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2/04 21:27:31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2.43 MB), Download : 20
출처 사물궁이
Subject [기타] 한국에만 있다는 전세 제도는 언제 시작된 걸까?


한국전쟁 후 경제발전시기에 특수성으로 시작된 제도인가 했는데 이미 구한말부터 확립된 제도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4/02/04 21:32
수정 아이콘
신기방기신기전
동년배
24/02/04 21:39
수정 아이콘
'전세'라고 표현한 최초의 기록이 조선관습조사보고서 라는 거고 전세와 비슷한 제도 자체는 조선왕조 시기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개의 제도가 그렇듯이 왜 그런 제도가 생겼는지 이유가 불분명한데 저는 경화 사족등이 지방관등으로 파견나갔을 때 한양의 집을 비워둘 수도 없고 나중에 돌아왔을 때 바로 거주할 집을 유지하기 위해 생기지 않았나 생각을 해봅니다.
VictoryFood
24/02/04 21:41
수정 아이콘
영상을 보면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데 전세와 조금씩 차이는 있는 거 같더라구요.
조선관습조사보고서에는 명칭이나 형태가 지금과 거의 똑같구요.
24/02/04 22:17
수정 아이콘
저는 월세를 할지언정 전세는 저는 절대 안합니다.
전세는 역전 되기 쉽거든요.
24/02/04 23:35
수정 아이콘
전 마음에 들어요. 이 드립...
사바나
24/02/05 10:43
수정 아이콘
저는 불리한 쪽이라 전세를 선호합니다
전세를 역전해야 하니까...
24/02/04 2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에 워낙 문제많은 제도로 인식되고 있지만 90년대 이전을 겪은 분들 얘기를 듣다보면 당시 세입자가 전세를 선호한 이유가 흥미롭더군요.
그때는 한국은 개인이 부동산 대출을 받는다는게 불가능했고 목돈이라는 걸 개인이 들고있기가 참 불안한 시기였다고 하더군요.
이상하게 목돈이 생기면 어떻게 알고 사기꾼이 꼬인다거나 친척이나 부모님이 병으로 쓰러진다거나.
그래서 목돈을 믿을 수 있는(?!) 집주인에게 맡겨둔다는 개념도 있었다고 합니다. 요즘엔 집주인이 사기꾼 아닌가 보는 시각도 있겠지만
예전에는 어차피 사회가 그렇게 익명의 사회도 아니었고 당시에 집을 가지고 있었으면 요즘과 달리 재산이나 안정성에서 믿을 수 있는 사람으로 인정했나 보더라구요.
지구 최후의 밤
24/02/04 23:15
수정 아이콘
90년대가 아니라 2010년대 초중반에도 전세 선호가 많았습니다.
당시 10년에 가까운 소강기로 인해 20 평형대 아래는 전세가율 90%를 넘는 집들도 많았어요.
24/02/04 23:19
수정 아이콘
첫줄에 전세 선호라고 했는데 원래 하고 싶었던 얘기가 목돈을 믿고 맡기는 분위기라 90년대 이전으로 썼네요.
사실 이번 전세사기직전만 해도 전세를 더 선호했고 앞으로도 전세돈 돌려받는 것이 보장만 된다면 다시 전세를 선호할 겁니다.
시스템이 잘 돌아가는한 세입자에게 가장 유리한 입주방식이니까요.
다람쥐룰루
24/02/04 22:45
수정 아이콘
전세에 대한 안좋은 인식이 생기기 전까지는 신앙처럼 숭배해뢌죠
24/02/04 22:51
수정 아이콘
전세가 지금이야 그 신뢰가 깨져서 그런거지 신뢰만 바탕이되면 충분히 좋은제도인데 다른나라에서 잘 안하는이유는 무엇보다 개인에게 그 큰돈을 덥썩 맡긴다고? 요게 크고 그 문제점이 본격적으로 튀어나오고 있는거죠.
