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1/30 08:43:28
Name Myoi Mina
File #1 oil.jpg (61.1 KB), Download : 26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앞으로 인류가 석유 쓸 수 있는 남은 기한


찾아보긴 한거냐 닝겐


부족한건 기술이었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오루
24/01/30 08:44
수정 아이콘
아니야 부족할거야ㅜ 전기차 보조금좀 더 주세요
24/01/30 08:45
수정 아이콘
무릎?
고라니
24/01/30 09:14
수정 아이콘
어?
닉네임을바꾸다
24/01/30 08:4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에너지로 석유쓰긴 힘들어질거같기도...(물론 우리가 쓰는거에 석유화학 안들어간거 찾는게 더 힘들지만...)
24/01/30 08:57
수정 아이콘
지금은 석유 부존량의 부족이 문제가 아니라 탄소배출을 줄여야 하기때문에 대체해야하니까요.
그레이퍼플
24/01/30 08:57
수정 아이콘
저 석유 다 사용하면 기온이 한 5도는 오르려나요?
닉네임을바꾸다
24/01/30 09: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페름기 대멸종 시기때 평균 6도정도 올려버린걸로 아는데...더 올릴수도...다 태운다면?
24/01/30 08:58
수정 아이콘
석유의 기한을 정하라 한다면, 만 년으로 하겠소....
24/01/30 09:03
수정 아이콘
?? : 히히 또 찾았지롱
Paranormal
24/01/30 09:00
수정 아이콘
지금 개발도상국에게 탄소배출을 줄일수 있는 에너지만 쓰라고 하는건 사다리 걷어차기이긴하죠
24/01/30 09:07
수정 아이콘
현재 강대국들이 저질렀던 식민지화, 노예무역, 약탈을 위한 학살 등도 자본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지만 국제법적 합의를 통해 금지되었어요.
우울한구름
24/01/30 09:50
수정 아이콘
그게 산업화 되면서 경제적 효용이 줄어서였다라고 보더군요. 경제적 효용이 있던 지역에서는 유지하고 싶어 했으나 힘에서 밀렸고요.
24/01/30 12:06
수정 아이콘
약간 맑스가 어설프게 형식적으로 이해된 - 물론 본인 책임도 크지만 - 가장 큰 영향이 역사적 발전을 경제적 논리의 자기실현 정도로 간주하고 의식적, 제도적 영역은 그것의 단순한 반영으로 해석하는 경향인데요. 사실 자본론 특히 영국의 노동일, 노동조건 부분 읽으면 인권이니 법치주의니 하는 철의 경제적 논리 앞에서 들이밀기에 넘나 나이브한 것 아냐 싶은 것을 맑스가 실제로는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사회보장제도, 유아노동 금지, 노동시간 법제화 같은 것들이 자본이 놔두면 사회파괴적 경향을 경제적 논리에 따라 알아서 자제할꺼야 (aka. '이익이 남으면 틀림없이..') 의 보이지 않는 손의 논리에 의해 현실화된 게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약탈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경제적 효용이 줄어든 것도, 제3세계 인민의 정치적 각성과 인권의식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코스트 증가와 무관한 것이 아닙니다.
아우구스티너헬
24/01/30 11:08
수정 아이콘
식민지는 식민지로 운영하는게 유지비가 너무 비싸서 시장만 먹고 유지비는 안내려고 독립시킨거죠

노예도 먹이고 재우는거보다 저임금주고 부리는 노동자가 산업화된 구조에 더 유용해서 바뀐거고

약탈을 위한 학살은 점잔 빼느라고 조용하게 해서 그렇지 지금도 일어나고 있죠

국제법은 적이 어기면 불법이고 우리가 하면 못본척해주는게 국제룰 아니었나요 껄껄
24/01/30 12:11
수정 아이콘
대부분은 윗 댓글로 갈음하고, 실제로 2차세계대전 이후의 시대를 17~19세기와 비교하면 무력에 의한 일방적인 국경 변개나 합병과 같은 사태는 드라마틱하게 줄어든 게 사실이죠. 인간은 기술과 경제라는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의식과 제도라는 측면에서도 어쨌든 크게 진보해 왔습니다.
아우구스티너헬
24/01/30 16:11
수정 아이콘
2차대전 이후로는 원래 그런거 하던 나라들(프랑스 영국 독일)이 거지가 되었기 때문인거죠
영국은 식민지의 경제지배권을 미국에 넘겼고 프랑스는 미련을 못 버리고 2차대전 끝나자마자 알제리와 전쟁했고 베트남이랑도 전쟁했죠
독일이야 뭐 패전국이니 분노조절잘해였고

