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25 12:40:42
Name 수퍼카
File #1 인제기적_vert.jpg (643.2 KB), Download : 19
출처 트위터
Link #2 https://twitter.com/kcanari/status/1747234446410207655
Subject [유머] 천창으로 자연광이 넉넉히 드는 인제기적의도서관


[자막뉴스] 인구는 3만인데 방문객이 5만? 시골 도서관의 '기적' / KBS 2024.01.28.



'도서관'이라는 것을 간과한 디자인이 아닌가 싶군요. 과연 저 책들은 어찌 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분쇄기
24/02/25 12:41
수정 아이콘
책 엄청 빨리 삭겠는데요.
안군시대
24/02/25 12:45
수정 아이콘
책 표지색이 변하는 기적인가? 크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4/02/25 1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외선이라도 막혀야 덜 할거같긴한데 크크
No.99 AaronJudge
24/02/25 12:46
수정 아이콘
아 생각해보니 그러네..
24/02/25 12:50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서 지자체들 헛짓거리들 보면 저건 얼마나 갈지 의문...
실제상황입니다
24/02/25 12:50
수정 아이콘
한편으로는 책이야 자주 바꿔주면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얄팍한 생각도 드네요. 지방 도서관에 저렇게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주는데..
24/02/25 12:52
수정 아이콘
어차피 서가의 책은 교체하기 마련이라…. 화제 되어서 사람들 오면 그만한 가치는 있는 거죠.
닉을대체왜바꿈
24/02/25 12:56
수정 아이콘
뉴스나 잡지에서는 잘지었다고 홍보하는 상황인데 그걸 바라보고 접하는 대중들은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있네요
둘다 맞는 말이겠죠
@user-ak23f7kgkz
24/02/25 12: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표지색만 바뀌는건 별 생각 안 들긴 하는데
저 창문 먼지 닦는게 일일듯
다시보니 옥상 올라가서 닦기 좋게 만들어지긴 한듯 하네요
24/02/25 12:59
수정 아이콘
건물 이쁘네요
24/02/25 13:01
수정 아이콘
장서 수가 2.3만권이면 저 규모에 비해서는 택도 없이 적은 편일 것 같습니다.
애초에 설립 목적 자체가 일반적인 도서 열람/대여가 아닐 듯해요.
수퍼카
24/02/25 13:10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말씀대로 일반적인 도서관이라기보다 복합문화공간이 지향점이라는 것 같네요. 제가 본문은 비판적으로 썼지만 괜찮을지도 모르겠습니다.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jg1NQ==
24/02/25 13:14
수정 아이콘
스타필드의 별마당 도서관인가 하는 것처럼 일종의 분위기 조성용인 것 같아요.
24/02/25 13:03
수정 아이콘
저도 뻘짓이라고 생각하면서 내렸는데 5만? 이면 개이득인데 생각하다가 다시 보니까 반년?
우리 동네 도서관 방문관이 몇명이려나
닉을대체왜바꿈
24/02/25 13:04
수정 아이콘
근데 지은지 얼마되지도 않은 도서관에 들인 도서들이 벌써 자연광에 의해 저렇게까지 변색이 되나요?
애초에 중고서적들을 도서관에 들인거같은데 억까가 난동부리는 상황같네요
수퍼카
24/02/25 13:08
수정 아이콘
책들이 변색된 사진은 저 도서관이 아니라 일본 모처의 사진을 인용해서 트윗한 겁니다. 앞으로 저렇게 될 거라는 농담이죠.
닉을대체왜바꿈
24/02/25 13:12
수정 아이콘
관리가 안돼서 일본의 그곳처럼 책이 변하면 그때가서 까도 될껄 저렇게 초치면 기분이 좋은가보네요
암튼 내용확인 감사합니다
24/02/25 13:18
수정 아이콘
책이 햇빛에 변색이 될 것이란 건 과학적인 사실이고, 바랜 다음에 까는 것이야 말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죠.
저 책들이 그냥 몇년 서가에 있다가 버려져도 되는 가치 없는 양판소 책이라면 별 상관 없을 수도 있겠지만, 도서관이란게 가치있는 책을 보관하는 기능도 하는 만큼, 저런 지적이 단지 억까라고 보이진 않습니다.
닉을대체왜바꿈
24/02/25 13:21
수정 아이콘
그런 도서들은 보관장소를 구분해서 놓지 않을까요?
저는 가본적은 없지만 보존형 도서와 양판형 도서를 구분해서 보관한다면 크게 문제될 일은 없어보이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4/02/25 13:08
수정 아이콘
뭐 저렇게 될거다라고 사진 다른거 붙인거같은거같기도...
