 드는 경향이 있는거죠
No.99 AaronJudge
24/04/05 19:14
수정 아이콘
사회주의자 은근 많죠. 사실 우리가 반공 역사 때문에 타 국가보다 심히 적은거라 생각하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9702 [LOL] G2 공식 트위터 + T1 vs G2 뷰어십 + T1 세트별 pog + 시리즈 MVP [28] 아롱이다롱이16139 24/05/10 16139
499700 [기타] 애플 광고 vs LG 광고... [22] 우주전쟁11423 24/05/10 11423
499699 [LOL] G2 트위터 근황 [19] 이호철11828 24/05/10 11828
499698 [기타] 신라면에 중독된 영국 래퍼 [25] 아롱이다롱이14343 24/05/10 14343
499697 [기타] 쇼핑몰별 가격 비교 [23] 톰슨가젤연탄구이13672 24/05/10 13672
499694 [동물&귀욤] 서비스로 받은 순대때문에 산책을 못하는 댕댕이 [10] Myoi Mina 10471 24/05/10 10471
499693 [유머] 에버랜드 티익스프레스 도입한 파크플래너 인터뷰 [5] Croove11980 24/05/10 11980
499692 [서브컬쳐] ??: 이게임 사실 소재는 괜찮았던거 아닐까요? [11] Lord Be Goja10480 24/05/10 10480
499691 [기타] 교명 때문에 몸살을 앓고있는 충북대학교 [69] 우주전쟁16214 24/05/10 16214
499690 [유머] 창군이래 두번째 장군부부 [42] Croove12757 24/05/10 12757
499688 [기타] 한편, 영국의 한 대학에서는 [7] Lord Be Goja9380 24/05/10 9380
499685 [연예인] 이동진 평론가 : "푸바오에 슬퍼하는 사람들을 함부로 폄하할건 아니다" [260] 시린비18545 24/05/10 18545
499684 [기타] Pc방을 살린 짜파게티 레시피 [45] 롯데리아14232 24/05/10 14232
499683 [연예인] 아이돌 레전드 라이브 [13] 묻고 더블로 가!10014 24/05/10 10014
499682 [텍스트] 눈물을 마시는 새 이탈리아 리뷰 [56] 요그사론11147 24/05/10 11147
499681 [기타] 예비군 훈련장 40개로…훈련받기 위해 차로 왕복 3시간 [28] Myoi Mina 11394 24/05/10 11394
499680 [유머] 뭔가 엄청 긴 중국어 닉을 해석해보았다. [12] 꿈꾸는드래곤9386 24/05/10 9386
499679 [기타] 80년대 63빌딩 건설과정.jpg [27] Myoi Mina 12365 24/05/10 12365
499678 [서브컬쳐] 퍼스트 건담이 영원한 건프라 베스트셀러인 이유 [10] 꿈꾸는드래곤7441 24/05/10 7441
499677 [게임] 에테르 게이저 PV의 안습 검열 [3] 묻고 더블로 가!8354 24/05/10 8354
499676 [스타1] 진자림 QWER, 그리고 왜냐맨 [27] 김재규열사11631 24/05/10 11631
499675 [서브컬쳐] 개초딩기술 [3] 아드리아나8341 24/05/10 8341
499674 [기타] 여러분이 테뮤에서 뭔가를 사면 보이지않는곳에서 벌어지는일 [20] Lord Be Goja11809 24/05/10 118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