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24 14:38:35
Name 무딜링호흡머신
File #1 Screenshot_20240324_143656_Chrome.jpg (2.56 MB), Download : 139
File #2 Screenshot_20240324_143726_Chrome.jpg (191.8 KB), Download : 128
출처 fmkorea
Subject [기타] 일본에서 화제라는 1억엔 모으기







이제 베스트셀러 작가 되어서 인세+강연 등으로

더 빠르고 더 많이 모을 수 있을 예정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24 14:42
수정 아이콘
자린고비처럼 아낀 건 맞지만 사실 돈은 미장 투자로 벌었다는 거 같던데...
닉네임을바꾸다
24/03/24 15:11
수정 아이콘
뭐 사실 닛케이도 엄청 올랐으니까 그쪽일수도 크크
디쿠아스점안액
24/03/24 14:46
수정 아이콘
시드머니 2배 불리는 투자 실력이시면...
파비노
24/03/24 14:47
수정 아이콘
욜로에서 다시 초절약으로 트렌트가 변했군요
아침노을
24/03/24 15:52
수정 아이콘
한국의 경우엔, 코로나 때 해외여행이 막히고 집에 머무르는 시간은 늘어났는데 집값은 폭등해서 벼락거지란 말이 생겼죠. 내 또래 세대가 다같이 벼락거지면 괜찮은데 비슷하다고 생각했던 주변 그룹에서 주식 코인 부동산으로 인한 경제적 격차가 커지면서 욜로 라이프가 쏙 들어갔다고 하더군요.
안군시대
24/03/24 16:48
수정 아이콘
일본은 딱히 욜로열풍이 불었던 적이 없지 않나요?
이민들레
24/03/25 07:09
수정 아이콘
일본은 계속 절약이 트렌드이긴 했어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3/24 14:48
수정 아이콘
그냥 투자 고수 같은데 크크
24/03/24 14:48
수정 아이콘
사람들과 전혀 안섞여야 한다는 부분때문에 성향에 맞아야 가능한 삶 같은데요
24/03/24 14:55
수정 아이콘
밥이 꽤 먹을만해 보이는데요 크크 나도 혹시?
서린언니
24/03/24 15:01
수정 아이콘
저거 따라하다 미쳐버릴듯...
밤에달리다
24/03/24 15:03
수정 아이콘
저도 플렉스보다는 소확행 쪽에 가깝지만 삶이 너무 메마른 거도 별로인 듯.
24/03/24 15:04
수정 아이콘
투자 잘한거도 맞지만 괜히 재테크 얘기할때 종자돈 얘기하는게 아니라서..
저렇게 극단적으로 아끼는건 아니라도 초년생때는 투잡까지 하는 근성아닌이상에야 절약이 최고인데 뭐 요즘엔 구태의연한 소리라고 하니
switchgear
24/03/24 15:11
수정 아이콘
재테크로 2배 불린것도 있지만 종자돈 5천만엔을 저렇게 모은게 대단하죠.
김건희
24/03/24 15:11
수정 아이콘
김생민 메타군요.
24/03/24 15:31
수정 아이콘
강연좀 다니다보면 21년 그렇게 살았던게 억울한 기분이 들것 같은데요. 크크.
24/03/24 15:37
수정 아이콘
아껴서 계속 5천만엔 모은 것보다 종잣돈을 두배로 투자해서 번게 더 대단해 보입니다.
진짜 저렇게 모은 돈은 쉽게 투자하기 어려운데 투자의 귀재네요.
날아라 코딱지
24/03/24 15:48
수정 아이콘
케바케 인듯 하고 사람에 따른 약간의 운도 있겠죠
제아는 분은 지금은 육십대 중반이 되셨는데
막노동 하는 분이었습니다
초등졸 학력에 젊은나이때 부모님도 떠나 혼자남게되
벽돌 지고 시멘트 나르며 막노동으로 살게됬는데
거처인 의왕 부곡근처에 당시 비늘하우스에 살면서
내처지 아끼며 살다 늙어 조금이라도 편히 살수있다가자 하고
결혼 다 접고 그렇게 막노동으로 일하며 모으며 사셨는데
사십후반 되서 공사판 장비 창고겸 집으로 살던 비닐하우스 부지
땅값도 많이 오르고 그동안 정말 죽어라 아끼며 모은 돈도 상당해져
거의 수십억대 갑부가 됬죠
헌데 그렇게 수십년 살다보니 오십다되서 뭔 결혼이고 뭐 놀이냐
하며 여름가을에만 노가다 뛰고 겨울 봄은 그냥 빈둥빈둥 놀면서 사시더군요
물론 늦은 나이에 여유가 생기니 가끔 색시집에 가곤해 주위사람들이
그러지말고 지금이라도 장가를 가라고 하지만 제가 8년전 봤을때까지는
아니 혼자살거야 하던데 지금 그양반 소식한번 집사람에게 물어봐야 겠네요 크크
문문문무
24/03/24 15:55
수정 아이콘
일본이 동북아에선 저런류 책팔이 원조인걸로 아는데
아직 면역이 안됬나보네요?
24/03/24 15:57
수정 아이콘
최소 식비는 비슷한데 내 1억엔 어디 갔어요 ㅠㅜ
24/03/24 16:06
수정 아이콘
15년동안 5억
이후 6년동안 5억