소련은 인근 나라들을 쳐묵해서 소련연방을 만들고 위성국가화 시켰고
미국은 영국이 넘겨준 과거식민지 경제권이 차고 넘쳐서 그닥 그럴 이유가 없었구요

결국 식민지 따먹기는 힘의 추가 양 극점으로 쏠리고 그 양 극점이 배가불러진 후에야 멈춰졌습니다.
No.99 AaronJudge
24/01/30 17:16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하죠
구급킹
24/01/30 09:07
수정 아이콘
탄소만 어떻게 하면...
닉네임을정하라니
24/01/30 09:17
수정 아이콘
돌이 없어져서 석기시대가 끝난게 아니고, 청동이 없어져서 청동기 시대가 끝난게 아니듯. 석유가 고갈되지 않는다고 석유의 시대가 끝나지 말란법은 없지요.
안철수
24/01/30 09:19
수정 아이콘
석탄 소비도 못줄이는데 석유를 대체한다니
티오 플라토
24/01/30 09:20
수정 아이콘
옛날에 40년 남았는니 하는 말은 셰일가스 이후로 나오지도 않더라니... 역시나 거의 무한이었군요 크크
기후변화 일으키기엔 이산화탄소 농도가 충분히 높고.. 그런데 탄소포집하자니 또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서 그것만 쏙 없앨 방법이 쉽지 않고..
24/01/30 09:24
수정 아이콘
써왔던시간보다 앞으로 쓸시간이 백배는 더 있다는게 무섭네요 크크
24/01/30 09:24
수정 아이콘
큰일이네..
원숭이손
24/01/30 09:37
수정 아이콘
??? : 아직은 인류에게 때가 아니다
수타군
24/01/30 09:48
수정 아이콘
사우디 무한동력
24/01/30 10:05
수정 아이콘
매장량이라는게 원유가격하고 연동되는 거라 가격이 싸면 원가가 안나와서 실용 매장량이 줄어든다고 하던데..
24/01/30 10:15
수정 아이콘
저 어릴때 2020 원더 키디 전에 석유 고갈된다구 들었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24/01/30 16:58
수정 아이콘
원더키디 같은 사회상이 되기 전에 고갈될 가능성은 여전히 있습니다....
Far Niente
24/01/30 10:23
수정 아이콘
하지만 그 전에 인류가 환경문제로 절멸하지 않을까
24/01/30 10:38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4학년 사회 선생님 입장해 주세요.
고갈된다면서요!!
24/01/30 10:49
수정 아이콘
연료 외의 석유화학 제품을 못 쓰는 생활도 상상하기 힘든데 연료로 사용되는 양에 비하면 훨씬 적은건가요?
아우구스티너헬
24/01/30 11:09
수정 아이콘
연료뽑고 남은거로 만드는거라서요..
소잡아서 고기먹고 사골우리고 가죽으로 옷만드는 느낌이랄까
24/01/30 11:32
수정 아이콘
석기시대가 끝난건 돌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wish buRn
24/01/30 11:32
수정 아이콘
지하어딘가에서 석유가 만들어지는걸까요?
석유 생성되는 원리가 여러가지인건지...
한가인
24/01/30 13:35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석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아직까지 밝혀내지 못했다고..
약설가
24/01/30 11:40
수정 아이콘
이런 거 보면 환경 문제는 탄소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방향이 아니라 탄소 에너지 사용의 부산물들을 처리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해결해야지 싶습니다.
Starscream
24/01/30 11:47
수정 아이콘
그게 석유회사들 논리인데.....문제는 그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다시 원래 나왔던곳 즉 지층속에 묻기위해 드는 에너지가 더 많다는게 현재 상황이라.....
약설가
24/01/30 11:50
수정 아이콘
과학자님들이 더 힘을 내셔야겠네요.
애플프리터
24/01/30 12:54
수정 아이콘
CO2 + 2H2 -> CH4 + O2 혹은 CO2 + 2H2O -> CH4 + 2O2
이런 화학반응만 시키면 간단하게 됩니다. 그러면 부산물은 CH4는 다시 가스로 재활용. 열역학 법칙만 위배하면 문제없음.
그러지말자
24/01/30 11:49
수정 아이콘
30년 후에 고갈된다고 한지 40년 지남
앙겔루스 노부스
24/02/01 00:46
수정 아이콘
1972년에 그 말이 처음 나왔으니 50년 넘게 지났죠^^
서린언니
24/01/30 12:12
수정 아이콘
석유 포기 못합니다 건프라 만들어야죠 흨흨
24/01/30 12:56
수정 아이콘
100년만 더 써도 조질거같은데요
Zakk WyldE
24/01/30 12:56
수정 아이콘
어렸을땐 석유 없어지면 차는 어떻게 타고 겨울은 어떻게 보내나 걱정한 적도 있었는데 10000년 남았다고??

