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3/08 20:59:16
Name Heretic
File #1 1709549232699.jpg (53.3 KB), Download : 19
출처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consumer/articles/2024/20240229.html
Subject [기타] 국가별 가솔린,하이브리드,전기차 비율 선호도 통계 (수정됨)






미국인들은 여전히 가솔린을 많이 좋아하는 스타일
알아보니 현재 점유율이 아니라 선호도 통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거의 동수네 중국은....
더치커피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랑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이가 뭔가요?
닉네임을바꾸다
24/03/08 2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충전을 따로 해야할정도로 좀 큰 베터리 넣은 친구...(그래서 모터로만으로도 제법 멀리 갈 수 있죠...)
일반 하이브리드는 엔진돌리는거 정도로 채울 수 있는 정도 용량...(뭐 여기서 모터단독으로는 차를 끌고 갈 수 없는 마일드하고 모터만으로 일단 차를 끌고 갈 수는 있는 풀 하이브리드가 또 나눠짐...)
츠라빈스카야
24/03/08 21:09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 : 기름이 메인이고 전기가 보조. 전기 따로 충전은 보통 안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전기가 메인이고 기름이 보조. 전기 따로 충전 가능

아주 간략하게 보자면 이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티오 플라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는 외부전기 충전이 불가능하고 기름만 넣는 거고, 플러그인은 배터리 비율이 늘어서 전기로도 충전이 가능하고 기름도 넣을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은 사실 좀 애매한 것 같은...
nm막장
24/03/08 2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참고로 제가 하이브리드 사고 나서 안건데...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2kWh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 : 대략 17kWh~
순수전기차 : 대략 77kWh~

아이 등원용으로 하이브리드 사서 전기만 쓰고 다녀야지~ 했는데 대략 20km/h 만 넘어도 부~웅 하고 엔진돌아갑니다.(무거워진 차체덕에 내연기관만 있는 버전보다 기름을 더 먹음... 생각보다 회생제동으로 충전 얼마 안되며... 배터리 수명때문에 항상 충전율을 30~70%로 유지하려고 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로 30km ~ 70km 까지 걍 다닐 수 있습니다. 시속 100km/h 밟아도 엔진 안돕니다.
(전기 주행 가능거리는 차종별로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이) (BEV는 300km ~500km 정도까지 다닐 수 있음 배터리 용량에 의존)

BEV(순수전기차) 대비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단점은... 대부분 고속충전이 안됩니다.
즉 집이랑 직장 거리가 30km ~ 70 km 안쪽이면서 집(아파트포함)에 충전기가 충분히 확보되어 완속으로 5~6시간 충전에 꽂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PHEV로 경제성 확보하기가 어렵죠.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저정도 팔렸나.. 포터때문에 그런가..
산밑의왕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름값 싸고 오지 갈 일 많은 미국에서 내연기관 비중 높은게 이상한게 아니라 땅이 넓은데도 전기차 비중이 높은 중국이 신기한거라..
어강됴리
24/03/08 21:05
수정 아이콘
기타는 뭘까요 차에 캐로신을 넣는것도 아닐테고 부카니스탄도 아닌데 목탄차가 다니나
아.., LPG가 있구나

바이오디젤 생각하다가 그냥 그건 디젤 엔진이지..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몇몇 버스의 수소연료전지도 있습니다.
안아주기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수소차도 있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7
수정 아이콘
원문 보니 CNG, 수소, 에탄올 등 포함이네요.
티오 플라토
24/03/08 21:08
수정 아이콘
아마 2023년에 팔린 신차의 비율일 것 같아요. 전체 비율로 따지면 전기차가 저렇게 높을 수 없죠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파일을 받아봤는데,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거냐"에 대한 답이네요.
엑세리온
24/03/08 21:14
수정 아이콘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기차 비율이 전체 차량중에 2프로가 안될거에요 아마
(윗 댓글 보고) 아, 어쩐지 잘 모르겠음은 왜 있나 했는데 그래서...
아엠포유
24/03/08 21:11
수정 아이콘
한일에서 하브, 플하브 비중이 높네요
츠라빈스카야
24/03/08 21:12
수정 아이콘
링크 가서 원문 봤는데, 저게 지금 전체 차량이나 최근 판매차량 비율이 아니라 '다음에 살 차는 뭘로 살래?'에 대한 대답이네요.
ComeAgain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시기상조입니다. (전기차 보유중)
55만루홈런
24/03/08 21:2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쓰기엔 아직 너무 불편한... 충전부터 추운 겨울날 배터리 나가는 문제... 사고나서 불나면 확 불타버리는 문제 크크.. 세개 다 해결 되면 그 때 타는걸로 크크크
손꾸랔
24/03/08 21:25
수정 아이콘
독일이 의외네요. 유럽이라 전기/하이브리드가 대세일 줄 알았는데... 대세는커녕 한중일은 물론이고 인도 동남아보다 한참 떨어지는군요
24/03/08 21:5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도 그렇고 단종추세에 들어가는 디젤세단 여전히 꼬박꼬박 만들어 수출까지 하는 얘들이 유럽이죠.
24/03/08 21:5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하브 정말 좋아하긴하죠. 쏘렌토로 대표되는 suv 붐도 얘들이 하브모델이 나오면서 전성기가 왔다고봐도 무방하고요.
하아아아암
24/03/08 22:09
수정 아이콘
한중일이 친환경 제알 앞서나가네요 크크