닉을대체왜바꿈
24/02/25 13:14
수정 아이콘
저 건물을 서울에 똑같이 지었대도 똑같은 비판을 했을까 싶기도하고.. 암튼 저한테 느껴지는 느낌은 미묘하네요
24/02/25 13:49
수정 아이콘
님들 닉이 왜이래요
척척석사
24/02/25 14:48
수정 아이콘
엌 크크크크크
달달한고양이
24/02/25 16:13
수정 아이콘
앜크크크
수퍼카
24/02/25 19:07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4/02/25 13:15
수정 아이콘
저런 개가식도서관은 책의 변형을 피할 수가 없죠. 햇빛 뿐만 아니라 이리저리 손상되는 것을 안고 가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어보입니다. 보존이 목적이었으면 보존서고 형태의 폐가식으로 운영했겠지요.
24/02/25 13:22
수정 아이콘
해외 도서관에는 꽤 가치있는 책들도 그냥 서가에서 꺼내 볼 수도 있도록 되어 있는 곳도 많습니다. 원래 책이란게 서가에서 꺼내서 내용을 쓱 훝어보면서 찾는게 진짜죠. 안그러면 단지 검색해서 책 제목과 저자와 같은 한정된 정보로만 책을 찾게 되니까요.
타츠야
24/02/25 13:21
수정 아이콘
책이 바래는 것을 고민 안 했을 것 같진 않고 그로 인한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다고 본거겠죠.
무너져가는 지방 소도시 입장에서 인구보다 많은 연 방문객 수, 복합공간, 출판시장 하락인데 책을 자주 교체해도 큰 부담이 없다고 판단 등.
몽키.D.루피
24/02/25 13:24
수정 아이콘
중앙에 높은 둥근 홀에서 빛이 들어오고 서가 쪽은 천정이 있는 구조라서 생각보다 직사광선이 바로 책에 떨어지진 않아 보이는데..
수퍼카
24/02/25 13:29
수정 아이콘
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jg1NQ==

이 사이트에 사진이 크게 나와있는데 보면 직사광선이 닿기는 합니다;;
24/02/25 13:27
수정 아이콘
책이 바래져도 상관없다는 식이라면, 도서관 스스로 `여기의 책들은 오래 두고 볼만한 가치가 없는 책입니다..' 하고 인정하는 꼴이죠. 애초에 책에 대해서 가장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마땅할 도서관이라는 기관에서 책을 가장 하찮게 보는 자세 자체가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24/02/25 13:40
수정 아이콘
딱히 문제 없지 않나요. 문제지를 몇달 쓰고 버린다고 문제지가 가치 없다고 말하는 것도 아니고, 소모품으로 생각하고 교체한다는 생각이 가치로 이어진다고 보긴 어렵네요.
24/02/25 14:03
수정 아이콘
도서관이면 책이 바래서 망가지기전에 빌려간사람들이 먼저 망가뜨릴텐데 그러면 공공도서관에서 이사람 저사람 아무한테나 책 빌려주는 행위도 책을 하찮게 본다는 자세라는걸 인정하는 꼴이 아닐지요?
Karmotrine
24/02/25 14:45
수정 아이콘
도서관에서 폐기되는 도서 양 보시면 놀라시겠는데...
보존은 보존의 조치를 따로 하고, 도서관은 보존보다 정보제공이 중요하게 된 거죠. 책 자체보다 책을 읽는 것에 가치를 두게 되었구요.
페스티
24/02/25 13:28
수정 아이콘
코엑스 별마당 도서관도 마찬가지잖아요
뻐꾸기둘
24/02/25 13:29
수정 아이콘
보존가치 높은 고문서 보관하는것도 아니고, 인제면 결국 사람들 오게 만드는게 더 중요하니 목표에 충실한 디자인이라고 봐야죠.(그걸 노리고 했을지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어차피 다수 대중이 이용하는 도서관 책은 직사광으로 변색되기 전에 파손이 더 먼저될겁니다.
24/02/25 13:42
수정 아이콘
애초에 보관할 책은 도서관에 두면 안되죠 크크크 애초에 도서관을 운영하는 시점에서...
닉네임을바꾸다
24/02/25 13:52
수정 아이콘
직사광선보다 사람이 먼저 조지긴 할려나...
24/02/25 16:21
수정 아이콘
직사광선이 사람도 조지긴 합니다.
캐러거
24/02/25 13:53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렇게 생각합니다
크로플
24/02/25 13:47
수정 아이콘
관광객 유치용 지방 소도시 책방 컨셉 카페
.. 좋은 아이템 같은데요
뽐뽀미
24/02/25 13:58
수정 아이콘
책을 구입하려고 가는 게 아니라서 괜찮을 것 같네요.
