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25 09:28:35
Name Myoi Mina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한국에도 오디오전용 전봇대 세운사람 나옴..jpg

스크린샷 2024-02-25 092158.png 한국에도 오디오전용 전봇대 세운사람 나옴..jpg

일본에서 오디오 전용 전봇대 세운다고 기사 났었는데



스크린샷 2024-02-25 091636.png 한국에도 오디오전용 전봇대 세운사람 나옴..jpg

스크린샷 2024-02-25 091642.png 한국에도 오디오전용 전봇대 세운사람 나옴..jpg

한국에도 나옴



이게 진짜 효과가 있는건가 싶...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o.99 AaronJudge
24/02/25 09:37
수정 아이콘
뭐……설령 해골물이라도 고객이 만족한다면야…..
카페알파
24/02/25 09:44
수정 아이콘
필요한 만큼 전류를 정제(?)해 주는 장치는 앰프 등 각 오디오 기기에 이미 들어가 있을 텐데......

뭐, 어쨌든 저렇게 오디오 전용룸(건물?)이 있는 건 좋네요. 저기라면 저 시스템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해서 들을 수 있을 듯.
항정살
24/02/25 09:48
수정 아이콘
이재용도 안 하는 일을 하다니.
차라리꽉눌러붙을
24/02/25 09:53
수정 아이콘
전원선 타고 돌아다니는 노이즈 문제가 있다면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될 수도...?
카페알파
24/02/25 09:56
수정 아이콘
그런 거 있다 해도 저 오디오 기기 각각의 전원부에서 다 걸러 줄걸요. 저 정도 레벨의 기기 수준이면 전원부도 어지간히 빵빵하게 신경써서 만들었을 거라서......
바람돌돌이
24/02/25 09: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의미합니다. 저럴거면 Ess만들고 배터리 연결해서 쓰는게 훨씬 나을거에요
지구돌기
24/02/25 09:57
수정 아이콘
발전소에서 오는 신선한 전기가 최고지, 배터리를 거쳐서 정제된 전기는 미네랄이 다 빠진 증류수같이 아무 맛이 없죠. 크크 (아님)
nn년차학생
24/02/25 10:55
수정 아이콘
크크크
하르피온
24/02/25 11:16
수정 아이콘
자연산 전기(벼락)를 써야
24/02/25 09: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봇대 세우느라 배전반에는 돈을 못 쓰셨네요.
묵리이장
24/02/25 09:59
수정 아이콘
멍청한 짓이죠.
허지만 자기가 행복하고 민폐가 아니라면 존중해줘야.
뒹굴뒹굴
24/02/25 10:08
수정 아이콘
감성이 있잖습니까 감성이 흐흐
샤르미에티미
24/02/25 10:11
수정 아이콘
진짜 극한으로 발달한 귀를 가진 사람이 아닌 이상은 오디오 기기가 상위 레벨 넘어가면 구분 불가능해진다고 생각합니다. 그 정도 가면 볼륨을 더 키우느냐 줄이냐가 더 크게 와닿을 거라고 보고요. 그래서 플라시보로라도 저렇게 헛돈을 쓰고 좋아진다고 믿는다면 나쁘지만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 정도로 깊게 들어간 상황이면 뭘 하든 온전한 만족을 느끼는 건 불가능한 단계라고 생각하기에 전형적인 행복을 위해 불행해진다의 전형이 아닌가 싶네요.
돼지붕붕이
24/02/25 10:12
수정 아이콘
주택가 밀집지역이라 변압기 부하가 많이걸리는 곳이면
전용변압기 사용하는게 일리가 있기는 한데
사진을 보니 굳이 저럴필요가 없을꺼 같네요
집안으로 들어가는 전선 게이지높은걸 사용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해석기
24/02/25 10:12
수정 아이콘
원본은 여기 입니다.
https://cafe.naver.com/audiodudu/666189
switchgear
