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15 13:55:04
Name Lord Be Goja
File #1 엑스.png (213.0 KB), Download : 19
File #2 dxa.png (34.4 KB), Download : 9
출처 더버지/기글하드웨아
Link #2 https://gigglehd.com/gg/game/15575471
Subject [게임] 엑스박스,독점 해제할지도?! (수정됨)




하이파이러쉬외 다른엑박게임들이 타 콘솔로도 출시가능성

https://www.metacritic.com/pictures/the-20-best-xbox-games-of-2023/20/

*하이파이 러시는 작년에 타 콘솔로 출시되지 않은(엑박-pc동발도 엑박 독점으로 쳤을때) 엑박독점게임중에 평론가들에게...최고평가를 받은 게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2/15 13:57
수정 아이콘
어.. 저런 독점타이틀 깨버리면 콘솔장사는 힘들어지는거 아닌가 ;;
엑박을 이제 포기하려는건가요...;;
크레토스
24/02/15 13:58
수정 아이콘
26년에 엑박 신기기 낸다고 루머 많습니다
엑박 포기하면 게임패스도 거의 망이라 그냥 서드파티 게임사 될뿐인데 포기할리가 없죠
미드웨이
24/02/15 14:00
수정 아이콘
그냥 게임패스 돌리는 용으로 생각하는거죠. 그래픽카드가 너무 비싼 시대라서 콘솔은 가성비만으로도 가치가 있거든요.
크레토스
24/02/15 14:03
수정 아이콘
뭐 콘솔 자체가 원래 그 용도죠
퍼스널 컴퓨터 2~300만원 할때 겨우 수십만원 짜리 게임기가 비슷한 게임 그래픽 내주니 성공한 거라..
그러니 미국 일본 유럽처럼 예전부터 잘살던 나라들은 pc 대신 콘솔이 흥하게 된거고요
우리 같은 나라에선 게임기는 부자들의 전유물이다가 바로 pc로 넘어갔죠
미드웨이
24/02/15 14:12
수정 아이콘
아 이 댓글을 읽고나서야 왜 한국에서 콘솔문화가 발전안했는지 이유를 제대로 알겠네요. PC가 싸지면서 보급이 쉬운 시대와 콘솔 보급 시대가 겹치면서 콘솔이 경쟁에서 밀린거군요. 국가가 늦게 발전한 탓이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댓글보니 알겠네요. 감사합니다.
24/02/15 13:58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확정이죠 한두군데도 아니고 다 똑같이 얘기하고 있어서...
고라니
24/02/15 13:58
수정 아이콘
엑박 독점작중에 성공한게 있나요....
하이파이러시는 듀얼센스 대응 좀 더 넣어서 발매하면 바로 살 의향이 있습니다.
엑세리온
24/02/15 14:00
수정 아이콘
이번 세대 독점작중엔 생각나는거는 포르자호라이즌 정도밖에 없는것같네요
Lord Be Goja
24/02/15 14:03
수정 아이콘
스타필드라던가..디아블로4라던가 일단 팔기는 많이 팔았죠
츠라빈스카야
24/02/15 14:19
수정 아이콘
일단 디아블로는 독점작이 아니니 빼는걸로...
Lord Be Goja
24/02/15 14:43
수정 아이콘
앗 본문도 수정해야겠네요
그러고보니 한국최고의 ps5게임이 디아4였는데
츠라빈스카야
24/02/15 14:01
수정 아이콘
김실장 하는 거 볼 때 꽤 재밌어보이던데, 기회 되면 해봐야겠네요.
덴드로븀
24/02/15 14:02
수정 아이콘
https://www.vgchartz.com/article/459672/ps5-vs-xbox-series-xs-vs-switch-2023-worldwide-sales-comparison-charts-through-december/
<콘솔 게임기 점유율 변화>
플스5 / XSX&S / 스위치
2020 12.2% / 8.4% / 79.4%
2021 28.4% / 18.0% / 53.6%
2022 33.4% / 20.8% / 45.8%
[2023 48.0% / 16.6% / 35.3%]

늘리기는 커녕 버티기도 못하고 오히려 떨어지는게 엑박의 현실이죠.
Lord Be Goja
24/02/15 14: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더팔수있는데! TSMC시치! 할수 있던 시절이 전성기!
엑박원으로 먕한걸 살리는 필스펜서! 라더니 엑박원시절보다 암울해진

그래도 안없어지고 차기작까지 이끌어내는걸보면 인물이긴 해요
덴드로븀
24/02/15 14:09
수정 아이콘
https://twitter.com/satyanadella/status/1404163127432777729
??? ??? : Microsoft is all-in on games.!