제 경우에는 도서관에서 괜히 사람 손 때가 많이 탄 책을 골라 읽기도 해서요.
Starscream
24/02/25 14:28
수정 아이콘
저게 책만 저렇게 되는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 제품들도 꽤나 빨리 열화되는지라 솔직히 초창기에 오호라 하는거에 비하면 별 실리가 없는 디자인이라고 봐요. 에너지료율적으로도 그렇고.
드아아
24/02/25 15:36
수정 아이콘
플라스틱이 좀 치명적이죠
샤르미에티미
24/02/25 14:41
수정 아이콘
어쨌든 사람들이 많이 오고 관리만 잘 할 수 있다면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거면 역할은 다 한 거죠. 다만 햇빛이라는 것이 책만 바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싹 다 영향을 줘서... 돌덩이나 버티지 전반적으로 수명에 나쁜 영향을 끼치죠.
Karmotrine
24/02/25 14:43
수정 아이콘
표지 좀 조져도 그것보다 중요한 게 있죠...
Karmotrine
24/02/25 14:46
수정 아이콘
다만 여름 냉방 괜찮은것인가
엑세리온
24/02/25 15:12
수정 아이콘
집에 지구본도 창가에 몇년 놔두니까 알아볼 수 없게 변색돼더라고요.
24/02/25 16:16
수정 아이콘
어차피 도서관에 오래된 책들은 두껍고 까만 종이로 표지 리모델링하지 않나요
24/02/25 19:41
수정 아이콘
공공청사중 디자인에만 치중한 나머지 기능적인 측면은 개나준 디자인들 꽤 있죠. 한때 대유행이었던 유리궁전들이 대부분 그런 쪽이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847 [게임] . [17] 삭제됨13499 24/03/14 13499
496846 [스타1] 스타를 좋아하는 황후 누나.jpg [19] insane13190 24/03/14 13190
496845 [기타] 특가 판매! [11] 닉넴길이제한8자9633 24/03/14 9633
496844 [기타] 일시불이 하남자식 결제방식인 이유 [26] Lord Be Goja12261 24/03/14 12261
496843 [유머] 카카오톡 근황 [3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6187 24/03/14 16187
496842 [유머] 다소 이상한 실외기 위치.jpg [29] 핑크솔져12482 24/03/14 12482
496841 [연예인] 아이유를 다른모델로 교체한다니..돈이 부족했나.. [25] Lord Be Goja13550 24/03/14 13550
496839 [유머] 일본 라멘집 대참사 [22] Myoi Mina 13854 24/03/14 13854
496838 [유머] 과거에는 흔했던, 생일이 2개인 사람들.jpg [31] 北海道11347 24/03/14 11347
496837 [유머] 발매 2주만에 조회수 500만을 넘긴 힙합 뮤직 비디오 [8] 쎌라비8437 24/03/14 8437
496836 [유머] 이경규, "요즘 군대 정도면 4년 복무할 수 있다" [80] 北海道12858 24/03/14 12858
496835 [기타] 스트리밍 전쟁 최후의 승자 [14] 우주전쟁9096 24/03/14 9096
496834 [스타1] ogn이 올린 울트라리스크 줄임말 투표 [46] 아드리아나9238 24/03/14 9238
496833 [유머] 향수 추천 받습니다 [18] 퍼블레인7928 24/03/14 7928
496832 [방송] 요즘 MZ들이 사진찍을떄 하트하는법.JPG [12] insane11919 24/03/14 11919
496831 [유머] 문득 예전에 있었던 부끄러운 일이 떠올라서 괴로울 때 보면 좋은 글 [12] EnergyFlow9163 24/03/14 9163
496829 [기타] 아니 네가 그걸 왜 요청해?! [9] Lord Be Goja9734 24/03/14 9734
496828 [유머] 힘들어도 간호사를 계속하는 이유 [15] DogSound-_-*11138 24/03/14 11138
496827 [유머] 보통의 박사과정 대학원생 [36] 우주전쟁12506 24/03/14 12506
496826 [유머] 수면내시경 깨어나고 저 헛소리 안했나요? 물어봄 [36] Myoi Mina 12127 24/03/14 12127
496825 [유머] 장례식장서 사고친 영업직들.jpg [95] Myoi Mina 14673 24/03/14 14673
496824 [기타] 또잉;;근황 [32] Lord Be Goja12789 24/03/14 12789
496823 [방송] ‘시그널’ 시즌2 제작 확정…김은희 작가 공식 발표 [40] EnergyFlow10915 24/03/14 109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