24/02/25 1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입 전원에 들어간 정성에 비해 배전반 구성이 많이 아쉽네요. 노이즈 방지 목적이 클건데 기왕이면 제대로 된 판낼을 써서 중선선 접지선들은 각각 부스바를 이용했어야지 의도했던 목적에 맞는 설치가 되었을건데요. 가장 큰 문제는 분기 차단기 없이 75A 메인 차단기에서 전용 오디오용 전원 포함 3회로 전선을 같이 물린거 같은데 저건 차단기없이 쓰는거하고 같은거라 전선이 과부하로 녹아내려도 차단기가 전선보호를 못 할거라 는거죠. 쓰면서 사진을 다시보니 저 투명피복 전선도 아무리봐도 상전용 규격전선이 아닌데 제가 모르는 제품이 있어서 쓴게 아니면 저건 안전 점검 받으면 바로 철거 명령 받을 수준같네요.
24/02/25 10:28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얼기설기 전선 배선 해 놓은것만 봐도 전봇대까지 세울 사람이 해 놓은거라 보기 힘들어 보여요.
차라리꽉눌러붙을
24/02/25 12: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네요...
까만 선, 빨간 선, 파란 선 불타도 차단기가 내려가지를 않겠네요...ㅠㅠ
지니팅커벨여행
24/02/25 10:24
수정 아이콘
노이즈 때문에 저러는 거라면 그냥 노이즈 차단 변압기 쓰면 다 해결됩니다.
실험실용 고급형도 백만원 대 중반이면 되는데 일을 벌이네요.
24/02/25 10:25
수정 아이콘
그냥 녹음실 차폐트랜스 쓰면 해결되는거 아닌가...
예전에 음향기사들 농담식으로 이야기 나왔던 수력발전 화력발전 전기가 녹음하는데 낫다 아니다 수준인데
블래스트 도저
24/02/25 10:30
수정 아이콘
원래도 유사과학류는 일본이 먼저죠 크크
24/02/25 10:35
수정 아이콘
어차피 자기 만족의 영역이라..
모르는 사람이 보면 티도 안 나는데
돈 쓰고 만족하는 건 취미생활의 기본이죠
24/02/25 11:47
수정 아이콘
이건 아는 사람이 봐도 티가 안 나는거라서...
24/02/25 10:40
수정 아이콘
화력 / 수력 / 원자력 각각의 전기가 갖는 음질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퀀텀리프
24/02/25 17:21
수정 아이콘
화력 전기 - 불타오르는 음색
수력 전기 - 물흐르듯한 음색
원자력 전기 - 파워가 오버된듯한 음색
붕붕붕
24/02/25 10:47
수정 아이콘
저 분 오디오에 쓴 만큼의 돈을 저도 오디오에 썼는데 솔직히 알지도 못하면서 비꼬는 댓글들 달릴때마다 한심하다 싶긴한데, 저 분은 저도 조금 의아하긴 하네요. (전봇대는 모르겠고 왜 저렇게 했는지...)
수지앤수아
24/02/26 15:15
수정 아이콘
취미로 카메라 하는 입장에서, 광학은 모든게 수치로 증명되는데, 음향은 수치로 증명을 못하면서 자꾸 우기더군요 크크크...
붕붕붕
24/02/26 15:22
수정 아이콘
녹음하면 파형이 나오고 2개의 파형을 빼면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많이들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4/02/25 10:58
수정 아이콘
배터리에서 직류로 뽑는게 낫지않나...??
1등급 저지방 우유
24/02/25 11:05
수정 아이콘
취미에는 돈이든다....는 진리죠
외부에서 보면 뭐하러 저짓을??하고 생각하는데
해당 취미영역에 들어서면 사소한거 하나하나가 다 돈이고, 이게 이렇게 비쌌나?? 싶은 생각이 들때가 한둘이 아니더라구요
지켜보고있다
24/02/25 11:18
수정 아이콘
어..... 음질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이거 올려서 어그로 끄는 목적으로 돈을 쓰는 거 아닌가요?
24/02/25 11:21
수정 아이콘
전기 생산할때부터 노이즈가 끼면 안되죠.
풍력은 바람소리 들어가고
수력은 물소리 들어가니
마르키아르
24/02/25 11:3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최초로 전봇대까지 세운 사람이다! 라는 것 하나만 해도

