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1/20 13:29:33
Name 핑크솔져
File #1 제목_없음.jpg (138.0 KB), Download : 22
출처 더쿠
Subject [유머] 쿠쿠 월욜 한 밥 수욜까지 먹는게 비상식이다?


저희집은 밥 한번하면 보온상태로 며칠씩 먹었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을대체왜바꿈
24/01/20 13:31
수정 아이콘
그럼 남편이 밥하는거 챙기면 끝날 일인데?..
24/01/20 13:31
수정 아이콘
비상식인지는 몰겠고 50시간 넘어가면 밥에서 냄새나기 시작하죠.
R.Oswalt
24/01/20 13:33
수정 아이콘
밥솥이 싸든 비싸든 하루 지나면 찰기 다 빠지고 맛 없긴 하죠. 귀찮으니까 그냥 먹는 거지.
위생상으로는 문제 없겠지만 그냥 맛이 없음...
24/01/20 13:33
수정 아이콘
본가에서 보온 상태로 72시간까지 두는데 집밥 진짜 싫어했습니다. 흰밥이면 그나마 나은데 콩밥을 3일씩 두니까 진짜 먹기 싫었어요. 지금도 3일된 밥 먹는데 밥하자마자 바로 식혀서 냉장고 넣고 전자렌지 데워먹습니다. 전기도 훨씬 절약되고 맛도 나쁘지 않고 영양적으로도 좋아서 추천합니다
할수있습니다
24/01/20 13:34
수정 아이콘
고용인의 디테일한 업무지시가 없으면 문제될거 있나요? 집에서 세끼 다먹는 가정이나 식구안많으면 보통 3,4일 보온해서 먹지않나요?
밥은 냉동에 한번 들어갔다나오는게 건강에 좋다해서 저는 소분해서 냉동에 넣어놨다가 먹긴합니다만
유리한
24/01/20 13:34
수정 아이콘
저는 밥 하면 한끼 먹고 나머지 다 소분해서 얼립니다. 렌지에 돌리면 갓 지은 밥 맛이라 좋음.
겟타 세인트 드래곤
24/01/20 13:34
수정 아이콘
뭐가 문제인가 도무지 감도 안잡히네
24/01/20 13:36
수정 아이콘
보온이라도 하루까진 괜찮은데 그 이상은 버립니다.
밥 먹는 양이 정해져있으니 남길 일도 없긴 합니다만.

밥맛이야 말로 밥상의 주인공이죠.
24/01/20 13:36
수정 아이콘
몇 년 전까지 저렇게 먹었는데 제시간에 다 먹으면 괜찮은데 한번씩 60시간 넘어가고 그러면 밥이 누래지고 냄새가...
그래서 밥 해서 소분 해서 냉동실 넣어놓고 하나씩 데워먹는데 이게 귀찮아도 낫긴 합니다.
빈즈파덜
24/01/20 13:37
수정 아이콘
애들 입맛이 까다로워서 매끼 새밥해서 먹이는데..ㅠㅠ 쉰밥은 물론 제 차지입니다..
종말메이커
24/01/20 13:37
수정 아이콘
위에 다른분도 말씀주셨지만 고용인이 밥은 적은 양으로 자주 해서 하루이틀 넘기지 않도록 해 주세요 하면 끝날 일입니다
그리고 저희집은 그렇게 하고 있고요 이틀 넘어가면 맛없어요
힐러리 한
24/01/20 13:40
수정 아이콘
대학생때는 다음날까지도 먹었는데, 이젠 귀찬긴한데 그냥 매끼 합니다
24/01/20 13:40
수정 아이콘
3일된 밥두 맛있는것에 감사히 여기시오..
유료도로당
24/01/20 13:40
수정 아이콘
월욜에 밥했으면 수욜까진 상식선이고 목요일부턴 아닌듯한.. 개인적 기준입니다.
24/01/20 14:13
수정 아이콘
저도 이 기준에 동의합니다
짬뽕순두부
24/01/20 15:18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24/01/20 21:34
수정 아이콘
이 정도면 괜찮을 듯 합니다.
ComeAgain
24/01/20 13:41
수정 아이콘
맛 없고, 보온으로 전기 낭비 같아서 기왕이면 냉동실 넣어놓거나
조금씩 해먹으려고 하긴 하는데 뭐 이상할 건 없긴 해요..
24/01/21 10:29
수정 아이콘
밥 바로하고 소분해서 냉동해두는게 전기도 절약되고 밥맛도 지키는 베스트 방법이긴 합니다 크크 귀찮아서 그렇지...
24/01/20 13:42
수정 아이콘
맛이 떨어지는 거야 당연하지만 그거 빼면 별문제 없을 텐데
수리검
24/01/20 13:42
수정 아이콘
쉰내나거나 굳는거 아니면 뭐 ..
김연아
24/01/20 13:43
수정 아이콘
짓자마자 소분한 후 식으면 냉장고에 넣었다가 레인지 돌려먹습니다
덴드로븀
24/01/20 13:43
수정 아이콘
일단 24시간 수준을 넘어가면 맛이 없어요 맛이
수리검
24/01/20 13:44
수정 아이콘
다시 읽어보니 가사도우미 고용하는 거군요

