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20 01:08:18
Name 김삼관
출처 해당유튜브
Subject [유머] 스무살부터 14년간 성우시험을 본 여성 (수정됨)


어떻게 되었는지.. 소식이 궁금하네요.


후기라고 할지 이어지는 영상이 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시마두장
24/03/20 01:12
수정 아이콘
공채 경쟁률이 엄청나군요...
배우랑 다르게 성우는 공채를 합격해야 성우 타이틀을 붙일 수 있으니 참 힘들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3/20 01:28
수정 아이콘
뭐 관련 법이나 자격증 같은게 있나요? 그게 아니라면 공채 출신은 일감 잡는데 유리한거지 성우 타이틀 가부와는 상관없는거 같은데..
MissNothing
24/03/20 01:48
수정 아이콘
아나운서랑 같습니다. 말 잘하고 발음 좋은사람은 많지만 아나운서에서 프리한사람 아니면 아나운서라고 안불러주는 것 처럼 성우도 아무리 목소리가 좋고 연기를 잘해도 공채 성우가 아니면 성우가 아닌거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3/20 01:58
수정 아이콘
음 작가나 만화가처럼 공모전으로 등단하지 않아도 돈 받고 일하고 있다면 해당 직함을 붙이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방송계는 심오한 면이 있군요 그냥 우리나라 문화려니 합니다 북미같은경우는 성우를 공채로 뽑는게 아닌데도 성우로 불러주던데 말이죠
바이바이배드맨
24/03/20 13: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닙니다. 저분이 잘 모르시는거고 그냥 다 부릅니다. 아나운서도 꼭 공채 출신 아니여도 기상캐스터나 케이블 하다못해 사내 아나운서라도 경력생기면 아나운서라고 부르고 선후배 취급해줍니다. 그냥 대중들이 가끔 공중파 아나운서랑 아닌 경우 구별하는거고 업계에서는 그냥 성우고 아나운서고 경력 생기면 인정해줍니다. 물론 처우, 대중인식, 몸값은 달라서 계속해서 공채 도전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렇다고 자격이 없다 취급은 안하고 업계에서 서로 선후배 취급 해줘요. 공채도 보통 공채합격전까진 저 코스 다 거친거라.

그냥 예전 kbs, sbs, mbc 공채 배우랑 아닌거랑 그냥 코스가 다르고 대접이 다른거지 인정해줬다는 거랑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24/03/20 06:07
수정 아이콘
공채 합격자가 아니더라도 성우 아카데미 같은 데 나와서 활동할 수도 있습니다. 공채 출신들은 "협회 성우"라 부르고 그게 아닌 분들은 "비협회 성우"라 부릅니다. 몸값은 당연히 협회 성우가 더 비쌉니다. 고객사에서 더빙 비용을 낮추고 싶어 할 때 흔히 비협회 성우를 쓰곤 합니다.
그리고 외국어 원어민 성우가 필요한 경우도 많은데 이런 분들은 거의 다 비협회 성우일 수밖에 없습니다. 공채로 모든 언어별 성우를 선발하는 건 불가능하니까요.
다시마두장
24/03/21 07:2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언젠가 서유리 성우가 '아마추어 성우'라는 말에 대해 부정적으로 언급한 바가 있어서(그들은 지망생일 뿐이고, 이들을 싸게 데려다 쓰는 관행이 문제다 라는 논지로) 그렇다면 프로의 기준은 공채겠구나 하고 섣불리 생각하고 있었네요. 덕분에 또 새로운 세계를 알아갑니다.
terralunar
24/03/20 0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본에 성우 양성소 운영중인 베테랑 성우 인터뷰가 기억이 나네요
"성우라는 직업은 그냥 내가 성우라고 하는 순간 성우다. 성우 자격증이란게 있느냐? 아니지 않느냐? 하지만 그걸 남들한테 인정을 받으려면 캐스팅을 따내야 한다. 양성소를 나왔건 사무소에 소속이 되었건 그런 건 아무 상관이 없고 오로지 캐스팅만이 성우를 성우로 증명한다. 평생 그 과정을 반복해야 된다. 그게 성우의 어려움이다."
Excusez moi
24/03/20 02:25
수정 아이콘
성우는 다른거보다 뽑는 인원수 자체가 매년 매우 극소수라서....
24/03/20 02:45
수정 아이콘
오늘 저도 이분 영상이 갑자기 떴는데 신기하네요
평소 성우영상 찾은적이 없었는데
24/03/20 04:20
수정 아이콘
신기하게 성우 자주보는 저는 안뜹니다.. 놀라운 유튜브
1등급 저지방 우유
24/03/20 07:05
수정 아이콘
알고리즘이 참 신기하긴해요 흐흐
오드폘
24/03/20 07:16
수정 아이콘
피지알 알고리즘이라고 생각 안해보셨습니까
유튜브에서 보고온 게시물 알고리즘으로 유게에 올라와있는 피지알
비오는풍경
24/03/20 0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한 방송사에서 합격하고 다시 다른 방송사 공채로 넘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니 가뜩이나 심한 경쟁이 더욱 더 빡센...