저거 하신 분한테는, 의미가 있을꺼 같은 느낌이네요...

사실 실제 가치가 0 이더라도, 주변에 의미 부여해주는 사람이 많다면, 수억, 수십억 하는 것도 많으니까요... 크크크...
숙성고양이
24/02/25 11:35
수정 아이콘
막귀로 만족하는 나라서 행복하네요.. 하지만 저도카메라는 못참지..ㅠ
블래스트 도저
24/02/25 12:2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카메라 일본 3사 같은데는 정직하게 돈 쓴만큼 화질이 나오죠
라이카 같은데가 좀 논외고
숙성고양이
24/02/25 13:23
수정 아이콘
M11-P와 cron 35mm apo 견적 부탁드립니다
24/02/25 12:09
수정 아이콘
근데 가청주파수 괜찮나요..?
40대 되니까 16000도 겨우 듣는데
비슷한 나이의 주변인은 14000듣는 분이 더 주류인듯하고
50대면 더 낮아지겠죠..
그 나이대에 스피커에 돈쓰면 소리를 풍압으로 들어야 만족할듯..
카페알파
24/02/25 12:30
수정 아이콘
저 정도로 큰 스피커의 경우는, 물론 고음도 아랫등급의 스피커보다는 잘 나오겠지만, 주로 고음보다는 저음 때문에 사용하는 거라서......(근데, 찾아봐도 고음 쪽은 나이를 먹을 수록 가청 주파수가 떨어진다고 나오는데, 저음 쪽은 그러한 이야기를 못 찾겠네요. 왠지 저음도 나이를 먹으면 덜 들릴 것 같은데......)
안군시대
24/02/25 13:27
수정 아이콘
저렇게 입력전력에 신경을 끄는 경우는, 가청주파수보다는 전원부 노이즈에 의한 소리의 왜곡을 신경쓰는거죠. 근데 사실 윗분들도 몇번 언급했지만 가장 안정적인 전력공급원은 배터리인데, 그렇다고 배터리를 연결하면 낭만이 없잖아요 낭만이..
삼성시스템에어컨
24/02/25 12:21
수정 아이콘
녹음실에서도 안하는짓을 해봤자 의미가 있긴 한건지
녹음과정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더 깨끗하게 듣고싶다 뭐 이런건가
춘광사설
24/02/25 13:34
수정 아이콘
클래식은 수력 락은 화력 일렉은 원자력 각각 음원에 맞는 전기가 있죠
24/02/25 14:04
수정 아이콘
이걸 이해 못하는 사람은 심장이 없는 것.
24/02/25 14:54
수정 아이콘
어짜피 본인 돈으로 자기 만족을 위해 합법적으로 설치한거 같은데 왜 이리 평가들은 냉정한지...
24/02/25 14:58
수정 아이콘
유사과학으로서 부정당하는 거지 취미에 큰 돈 쓴다고 부정당하는 게 아니죠.
마일스데이비스
24/02/25 15:53
수정 아이콘
돈으로 만족감을 산다는 점에서 가챠에 돈박는거나 다를거 하나도 없는데 뭔 오지랖들이...
24/02/25 17:57
수정 아이콘
유사과학 신봉자들이니까 비웃는거죠. 지구평면론자들도 자기들이 그거 믿으면서 만족하는 것에 불과한데 왜 비웃음을 살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586 [유머] 딸을 위해 문신을 지우는 [26] 퍼블레인11954 24/03/28 11954
497585 [유머] 전역 8년만에 해병대 나온게 후회되는 이유 [22] Myoi Mina 11410 24/03/28 11410
497584 [게임] 마블 라이벌즈 공개 마블세계관의 하이퍼 FPS [18] 껌정8670 24/03/28 8670
497583 [유머] 정성호가 뽀뽀뽀에서 짤린 이유 [10] Myoi Mina 9628 24/03/28 9628
497582 [유머] pc로 범벅된 게임계는 파판7을 보고 반성하자 [34] Myoi Mina 9862 24/03/28 9862
497581 [게임] 철권 시리즈 근황 [14] Skyfall9646 24/03/28 9646
497580 [기타] 아프리카 틱톡 감성 [11] 묻고 더블로 가!10173 24/03/28 10173
497579 [유머] 드디어 패배한 재드래곤 [7] Myoi Mina 10937 24/03/28 10937
497578 [게임] 오버워치 2 신규 캐릭터 [12] 김삼관9222 24/03/28 9222
497577 [유머] 깜놀주의) 일본 밤거리에서 조심해야 하는 것.GIF [8] 실제상황입니다11973 24/03/28 11973
497576 [유머] 한화 이글스 때문에 건강에 이상이 온 한화팬 [26] 우주전쟁12368 24/03/27 12368
497575 [서브컬쳐] 양덕이 뽑은 일본애니 각각 최고점 에피.jpg [35] 오우거10742 24/03/27 10742
497574 [유머] 침착맨 방송 영향력 vs KBS 방송 영향력은?.jpg [57] 北海道12718 24/03/27 12718
497573 [기타] 알리에 맞선 쿠팡의 결단 [59] 크레토스14945 24/03/27 14945
497572 [유머] 미국의 부자들에게 소액 수표를 보낸 결과.jpg [10] 北海道12003 24/03/27 12003
497570 [기타] 정용진 구국의 결단 [26] 롯데리아12798 24/03/27 12798
497569 [기타] 19세기 후반 여성 스트롱 우먼 누님들 몸매.jpg [15] insane13383 24/03/27 13383
497568 [게임] 서양에서 유행한다는 게이머 메타 [62] 묻고 더블로 가!12504 24/03/27 12504
497567 [유머] 마음만 급했던 쿠팡이츠?…‘무료 배달’ 안되네 [12] 주말11474 24/03/27 11474
497566 [기타] 세계 1위 인구 대국 인도의 출산율 근황 [15] 된장까스10450 24/03/27 10450
497565 [기타] "65세 은퇴, 미친 생각…전 세계 은퇴대란 온다" 블랙록 회장의 경고 [31] 주말12103 24/03/27 12103
497564 [유머] 뉴진스님 서울불교박람회 EDM 공연 예정.jpg [3] Starlord7963 24/03/27 7963
497563 [유머] 얼떨결에 최대주주가 된 직업:모험가 와의 인터뷰 [6] 주말8247 24/03/27 82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