그럼 상식이니 뭐니 할 거 없이
그냥 밥 매일 새로 해 주세요
하면 그만 아닌가
척척석사
24/01/20 13:45
수정 아이콘
완전 기본적이다 니가 비상식적이다 라고 바로 박아버리는 꼴이 더 비상식적인거 같네용
그냥 맛없어지니 조금씩 자주해라 하면 될걸 말꼬라지 덜덜
24/01/20 13:45
수정 아이콘
수요일이면 먹을만한데
앙금빵
24/01/20 13:46
수정 아이콘
70시간 넘어가도 그냥 먹는데..
24/01/20 13:47
수정 아이콘
48시간이 레드라인이라는 느낌입니다.
24/01/20 13:50
수정 아이콘
전 밥 얼려놓고 일주일먹는데..
호러아니
24/01/20 13:51
수정 아이콘
뭐 못먹을거야 있나요. 밥 마르지만 않았다면... 남편이 밥맛이나 냄새에 예민할 수도 있고
뽀로뽀로미
24/01/20 13:5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먹는데;;; 싫으면 다음부터는 새로 하라고 하면되지
타시터스킬고어
24/01/20 13:55
수정 아이콘
예전은 기억이 안나서 잘 모르겠고 지금은 소분해서 냉장고에 뒀다가 데워 먹어서 보온 모드 자체를 안쓴지 좀 됐습니다
하아아아암
24/01/20 13:55
수정 아이콘
전 그냥 먹는편
동년배
24/01/20 13:55
수정 아이콘
세균, 식중독 이런거 보다 일단 밥맛이 없어서... 얼려놓는게 훨 낫죠
어제내린비
24/01/20 13:57
수정 아이콘
이틀까지는 별 차이 없고.. 3일째는 좀 차이 나긴 하지만 그리 심하게 차이나지는 않던데..
24/01/20 13:57
수정 아이콘
전 웬만하면 한끼 씩만 해서 먹는편이고, 양 조절 실패로 남으면 최대 24시간까지만 먹습니다. 그 이후는 맛이 없음
서민테란
24/01/20 13:57
수정 아이콘
날마다 밥하는 게 귀찮으면 소분해서 냉동했다가 전자렌지에 데워드시면 될 듯
전기밥솥이 생각보다 전기 많이 먹는다고 하고 보온해도 밥맛이나 냄새는 하루만 지나도 다르던데
포도씨
24/01/20 13:58
수정 아이콘
밥하는게 어려운일도 아닌데 왜 한번에 3일치 씩이나 해서 먹죠?
부모가 집에 거의 없다고해도 가사도우미와 아이가 하루 두끼먹는다치면 그래도 5~6인분은 한다는 소린데...
요즘은 도정도 잘되어 나와서 쌀도 대충 씻어도 되고 진짜 밥하는데 들어가는 수고가 라면보다 못하거든요.
영양, 맛 어느쪽도 이득될게 없어보이는데 굳이 그럴필요가 있나 싶긴 합니다.
제가 보온밥솥에서 오래되어 냄새나는걸 싫어해서 더 그렇기도 하고요.
아스날
24/01/20 18:44
수정 아이콘
계획 없는 외식하거나 그러면 3일정도까지는 있을수 있다고 봅니다. 항상 그런다는 얘긴 없으니..
i제주감귤i
24/01/20 13:59
수정 아이콘
딱히 뭔 문제인가 싶네요 왜지 뭐때문에 왜 화내는거지
24/01/20 14:02
수정 아이콘
위생은 모르겠고 맛없어서 싫습니다.
24/01/20 14:03
수정 아이콘
저도 보통 이틀까지는 그냥 먹고, 그 이상 지나면 주로 볶음밥이나 미음 끓여서 죽처럼 먹는데, 이모님이 만일 가사도우미를 뜻하는 거라면 좀 이야기가 다르죠. 돈을 받고 하는 일이면 매 끼니마다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하루에 한번은 밥을 하는 것이 정상이죠. 이건 마치 식당에 갔는데 묵은 밥이 나오는 거와 마찬가지인데.
랜슬롯
24/01/20 14:04
수정 아이콘
저도 위생은 모르겠으나 24시간만 지나도 맛이 심각하게 없어져서 그냥 먹어야할꺼 딱 분리하고 얼려놓는게 제일 낫다고 봅니다.
그게 하기 귀찮으면 그냥 밥 먹을양만 하고 그다음에 또 하던가
데로롱
24/01/20 14:07
수정 아이콘
가사도우미분을 고용했으면 약간 이상하긴 하네요 매 끼니마다 새로하는게 맞지 않나? 그게 아니더라도 최소 하루 한번은 해야하는게 맞지 않나..?
24/01/20 14:07
수정 아이콘
와이프에게 물어보니
밥 한 당일 포함해서 3일정도는 문제없다고하고, 자기가 3일된 밥주는건 몰라도
고용인은 돈을 받았기때문에 매일 해주는게 맞다고 하네요..
네모필라
24/01/20 14:27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 가족이 해주는건 그냥 먹죠 고용인이면 적게 자주해달라 할듯
아이파크
24/01/20 14:42
수정 아이콘
222
Fred again
24/01/20 14:11
수정 아이콘
별 문제도 아닌데 입에서 비상식적이라는 소리가 나왔다는게 더 비상식적이 아닌가 싶습니다
24/01/20 14:12
수정 아이콘
잉... 밥은 3일은 먹지 않나요... 보온밥솥인디