미국은 그렇다치고 유럽조차 한참 인식이 멀었군요?
김삼관
24/03/08 22:17
수정 아이콘
전기차가 주류가 될 수 있으려나..?
24/03/08 23:46
수정 아이콘
단독주택이신분은 무조건 전기차 타세요.. 자가 충전기만 있으면 안살이유가 없습니다
24/03/09 00:25
수정 아이콘
전기차 주류 되려면 15년은 더 남았다고 봅니다
24/03/09 03:07
수정 아이콘
남자는 죽을때까지 가솔린이다..
시무룩
24/03/09 06:29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하브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을줄 알았는데 의외로 선호도 자체는 생각만큼 높지는 않네요
마찬가지로 phev 차량이 많은 독일도 phev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구요
지켜보고있다
24/03/09 23:21
수정 아이콘
Phev가 왜이렇게 많나 했더니 선호도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063 [유머] 맘카페 하원도우미 공고 [106] Myoi Mina 14432 24/03/18 14432
497062 [유머] 푸짜르, 5선 확정 [33] Myoi Mina 10703 24/03/18 10703
497061 [기타] (혐주의) 명작 일본만화 '맨발의 겐'에 나온 거침없는 비판 대사. [14] 보리야밥먹자11345 24/03/18 11345
497060 [유머] 님들 군대 입대곡 뭐였습니까.jpg [97] 北海道9963 24/03/18 9963
497059 [기타] 도쿄 도심환상선 1986년 vs 2023년 [19] 우스타9856 24/03/18 9856
497058 [유머] 강남에서 뜨고있는 수면방.jpg [42] 김치찌개14637 24/03/18 14637
497057 [유머] 점점 확산되고 있는 노타투존.jpg [96] 김치찌개14822 24/03/18 14822
497056 [유머] 내 성씨가 싫은 이유.jpg [32] 김치찌개10388 24/03/18 10388
497055 [유머] 사람마다 너무 다른 스마트폰 교체 시기.jpg [49] 김치찌개10793 24/03/18 10793
497054 [유머] 버스에서 이 안내문 따르는 승객 좀처럼 없음.jpg [24] 김치찌개9185 24/03/18 9185
497052 [기타] 요즘 포토샵 광고 [7] Lord Be Goja8277 24/03/17 8277
497051 [방송] 서울엔 없고 오직 부산지하철 타면 볼 수 있는 것 [5] style10982 24/03/17 10982
497050 [유머] '국가권력급' 드립의 시초는 따로 있었다 [7] 김삼관9374 24/03/17 9374
497049 [유머] 협동에 대한 교훈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6756 24/03/17 6756
497048 [서브컬쳐] 돈주고 보러온 관객들 배꼽인사 시키는 버튜버 [8] 김삼관7977 24/03/17 7977
497047 [기타] 올해 한국에서 사라질 편의점 브랜드 [1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877 24/03/17 10877
497046 [유머] ??? : 우린 이제 '힐러'따위 필요없어 우리 파티에서 나가라 [9] EnergyFlow9747 24/03/17 9747
497045 [스포츠] 오늘 고척돔에 간 추신수랑 김병현 [10] 서귀포스포츠클럽9179 24/03/17 9179
497044 [기타] 미국의 두 현인들이 알려주는 좋은 배우자 찾는 방법.GIF [10] 비타에듀9862 24/03/17 9862
497043 [유머] 한국 대통령 이름 중국식 발음 [13] 된장까스9743 24/03/17 9743
497042 [서브컬쳐] 네이버 시리즈 무료영화 근황 [4] 요그사론8393 24/03/17 8393
497041 [LOL] +9,182 [19] Leeka9540 24/03/17 9540
497040 [서브컬쳐] 프리렌 인기투표 근황 [19] 아드리아나9342 24/03/17 93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