위에서 일본 얘기가 나왔는데 한국과 일본의 성우는 대우가 많이 다른 편이죠. 일본 성우는 일반적인 연예인처럼 사무소(소속사)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활동 내용도 연예인과 유사한데 우리 나라 성우는 철저히 방송국 위주로 활동하죠. 프리랜서의 대부분도 공채 성우에서 출발하구요.

이 차이는 결국 성우가 활동하는 컨텐츠의 차이에서 오구요. 우리 나라는 성우가 활동할만한 분야가 일본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이니...
24/03/20 10:17
수정 아이콘
이 분 왜 안되는거죠.. 실력이 떨어지는 분인가요? 제가 안타깝네요
24/03/20 11:15
수정 아이콘
성우는 워낙 적게 뽑고
노력은 당연하고 진짜 재능의 영역인데
24/03/20 12:28
수정 아이콘
소름; 아침에 알고리즘에 떠서 보고 왔는데 유게에도 있네요 크크
24/03/20 14:30
수정 아이콘
예술 분야에서 적용되는게 좀 이상하긴 하죠.
대불암용산
24/03/20 20:25
수정 아이콘
와 저 동네가 저렇게 빡센 동네였군요... 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9097 [유머] 이것이 미국이구나 하고 느낀 썰 [16] 무딜링호흡머신13334 24/04/27 13334
499096 [연예인] 힌 장으로 이해하는 헨리 카빌의 탈주 [24] 묻고 더블로 가!12339 24/04/27 12339
499095 [유머] AI가 생각하는 극락 [9] 무딜링호흡머신10755 24/04/27 10755
499094 [기타] 한때 국내 밀리터리 매니아들이 부러워하던 미군장비 [19] Lord Be Goja11024 24/04/27 11024
499093 [스포츠] 엘지 우승 엘지 우승.swf [22] 발적화13023 24/04/27 13023
499091 [기타] 11.7%도 존중받아야 합니다... [48] 우주전쟁17062 24/04/27 17062
499090 [연예인] 배우 안성기님 장남 안다빈님 근황 [6] Croove15441 24/04/27 15441
499089 [게임] (약후?)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가는 이유 [8] 꿈꾸는드래곤17880 24/04/27 17880
499088 [기타] ??:우리브랜드 이미지 유지를 하려면 광고를 해야해요 [29] Lord Be Goja12750 24/04/27 12750
499087 [기타] OTT 사용자점유율 추이.gisa [32] VictoryFood13207 24/04/27 13207
499086 [게임] 의외로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달랐던 게임 [64] EnergyFlow10598 24/04/27 10598
499085 [유머]  1919년도 놀이기구 설계안 [27] VictoryFood12294 24/04/27 12294
499084 [유머] 호주의 국민 간식 수준.jpg [40] Myoi Mina 15635 24/04/27 15635
499083 [게임] 논란의 철권8 최근 대회 결과 티어표 [16] 손금불산입11103 24/04/27 11103
499081 [게임] 모나크모나크(저격아님) [16] 페스티9231 24/04/27 9231
499080 [방송] 대화가 필요해 [4] 김삼관8523 24/04/27 8523
499079 [유머] 한국인들이 마라탕먹는걸 중국인이 싫어하는 이유 [21] 꿈꾸는드래곤12903 24/04/27 12903
499078 [유머] ‘너프’라는 단어가 탄생한 이유.jpg [27] Myoi Mina 13221 24/04/27 13221
499075 [유머] 높으신 분들이 유머러스한 이유 [27] 길갈12906 24/04/27 12906
499074 [기타] 특수부대의 효능 [9] Lord Be Goja9736 24/04/27 9736
499073 [연예인] 마동석 vs 파퀴아오 신장비교... [11] 우주전쟁12140 24/04/27 12140
499072 [서브컬쳐] 매출 증가에도 일본 애니업계가 위기라는 이유.jpg [32] 캬라12777 24/04/27 12777
499071 [유머] 마동석이 미국에서 빅사이즈가 아닌 이유.jpg [21] Starlord13665 24/04/27 136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