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22 12:43:58
Name 크레토스
File #1 0000972111_002_20240222060106237.jpg (201.1 KB), Download : 29
출처 뉴스
Link #2 .
Subject [기타] TV 시장 점유율 근황


LG 전자가 4위로 떨어졌습니다

게다가 프리미엄까지 시장 뺏기고 있다는 건 크네요

지금 한국 가전 VS 중국 가전의 구도가

과거

일본의 고성능에 초고가 VS 한국의 적당한 고성능에 합리적 가격

결과적으로 한국 가전이 전세계 장악
이 구도랑 비슷한 거 같아서 상당히 쎄합니다...

그렇다고 중국이랑 동일한 가격으로 내면 중국산보다 성능이 좋을수가 없다 보니 가격을 내리기도 쉽지 않아보이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oi Mina
24/02/22 12:48
수정 아이콘
이미 하이센스나 TCL의 경우 적당한 고성능 정도가 아니라 미니LED는 동급이거나 그 이상일겁니다.

저렇게 점유율 상승한 게 LCD시장 장악이 가장 큰 이유인데,OLED마저 노하우를 쌓으면 진짜 일본 가전 꼴 날 수도 있어요
크레토스
24/02/22 12:52
수정 아이콘
제 말은 추구하는 방향이 그렇다는 거죠 뭐.
당장 일본에게서 시장 뺏어올 때도 일본은 인정 안했지만 그때 한국 프리미엄 제품이 이미 일본에 안 꿀렸으니까요..
일본애들이 성능은 우리가 좋은데 가격 때문에 밀린다 그러면 정신승리한다고 비웃었는데 이제 우리가 그위치...
대형 OLED는 lg가 양산까진 성공했는데 결국 대중화는 못시키는 판국이죠.. 가격이 너무 비쌀뿐더러 거거익선 그러고 있는데 인치수도 너무 작으니...
이러다 oled tv도 중국이 디스플레이 대량 양산하고 인치수도 엄청 키운 다음 처음으로 대중화 시키는 거 아닐까 싶어요.
24/02/22 12:52
수정 아이콘
저도 다음 거실 티비는 TCL로 염두해 두고 있습니다
스웨트
24/02/22 12:53
수정 아이콘
와.. 가전의 엘지가
24/02/22 13:00
수정 아이콘
소니 같은 기업은 변신에 성공했는데... 삼성은 이미 다른사업이 잘 나가고 있으니 상관없지만
엘지의 미래가 궁금하네요. 샤프가 될지... 소니나 파나소닉처럼 될지... 아니면 끝까지 가전을 지켜낼지...
24/02/22 15:53
수정 아이콘
꾸준히 투자한 전장사업이 작년부터 흑자전환했습니다.
24/02/22 13:02
수정 아이콘
중국 제품이 생각보다 더 싼데 좋아요..
우리나라 공산품도 다 중국에서 사다가 단순 택갈이해서 파는것도 많고.
유명 브랜드도 거의 제조가 중국일때가 많아서.. 삼성,엘지 제외 국내브랜드 로청 같은거봐도 다 중국산..
무냐고
24/02/22 13:40
수정 아이콘
LG 모니터는 전부 중국생산이죠 크크크
24/02/22 13:05
수정 아이콘
게이밍 모니터 시장만 봐도...
사람되고싶다
24/02/22 13:06
수정 아이콘
우리는 TV하면 LG인데 외국은 삼성 브랜드 파워가 더 높은 게 신기하더라고요. QLED도 충분히 좋은데 가격도 훨씬 싸?! 이런 느낌. OLED는 뭔가 투머치랄지.

개인적으로 가전은 점유율 등 지표에 집착하기보단 오히려 생태계랄지 다른 쪽으로 차별점을 만들어가는 게 더 낫지 않나 합니다. 아니면 아예 다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든가. GE도 가전은 하이얼한테 팔아 넘긴 걸 보면 막 그렇게 성장동력이 좋은 것 같아 보이지도 않고... 사실 삼성은 그런 의미에선 잘 하고 있다고 보는데 문제는 LG가 다른 게 너무 없다는 거?
퀀텀리프
24/02/22 22:34
수정 아이콘
삼성이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를 데려와서 마케팅을 엄청했습니다.
올림픽 같은 메가 머시기를 잘 활용했다던가.. 그런거
코미카도 켄스케
24/02/22 13:09
수정 아이콘
LG에서 삼성으로 넘어갔는데.. LG 점유율이 떨어지는지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초기형 스마트티비들이 너무 느려터져서.. 저처럼 열불 터져서 탈출하신분들도 많을듯
GregoryHouse
24/02/22 14:41
수정 아이콘
맞죠.. WebOS 는 진짜.. 다음 티비는 절대 엘지는 안삽니다
24/02/23 05:37
수정 아이콘
저는 해외에서 엘지는 일부러 한글만 지원 안해주는게 너무 꼴받더라고요.
베트남어 인도어 뭐 다 되는데 한글만 없어요.

