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1/28 16:01:56
Name 주말
File #1 0003544911_002_20240126073401250.jpg (57.7 KB), Download : 21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0/0003544911?ntype=RANKING
Subject [기타] 32년만에 경쟁률 최저라는 9급공무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1/28 16:03
수정 아이콘
줄어서 저정도인가...일본만 가도 공무원 경쟁률이 1자리수던가...
미드웨이
24/01/28 16:14
수정 아이콘
일본은 연령제한이 있어서 한국과 바로 비교는 안됩니다. 우리도 연령제한하면 한자리수로 내려갈 직렬들 많을거 같네요.
24/01/28 16:06
수정 아이콘
https://www.gosi.kr/cop/bbs/GosiGraph09.do
어느 시험이든 그렇겠지만 접수 인원의 1/4이 결시를 하고
응시 인원의 절반이 준비를 안한 과락자이기 때문에
실질 경쟁률은 저기서 1/3정도이긴 합니다.
24/01/28 16:16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다른 관점으로 보면 어차피 진짜 경쟁자들수는 드라마틱하게 변하지는 않는다고 해석할수도 있죠.
빠지는 사람은 원래 허수였던(였을) 사람비중이 많다는거죠.

실제로도 공무원시험 합격점수는 경쟁율이 낮아진만큼 쉬워졌다고 말할수는 없거든요.
가장 인원수 많은 행정직의 경우 여전히 80점대후반~90점대초반이 합격커트라인이네요.
한방에발할라
24/01/28 17:54
수정 아이콘
사실 실질 경쟁률은 면과락 비율이라고 생각하는이 몇년 전만 해도 9급 면과락자 비율이 10프로가 안됐습니다. 즉 90퍼는 과락이라는 뜻이니 실질 경쟁률은 저 명목 경쟁률의 10분의 1도 안된다는 뜻이죠
구급킹
24/01/28 20:31
수정 아이콘
공단기 온오프라인 등록자의 80퍼센트가 재수생 or 장수생이라는 오피셜이 있기도 하고.. 요즘 분위기 보면 한번 해볼까? 하는 식으로는 도전하지 않더라고요. 허수가 아마 한창 인기 있던 시절보다 줄지 않았을까 싶어요.
24/01/28 16:09
수정 아이콘
허수생각하면 10대1정도로 봐도될걸요
그렇군요
24/01/28 16:10
수정 아이콘
공무원 부럽ㅠ
자가타이칸
24/01/28 16:15
수정 아이콘
진상 민원인한테 몇번 당하고 나면.. 죽지 못해 다니게 됩니다..ㅜㅜ
그렇군요
24/01/28 16:20
수정 아이콘
위로를..
캐러거
24/01/28 16:43
수정 아이콘
한번 도전해보시는게 어떤가요
그렇군요
24/01/28 16:46
수정 아이콘
3년 준비한답시고 폐만 끼치다 결국 광탈하고 접었습니다 하하
물론 지금도 부모님 폐끼치는 건 마찬가지지만
캐러거
24/01/28 16:48
수정 아이콘
아 죄송합니다ㅠ
별개로 유게에 정보가득한 글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그렇군요
24/01/28 16:52
수정 아이콘
죄송하다니요! 깜짝 놀랐네요. 죄송하실 일 아니고 감사드립니다.
오드폘
24/01/28 16:15
수정 아이콘
원래 허수였던 사람들이 많이 나가고 합격권 근처인 실수들은 붙잡고 있을거같아서
체감 난이도는 비슷할거같습니다
24/01/28 16:20
수정 아이콘
예전엔 너무 올려치기를 해서 그런지 그 반동으로 내려치기가 되고있는데 일반적으로 인기가 있다 평가되는 수도권 행정직만 놓고보면 공무원은 결코 만만히 들어갈수 있는 직장이 아니죠. 이건 앞으로 시대가 흘러도 그럴겁니다. 허수니 뭐니 감안해도 말이죠.
소금물
24/01/28 16:25
수정 아이콘
공무원 처우를 보수가 적어서 문제라는 얘기도 많이 하는데, 실제로는 업무환경이나 처우 문제 아닌가 해요. 경쟁률은 여전히 나쁘지 않고 입사 후 퇴사가 문제인데, 입사 전에 보수 문제는 정확히 알 수 있으니까요. 물론 여러 이유로 업무환경 개선이 어렵다면 페이라도 올려야 되겠지만
24/01/28 16: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합격선은 비슷하려나요
코미카도 켄스케
24/01/28 16:31
수정 아이콘
한때 장원급제 드립도 나왔을 정도였었죠. 아 드립이 아니었던것 같긴 하지만
알라딘
24/01/28 22:34
수정 아이콘
7급만 붙어도 박수받았죠
MissNothing
24/01/28 16:34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론 경쟁율 높을때보다 허수는 더 많을거라 봅니다. 안된다고 판단하고 손절치는 사람은 최소한의 판단은 된다는 소리니까...
Capernaum
24/01/28 17:25
수정 아이콘
와우

허수 빼면 진짜 도전 할만한 수준..