꾸준히 모은 종잣돈과
일정한 현금흐름과
절제된 소비습관
그리고 투자

월급 소비 투자
3박자

플러스 건강
평온한 냐옹이
24/03/24 16:09
수정 아이콘
그냥 파이어족 아닌가요?
인간실격
24/03/24 16:17
수정 아이콘
저렇게 21년 살면서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사실 뭘 해도 성공했을듯 해서 딱히 공감이 가진 않네요 크크
24/03/24 16:32
수정 아이콘
저게 진짜 일본 자기개발서 베스트셀러 20위 안에만 들어도 와.. 돈버는게 이렇게 쉽구나 할텐데요 크크
24/03/24 16:43
수정 아이콘
21년간 일만 저렇게 뚝심 있게 하는것도 대단한듯
유료도로당
24/03/24 16:54
수정 아이콘
최근에 닛케이 장이 좋았던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겠네요.. 크크
24/03/24 17:48
수정 아이콘
그래봤자 서울에 집 한 채 어려운 거 아닌가요 크크
마갈량
24/03/24 18:33
수정 아이콘
저렇게 담백하게 사는사람이 직장을 안다니면 수도에살필요가 없으니까요 크크
네오유키
24/03/24 23:51
수정 아이콘
9억이면 서울에도 살 수 있는 집이 되게 많은데요?
멸천도
24/03/25 09:07
수정 아이콘
30만원짜리 월세방이랑 비슷한 집정도면 서울에서도 저 돈으로 충분히 사지 않나요?
24/03/25 10:55
수정 아이콘
사실 하고 싶은 말이 길긴 한데 줄이겠습니다.
이쥴레이
24/03/24 18:50
수정 아이콘
비슷한 친구가 한명 있기는 있는데... 15년해서 지금 아파트 대출금 하나없이 온전히 모은돈으로만 서울에서 사고
최근 몇년에 부에 깨달음을 얻었다고 자기가 멍청했다고, 대출 다시 받아서 집 하나랑 상가건물 하나사서 돌리더군요.

저한테도 무조건 빚없다고 좋은게 아니라 그걸 계속 굴려서 자산 불려가는게 중요하다고 요즘와서 역설을...

또 한분은 부같은거 말고 노후 연금 지금부터라도 안늦었으니 준비해서 60세 넘으면 연금 타는 방향 설계 해야된다고
kbstars&p500 30%넣고 나스닥100에 50% 넣고 타이거 미국배당다우존스에20%비율로 ETF3개만 꾸준히 모으라고...

주위에 이제 다들 뭔가 먹을거 풀칠하기 시작하니 노후들 대비하는게 보이기는 합니다. 흠.. 이제 그런 나이인가하고....
24/03/25 11:24
수정 아이콘
마지막 분이 투자관이 관심이 가네요.
한국 부동산은 앞으로 유지 될 수 있는 가에 회의적입니다. 분명히 미친듯이 인구가 줄 텐데 자산이 유지 될꺼 같지 않아요.
노후를 생각하면, 한국에 사는것은 어쩔 수 없지만 한국 보다는 미국쪽에 베팅을 해야 된다고 생각했는데 감사합니다.
미국쪽 부의 서행차선을 타는 길인거 같은데 말이죠.
24/03/24 19:14
수정 아이콘
유튜버 박가네에서 관련 얘기를 다뤘는데 저 식자재도 은행 이체 관련으로 포인트를 모아서 한달에 한번 포인트 관련 장 볼수 있는곳에 가서 구입하는거라고..