삼성 TV는 한글지원 잘 되는거 보고 그 뒤로는 삼성 것만 삽니다.
한방에발할라
24/02/22 13:19
수정 아이콘
저건 그런데 일반 제품 말고 프리미엄 라인은 중국 내 점유율이 얼마나 되는지도 봐야 합니다 당장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도 중국 점유율 제외하면 글로벌 판매량은 그냥 없는 수준까지 떨어집니다. 중국이 프리미엄도 좋다 어쩐다 해도 현실은 한참 전부터 세계를 석권하네 마네 했던 스마트폰마저도 프리미엄 라인은 중국 본토 제외하면 그냥 안팔리는 수준이에요.....
24/02/22 13:20
수정 아이콘
사실 OLED/QLED를 제외한 나머지 패널에서는 이미 중국산 제품이 가성비든 성능이든 우세하죠 이젠....
24/02/22 13:36
수정 아이콘
글로벌TV 출하량이니 당연히 중국내 출하량도 포함되어 있겠죠? 출하량의 절댓값을 봐야 알겠지만 중국소비자의 구매력이 늘어나 신규시장이 창출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죠.
Chaosmos
24/02/22 13:39
수정 아이콘
TCL 쿠팡에서 3개월정도 쓰는데 생각보다 너무좋아서 놀랐습니다
달빛기사
24/02/22 13:49
수정 아이콘
요즘 가전제품 가격이 미쳤더군요..
쪼아저씨
24/02/22 13:52
수정 아이콘
삼전 아직 -6% 인데, 손절해야 하나 싶네요. 몇년째 돈이 묶여서..
그돈으로 미국장 들어갔으면 1.5배는 먹었을텐데. ㅠㅠ
24/02/22 14:01
수정 아이콘
TCL 85C845 쓰는데 진짜 개좋습니다 삼성 LG 반값에 이정도 퍼포먼스라니
밤에달리다
24/02/22 14:19
수정 아이콘
예전엔 대륙의 실수 어쩌구 하던 중국 가성비 제품들이 이제는 여러 분야서 상시로 쏟아져 나오는 거 같음
우리아들뭐하니
24/02/22 15:13
수정 아이콘
최근에 필립스 티비를. 엠비언트 조아요.
24/02/22 15:51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은 미국이 중국 산업 부숴주고 장벽세우는데 감사함을 느껴야죠.
반도체/배터리/바이오/전기차 등
문문문무
24/02/22 16:00
수정 아이콘
TV요즘 많이 사나요?
파라돌
24/02/22 18:26
수정 아이콘
돈많으면 lg꺼 다시 샀을텐데 tcl이 너무 싸길래 사버렸네요..
와이프가 처음엔 중국꺼라고 싫어하다가 편의성에서 옛날꺼보단 훨신 좋긴하니까 잘 쓰고있습니다.
단점도 많은데 가격이 깡패라..
퀀텀리프
24/02/22 22:36
수정 아이콘
인터넷가입 사은품으로 받은 엘지TV를 몇년쓰다가 액정이 나갔는데.. 몇 십만원을 보상해주더라고요. 역시 머기업이 최고인듯
바람의바람
24/02/23 01:07
수정 아이콘
요즘 tcl이 평만봐도 좋더라구요
흠흠흠
24/02/23 08:06
수정 아이콘
뭐...우리도 일본한테서 뺏어온거니까, 더 좋은 경쟁자가 나타나면 뺏겨도 어쩔수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920 [게임] [케인티비] 어머니를 17번 버린 케인인님 [7] Croove9765 24/02/26 9765
495919 [서브컬쳐] 듄1 안 본 사람들이 듄 2 관람전에 볼 1분짜리 영상 [4] 빼사스9255 24/02/26 9255
495918 [유머] 제갈량 일대기 현대 정치권으로 옮겨봄.jpg [32] 된장까스11502 24/02/26 11502
495915 [스포츠] 지리네요.. [2] 미대생_히틀러10493 24/02/26 10493
495914 [기타] 국민 10명 중 6명 "고소득층 세금 부담 적다" [87] 北海道14520 24/02/26 14520
495913 [서브컬쳐] 한국 버츄얼 아이돌 근황 [20] 김삼관10544 24/02/26 10544
495912 [연예인] 나르 성대모사하고 현타 맞은 서지수 [26] 물맛이좋아요13265 24/02/26 13265
495911 [유머] 서울대 물리천문학부생에게 의대에 갈 수 있으면 갈 것인지 물었더니... [43] VictoryFood14034 24/02/26 14034
495910 [기타] 골드수소 골드러쉬 [40] 퀀텀리프11103 24/02/26 11103
495908 [유머] 지켜츄에 출연한 충주시 홍보맨 [8] Davi4ever10843 24/02/26 10843
495907 [유머] 파트라슈가 수레를 끌었던 이유 [19] 퍼블레인12505 24/02/26 12505
495906 [기타] 오늘 진행된 대국민 로또 청약결과 [17] 서귀포스포츠클럽12152 24/02/26 12152
495905 [기타] 진짜 '파묘'되버린 어느 친일파 [7] 길갈10701 24/02/26 10701
495904 [연예인] 갑자기 BJ 데뷔한 연예인 [39] 묻고 더블로 가!15848 24/02/26 15848
495902 [동물&귀욤] 한달 식비만 100만원이라는 강아지.jpg [25] insane10817 24/02/26 10817
495901 [게임] 캡콤컵 13억 대회 우승자의 트위터 팔로잉 [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9851 24/02/26 9851
495900 [유머] 문제의 대파크림 감자라떼 해명하는 백종원 [16] Davi4ever12260 24/02/26 12260
495899 [게임] 오늘 나왔던 캡콤컵 명장면 [10] STEAM10485 24/02/26 10485
495898 [유머] 국민연금 직원들 근황.gisa [28] Davi4ever14556 24/02/26 14556
495897 [유머] 한국인들에게는 묘하게 친숙함 [12] 된장까스12995 24/02/26 12995
495896 [유머] 김정일이 썼다는 대학 논문들.jpg [26] 北海道14239 24/02/26 14239
495895 [게임] 13억 대회 우승자로 완성된 순환고리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294 24/02/26 12294
495894 [기타] 벌거 벗은 남자가 쳐다봐요 [15] Lord Be Goja12446 24/02/26 124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