올인했는데 이정도라니...대단한 회사죠.
Lord Be Goja
24/02/15 14:10
수정 아이콘
그룹차원에선 닫으려던 사업부에 엑박패스만 해도 어마어마한 지원이긴하죠..
액티비전사준다고 쓴 경제적비용/사회적기회비용도 엄청나고
미드웨이
24/02/15 14:13
수정 아이콘
근데 말만 저랬지 절대 올인한 적은 없죠. 지금 마소가 올인하는건 AI 분야이지 게임이 아니죠.
미드웨이
24/02/15 14:06
수정 아이콘
스위치 엄청 내려갔네. 하긴 이젠 그만 울궈먹고 스위치2 나올때가 되긴했습니다.
덴드로븀
24/02/15 14:11
수정 아이콘
2017년3월에 최초발매니까 벌써 7년을 꽉채운 심각한 제품이긴 하죠 크크크

2017년에 나온 스마트폰 : 아이폰X, 갤럭시S8...
24/02/15 14:28
수정 아이콘
더 퍼스트로 구속해놔야 하는거 아닌가요
저러면 기기 메리트가 없는데
24/02/15 14: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콘솔시장은 철저히 승자독식,제로섬게임이라서 그렇죠
콘솔파이 적은플래폼에서 더 구속해봐야 외딴섬만 되거든요

PC시장에서 유비 EA 마소가 각각 자기들 스토어 갖고도 독점못하고 스팀에 내주는거랑 똑같습니다
걔들이 유플레이 Ea오리진 마소스토어에 자기들 게임 독점돌린다고 PC게이머들이 혹해서 그쪽 플래폼으로 이동해서 사주는건 극소수 유저일뿐 대부분은 스팀에서 꿈쩍도 안합니다.

프로그램만 추가로 깔면 되는 PC에서도 이정도인데 기기값으로 수백달러 써야하는 콘솔에선 택도없죠
Blooming
24/02/15 14:43
수정 아이콘
MS 본사가 아무리 돈이 많아도 엑박부문은 그냥 사업부의 하나일 뿐이고, 적자나는 사업부에 계속 돈을 부어줄 리가 없죠. 추세로 봐서 단기간에 승산이 없어보이니 적자폭 줄이라고 지시가 내려왔겠죠.
머나먼조상
24/02/15 15:37
수정 아이콘
액블 인수하면 콜옵 무조건 독점할거라고 자신만만 하시던분들은 생각을 좀 바꿨으려나요
비싼돈주고 산 회사 가치를 반 이하로 떨구는 결정이 그렇게 쉬울리가 없죠...
꿈꾸는드래곤
24/02/15 15:54
수정 아이콘
어차피 못이기겠으면 차라리 싹 푸는것도 답이긴합니다. 근데 일단 제품 관리나 좀...
24/02/15 16:07
수정 아이콘
Ps5쓰다 xsx로 넘어온 입장에서, 독점작 푸는건 어쩔수 없는 수순이라 그러려니 합니다. 헤일로 기어즈 호르자도 대형 프랜차이즈긴 하지만 제니맥스 베데스다나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아예 체급이 다르니 독점이 과연 될까 싶었거든요.
콘솔게임기 시장이 마소가 전력으로 달려들 만큼 큰 시장이 아니기도 하구요
iPhoneXX
24/02/15 17:28
수정 아이콘
이게 아직도 사실인지 아닌지 의심이 되는게, 저럴꺼면 베데스다나 액블 인수를 왜 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당연히 인수하는건 자사 엑박 퍼스트 힘 실어주기 위함이라고 생각했고, 게임패스에 퍼스트들 더 실어 넣으면 사실 가성비 측면에서 플스랑 싸움이 안되니까요. 물론 수익 발생이 쉽진 않을테고, 경우에 따라 일정기간 손해 보는 시간도 생기겠지만 성공한다면 플스는 진짜 쪼그라들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돈이 없는 회사도 아니고 그정도 전력을 할 생각으로 80조 인수도 한게 아닌가 싶었는데..
아직 완료도 진행되지 않은 엑블 인수 전에 저런 결정을 한다는게 엑박 버리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렇게 양 플랫폼에 다 나오면 가뜩이나 플스 대비 엑박 살 이유가 없죠. 게임패스가 좋은건 사실인데 그렇다고 다 포기하면서 게임패스만을 위해 엑박을 선택할 게이머도 현재까지 더이상 늘지 않고 있고, 지금 와서 보면 손해 보면서까지 게임패스 안 넣고 팔면 더 비싸게 수익성이 날 게임들을 게임패스에 넣는 결정을 할지도 의문이고..(그럴꺼면 동발을 왜 하는지..)
최근 인수 확정 기사 뜰때만 해도 마소가 이제 게임도 먹어치우나 했는데 알수가 없네요.
24/02/15 18: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무리 마소가 돈 많다해도 비상장인 스마게처럼 ceo맘대로 할수있는것도 아니고 게임사 인수에 100조 투입한 이상 단순히 콘솔전쟁하자고 플래폼 절반 포기하면서 독점으로 묶어두고 치킨게임 경쟁은 못하는거라고 봐야죠