그리고 현재 일본 주식이 호황이라고 안하면 바보 소리 듣는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24/03/25 10:56
수정 아이콘
통화 가치가 나락이라서...
VictoryFood
24/03/24 19:23
수정 아이콘
5천만엔을 모은게 더 대단하죠. 4억 정도 되나요?
24/03/24 20:24
수정 아이콘
2~30대때 미친듯이 절약해서 모아서 40~50대에 모은돈으로 투자해서 돈 불이는
정석 그 자체.
사나없이사나마나
24/03/24 20:56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베스트셀러면 모은 돈보다 더 벌었지 않을까요?
24/03/25 04:50
수정 아이콘
무지출 챌린지 드가자..
Lahmpard
24/03/25 17:29
수정 아이콘
소득이 많지 않은 상태(좋소라고 했으니)에서 15년동안 5억을 모으는 게 찐대단한거 같은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988 [기타] 수월우 5G 스마트폰 MIAD01 일러스트 공개 [8] 물맛이좋아요8458 24/04/25 8458
498987 [유머] 민희진 걸그룹 언급한거에서 어이없는점 [27] Leeka14774 24/04/25 14774
498986 [유머] 당신이 유능한 킬러라면? [19] Croove10189 24/04/25 10189
498985 [유머] 오늘 뜬금없이 떠오르는 질문 3개 [19] 79년생11324 24/04/25 11324
498984 [유머] 일본에서도 화제인 이번 기자회견 반응.jpg [22] Starlord15242 24/04/25 15242
498983 [유머] 저주받은 모자 [3] 퍼블레인8842 24/04/25 8842
498982 [연예인] 민희진씨 기자회견으로 진짜 신난곳 [8] Lazymind13799 24/04/25 13799
498981 [게임] 2023년 일본 모바일게임 매출순위 TOP 10 [12] Heretic9831 24/04/25 9831
498980 [LOL] 흔한 선수의 징계사유 [1] xxqpxx8152 24/04/25 8152
498979 [연예인] 기자회견후 하이브 입장문 [28] 삭제됨12353 24/04/25 12353
498978 [유머] 다음 중 내가 꼭 나가야한다면? [29] Starlord9106 24/04/25 9106
498977 [기타] 오늘 민희진 기자회견 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것... [69] 우주전쟁14269 24/04/25 14269
498976 [연예인] 기자회견이 끝나고 고민 중인 세여자.jpg [11] 무딜링호흡머신12726 24/04/25 12726
498975 [기타] 뜬금없이 한국에게 디도스 공격을 당한 일본 사이트 [5] 물맛이좋아요9361 24/04/25 9361
498974 [LOL] 롤 역사상 가장 강한 체급의 팀은? [44] LA이글스8870 24/04/25 8870
498973 [스포츠] 어떤 해설의 민희진 기자회견 감상.twit [21] Silver Scrapes14375 24/04/25 14375
498971 [연예인] 오늘 민희진 기자회견 화력 체감.jpg [22] RENTON14022 24/04/25 14022
498970 [유머] 데뷔공연부터 엄청난 관심을 받는 2인조 힙합듀오 [8] 레드빠돌이10756 24/04/25 10756
498969 [연예인] 민희진 꾸몄을 때 모습 [8] 묻고 더블로 가!13216 24/04/25 13216
498968 [기타] 기자회견 보면서 깨달은 점 [10] BTS11932 24/04/25 11932
498967 [유머] 사람이 말을 못멈추게하는 모자 [8] 두두9286 24/04/25 9286
498966 [유머] 기자회견으로 하이브 상승중 [12] 두두11291 24/04/25 11291
498965 [연예인] 오늘 재평가하게된 기업 TOP 1 [2] 리얼포스10935 24/04/25 109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