전기쥐
24/02/04 23:30
수정 아이콘
전세는 그 큰 금액을 사금융의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거라 믿을수가 없습니다. 믿을 수 있는 은행에 맡기는 것도 아니고요.
비오는풍경
24/02/04 23:37
수정 아이콘
고신용자가 대출받아서 저신용자에게 돈을 맡기는 행위라고 생각하니까 정신이 번쩍 들던데요
OcularImplants
24/02/05 00:0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월세 생각해보면 금리가 낮아질 수록 월세 손해보는 게 너무 아깝죠
드라고나
24/02/05 01:22
수정 아이콘
구한말이 아니라 조선 시대에 이미 전세가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전세 시세가 이재난고라는 일기에 나오는데, 집값의 한 50에서 60퍼센트 정도로 나오죠
24/02/05 11:39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가르쳐주셔서 고맙습니다.
24/02/05 06:40
수정 아이콘
전세가 월세보다 싼 이유는 위험하니까...
일각여삼추
24/02/05 09:04
수정 아이콘
사실 아파트는 지금도 전세가 딱히 위험하지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557 [스포츠] 정석대로 화해한 손흥민-이강인 [26] 지니팅커벨여행13180 24/02/21 13180
495556 [연예인] 아이유 신인 때 무당이 신신당부한 말.jpg [53] 전기쥐15134 24/02/21 15134
495555 [스포츠] 화해의 정석.jpg [17] insane11099 24/02/21 11099
495554 [유머] 이 상황에서도 온수나오는지 걱정하는 여자 [44] Myoi Mina 13789 24/02/21 13789
495553 [서브컬쳐] 나라마다 다르다는 주토피아 장면..jpg [5] Myoi Mina 10403 24/02/21 10403
495551 [유머] 코인노래방에서 잘부르는 영상..그런데 조작한 영상 [7] 김삼관11750 24/02/21 11750
495550 [LOL] 495546 관련글) AI 더 분발해야 [6] 녀름의끝9942 24/02/21 9942
495549 [유머] 양반이 되지 못한 자들의 마지막 투쟁 [25] 멜로13622 24/02/21 13622
495548 [LOL] 2019년 LCK 정글 2황 근황 [15] 묻고 더블로 가!10871 24/02/21 10871
495547 [기타] AI가 생각하는 명절 풍경 [5] 물맛이좋아요10407 24/02/21 10407
495546 [LOL] 실시간 애디에게 개빡친 쵸비 [97] 고세구17239 24/02/21 17239
495545 [기타] 생마린만 드랍하면 안되는 이유 [11] 그10번12420 24/02/21 12420
495544 [유머] 국뽕콜라 [11] 아드리아나10433 24/02/21 10433
495543 [기타] 외국인들의 한국드라마 따라하기 [3] 아롱이다롱이11249 24/02/21 11249
495542 [유머] 탈북자, "월북 고려하고 있다" [5] 北海道12646 24/02/20 12646
495541 [방송] 과학자가 보는 MBTI [79] 전기쥐12633 24/02/20 12633
495540 [방송]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T와 F [44] 무딜링호흡머신12528 24/02/20 12528
495539 [유머] 냄새나는 오타쿠에게 샤워를 알려준 인싸.jpg [10] 北海道11699 24/02/20 11699
495538 [기타] 푸틴이 김정은에게 준 선물... [6] 우주전쟁10340 24/02/20 10340
495537 [스포츠] 김민재 근황.JPG [21] 실제상황입니다15365 24/02/20 15365
495535 [유머] 아들 삥뜯은 양아치에게 물리치료한 남자.jpg [29] 北海道13389 24/02/20 13389
495534 [유머] 흔한 불곰국 등교.mp4 [8] Myoi Mina 10306 24/02/20 10306
495533 [게임] 푸키몬 5세대 붐은 온다.. [8] 아드리아나8516 24/02/20 85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