단순계산만해도 베데스다,액블인수에 투입된 돈이 100조가 넘는데 이거 전부 독점돌리는데다가 게임패스 데이원으로 넣으면 잠식되는 풀프라이스 판매량까지 고려하면 인수비용뽑는데 대략 50년 걸리거든요

주주들 눈치,설득시켜야하는 상장회사가 이런식의 동귀어진장사는 기회비용문제상 첨부터 불가능한 전략이란 얘기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296 [유머] 중국 게임계 AI 일러스트 시장의 근황 [12] EnergyFlow11411 24/03/05 11411
496295 [유머] 김태호PD가 밝히는 무도 가요제 비하인드 [19] Alan_Baxter16386 24/03/05 16386
496294 [기타] 3월 3일 페루에서 발생한 낙석사고.mp4 [19] Myoi Mina 12835 24/03/05 12835
496293 [기타] 여자상사가 너무 좋아서 월요일 출근이 기다려진다는 직원 [22] 무딜링호흡머신16013 24/03/05 16013
496292 [게임] 한 눈에 보는 철권 [31] 퍼블레인11612 24/03/05 11612
496290 [기타] 쇼츠 보다가 빡치는 순간 [25] 닉넴길이제한8자13980 24/03/04 13980
496289 [방송] 본격 김예원 탱킹 방송 런칭 [8] 빼사스13464 24/03/04 13464
496288 [기타] 김신영 전국노래자랑에서 하차 [19] 퍼블레인13081 24/03/04 13081
496287 [유머] 모든 싸움씬이 바뀝니다. 어떤 영화를 보겠습니까? [49] 무딜링호흡머신13116 24/03/04 13116
496286 [유머] (약후) 생일 기념 사진집 낸 곽민선 아나운서 [10] Davi4ever16106 24/03/04 16106
496285 [기타] 15살 차이 고백 공격 후기 [30] 퍼블레인15809 24/03/04 15809
496284 [서브컬쳐] [방구석매니아] 지온의 에이스 유망주 버니와 알프레드 [3] 구마라습7618 24/03/04 7618
496283 [연예인] 유튜브 계정 전부 해킹당한 스타쉽 소속 아이돌그룹들 [7] Myoi Mina 11436 24/03/04 11436
496282 [유머] 고양이가 사람을 만지는 만화.manhwa [5] lemma8946 24/03/04 8946
496281 [유머] 고일대로 고여버린 엘든링 망자 근황 [8] Myoi Mina 10189 24/03/04 10189
496280 [유머] 오산시에 등장한 신종거지.bobaedream [33] Myoi Mina 13289 24/03/04 13289
496279 [기타] [다큐9분] 최선의 비행술로 항공사고를 막은 기장&부기장 [4] Croove9972 24/03/04 9972
496278 [서브컬쳐] 넌 우리 파티에서 추방이다.manhwa [5] 주말10532 24/03/04 10532
496277 [기타] 국내차 2월 판매량 [55] 길갈13198 24/03/04 13198
496276 [유머] 죽.고.죽.인 지하철 시간표 [29] Leeka14533 24/03/04 14533
496275 [스포츠] 돈을 엄청 번다는 케밥 참 잘하는 집 사장님.jpg [7] insane12977 24/03/04 12977
496274 [유머] 시즌 n+1번째 초전도체 부활 [22] 맥스훼인12054 24/03/04 12054
496273 [유머] 전세계 국가들이 저출산 1위인 한국을 분석하지 않는 이유 [58] EnergyFlow16431 24/03/04 164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