그래도 워라밸은 공무원인데
Karmotrine
24/01/28 17:37
수정 아이콘
저게 최저라는게 웃긴 이야기
Karmotrine
24/01/28 17:42
수정 아이콘
돈은 근데 다 알고들어가요 워라밸이 생각했던것보다 많이 구렸던거죠 초과다찍고 무보수 야근하면서 느낄 듯
미카엘
24/01/28 18:17
수정 아이콘
어차피 허수만 빠진 거라 커트라인은 비슷하거나 올라갔습니다~ 정부 정책으로 총원 무지성 감축하고 있거든요. 줄일 거면 업무량이나 줄여 주던가.. 나날이 쌓여만 가는데..
구급킹
24/01/28 20:26
수정 아이콘
동생이 준비중인데요. 공단기 수강생의 80프로가 재수or장수생이라고 함. 뽑는 총원도 너무 줄어서 인기지역 or 직렬은 사실상 만점을 맞아야 합격할거라고하네요. 경쟁률만 줄었지 합격체감은 올라갔대요 전 정권에 미친듯이 뽑던 시절에 비해서요
24/01/28 20:49
수정 아이콘
지금 들어와도 7급은 10년쯤 걸릴거라는게 함정이긴 합니다.
앗잇엣훙
24/01/28 21:23
수정 아이콘
아직도 엄청 높죠. 여전히 인터넷에서나 조리돌림 당하지 현실세계에서는 선호직업...
24/01/28 21:26
수정 아이콘
허수빼고 10대1이면 꽤나 낮아졌네요
24/01/29 17:19
수정 아이콘
20대에 9급 되면 그래도 대한민국 상위 50프로의 인생을 사는게 아닐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6615 [기타] 샤오미폰 국내 일간판매0.. 특단의 대책! [54] Lord Be Goja9941 25/06/26 9941
516614 [기타] 아이 있는 집 신혼의 일상 [50] 퍼블레인11086 25/06/26 11086
516608 [기타] 스위스 시계 제조업체들을 골로 보낼 뻔했던 시계 [39] a-ha11439 25/06/25 11439
516603 [기타] 한국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면 어디로? [80] a-ha10828 25/06/25 10828
516600 [기타] k-건축물.. 이상과 현실 [36] Lord Be Goja12666 25/06/25 12666
516593 [기타] 이영도 작가 11월 신간장편 소설 발매예정 [24] 이쥴레이8201 25/06/25 8201
516592 [기타] 논란의 초3 수학 문제 오답 [39] 카미트리아9335 25/06/25 9335
516590 [기타] 이것이 데니소바인 두개골... [23] a-ha9591 25/06/25 9591
516589 [기타] 다음주 동북아 날씨 예상도. [43] 캬라11460 25/06/25 11460
516579 [기타] 의외로 일제 뺨친다는 중국제 [17] Lord Be Goja11140 25/06/24 11140
516575 [기타] 드디어 내일! [4] DogSound-_-*6200 25/06/24 6200
516565 [기타] 한국에서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누른 영화 [5] a-ha9144 25/06/24 9144
516557 [기타] 솔직히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기는 한 모니터 [40] a-ha9791 25/06/24 9791
516552 [기타] 친구 아들 축의금 얼마나 할까요? [19] 길갈10078 25/06/24 10078
516551 [기타] 용사의 희생에 대한 법률적 케이스 [13] 제가LA에있을때8768 25/06/24 8768
516550 [기타] RTX 5090 사서 한다는 게 고작 [6] 묻고 더블로 가!8403 25/06/24 8403
516545 [기타] 요즘 갑자기 정치학 관련 학술논문에 자주 쓰이고 있다는 단어 [34] a-ha12069 25/06/23 12069
516544 [기타] 신기한 타이어의 세계 [15] VictoryFood11753 25/06/23 11753
516541 [기타] 유투브 쉽지않은 이유 [7] 유머9066 25/06/23 9066
516536 [기타] 샌프란시스코 금문교 교각이 현재의 위치에 세워진 이유... [22] a-ha9295 25/06/23 9295
516534 [기타] 미국의 아미쉬 마을을 방문한 영상 [3] 김삼관7979 25/06/23 7979
516528 [기타] (약간후방) 최근 AI 모델 퀄리티 [46] 묻고 더블로 가!16343 25/06/23 16343
516527 [기타] 갤럭시 업뎃 후 알림창 기존걸로 보는 방법 [51] 카루오스10587 25/06/23 105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