기름값 좀 내려주세요 ㅠ
포졸작곡가
24/01/30 13:08
수정 아이콘
사우디 에너지 자원부 장관:

인류가 석유를 안쓰게 되는 날이 오긴 하겠지만,
그게 석유가 고갈되서는 아닐 것이다.
24/01/30 14:1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많지만, 우리 땅엔 경제성있는 석유가 없어 크크크크ㅠㅠㅠㅠㅠ
숙성고양이
24/01/30 15:13
수정 아이콘
히히 셰일가스 쭈압쭈압
No.99 AaronJudge
24/01/30 17:15
수정 아이콘
석기시대가 돌이 부족해서 끝난게 아닌것처럼
석유도 그러지 않을까 싶긴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5387 [LOL] [실시간] 솔랭 비상 [14] KanQui#110273 24/02/18 10273
495386 [기타] 동성애자 아들을 둔 아버지가 내린 결단.jpg [4] 北海道12890 24/02/18 12890
495384 [서브컬쳐] [버추얼주의] 장례식장에 화환보내서 티베깅하는... [6] 물맛이좋아요9571 24/02/18 9571
495383 [기타] 예전이랑 가장 달라진 음식 [46] 퍼블레인14501 24/02/18 14501
495382 [유머] 마동석의 진화과정 [8] 데갠11656 24/02/18 11656
495381 [기타] (타일러) 한국어 배울때 어려운점 [11] Croove12337 24/02/18 12337
495380 [기타]  ???: AI야, '현대가에서도 쩌리' 댓글로 노래 불러줘.MP4 [14] insane10060 24/02/18 10060
495379 [스포츠] [UFC] 굴욕적인 메치기 당한 전 UFC 챔피언 [20] 우주전쟁12136 24/02/18 12136
495378 [유머] 북한 외교관의 흔한 탈북사유.jpg [2] Myoi Mina 13538 24/02/18 13538
495377 [동물&귀욤] 고양이는 뱀보다 빠르다 [3] 빵pro점쟁이10408 24/02/18 10408
495376 [유머] 자기 입던 팬티를 친구에게 입힌 중학생.jpg [16] 北海道14157 24/02/18 14157
495375 [유머] 부산이 산천지라 불리는 이유.jpg [39] 北海道16559 24/02/18 16559
495374 [서브컬쳐] 건담 시드 극장판을 본 스타워즈 팬 [17] 길갈9438 24/02/18 9438
495373 [기타] 과도한 얼굴보정과 성형을 멈출수없는 이유.jpg [40] DMGRQ17780 24/02/18 17780
495372 [기타] SF계의 노벨문학상이라고 불리는 휴고상의 중국 스캔들 [37] 흰긴수염돌고래13332 24/02/18 13332
495371 [기타] 어머니 급식실에 취업했는데 걱정된다 [15] 조선제일검13472 24/02/18 13472
495370 [게임] 신작 게임 출시후 이미지가 바뀐 캐릭터 [12] 꿈꾸는드래곤12010 24/02/18 12010
495369 [기타] 한국 편의점 빵들의 레벨이 올라가고 있다는 일본인.jpg [31] DMGRQ15359 24/02/18 15359
495368 [기타] 엔비디아 목표주가 1200$로 상향 제시 [39] Heretic10945 24/02/18 10945
495367 [기타] 드래곤볼 띠부씰 69종 도감.jpg [5] 고쿠9813 24/02/18 9813
495366 [기타] 최악의 티배깅.news [28] 이호철14233 24/02/18 14233
495365 [기타] 과학적 입증 정도로 분류한 영양제 등급.jpg [26] DMGRQ13569 24/02/18 13569
495364 [유머] 일본 컵라면 top7 feat.유튭short [16] 아드리아나13705 24/02/18 137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