음식점 아니고 가정집에서 그정도도 안먹나
24/01/20 14:13
수정 아이콘
집안일 짬밥 좀 생기면 소분해서 냉장고나 냉동고 넣어두고 렌지 돌려먹죠
24/01/20 14:15
수정 아이콘
월요일 저녁에 밥을 했다고 치면 수요일 저녁까지 먹는데는 별 문제 없어서...

본문은 좀 다른 문제인 것 같은데 암튼 저는 이 정도까진 오케이 입니다 크크크
뭐하지
24/01/20 14:15
수정 아이콘
가족들 먹을 것까지 했는데 다들 안 먹거나 배달음식 시켜 먹으면 48시간은 기본으로 넘는 것 같은데...
딱히 맛에 대한 집착이 없어서 100시간 넘어도 잘만 먹습니다.
다만 가사도우미라면 본인이 요구를 해야죠.
매끼니마다 할지, 하루에 한 번할지...
밥솥 안에 밥이 있다면 그걸 버리고 밥을 해야 할 거 아닙니까?
협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밥 버리고 새로 밥짓는 건 센스의 영역이 아니라 오바죠.
Karmotrine
24/01/20 14:18
수정 아이콘
맛의 문제지 각자 맘대로 하면되는데 이틀지났다고 이상하다소리 안하면됨
안철수
24/01/20 14:20
수정 아이콘
그것만 먹을땐 잘 못느끼는데
24시간 지난밥 덜어놓고 밥 새로 해서 합쳐보면 차이가 엄청나게 큽니다.
땅땅한웜뱃
24/01/20 14:23
수정 아이콘
화낼 거리가 필요하셨겠죠. 이해합니다.
종말메이커
24/01/20 14:28
수정 아이콘
정리를 좀 하자면
아마도 남편의 상식 운운은
'각자 가정에서 밥을 어떻게 먹건 자유지만,
돈 받고 고용되어서 아이들 밥을 해 주는 입장이라면 당연히 매일 새롭게 밥을 해서 먹이는게 상식 아니냐'
라는 지적으로 보입니다.
이 지적이 합당한가 아닌가에 대한 부분이 논의되어야 할 것 같고
각자 집에서 몇시간 보온해서 어떻게 먹이는지는 큰 논쟁사항은 아닐것 같네요
척척석사
24/01/20 14:34
수정 아이콘
이게 맞는거같고 센스 문제라고 볼 수도 있는데 눈치껏 맞춰갈 수도 있겠지만 어떤집은 또 왜 아까운 밥을 버리냐 이럴 수도 있어서 크크
되도록이면 상식 어쩌고 이런소리는 겉으로는 좀 안 하는게 여러 모로 좋은 것 같아요 사람마다 선도 다르고 지한테만 상식인게 너무 많은거같음
하지만 이래놓고 영국이 섬이야? 중국도 한자를써? 이런거 보면 저도 딴소리할거같음
밤에달리다
24/01/20 14:28
수정 아이콘
거 밥맛 없다고 버리는 건 너무 자원 낭비 아니오
24/01/20 14:29
수정 아이콘
저는 바로 먹는 밥 외에는 구멍 있는 밥 보관통에 넣어서 바로 냉동실 직행입니다
담담펀치를땅땅
24/01/20 14:38
수정 아이콘
하루치 넣고 나머진 냉장실. 못 먹고 밀리면 48시간까진 걍 먹음. 그 뒤로도 먹기는 한데, 기분 점점 예민해져서 그런 일 사전봉쇄에 신경 씀
24/01/20 14:41
수정 아이콘
새로 왔다는 거 보면 기존 밥을 버려도 되는 집인지 기존 밥을 따로 보관해서 성인에게 줘도 불쾌해 하지 않는지 파악이 안된 상황일테니 이렇게 해달라고 요구하면 해결될 간단한 문제 아닌가요. 상식, 비상식이 나올 얘기가 전혀 아닌데요.
김유라
24/01/20 14:43
수정 아이콘
전 48시간까지는 먹기는 하는데...
희원토끼
24/01/20 14:52
수정 아이콘
1일차 저녁에 한거 3일차 저녁까지 가끔 먹이긴하는데;;; 보통은 새밥해서 주는데 밥양 애매하면 볶음밥 만들어서 줍니다.
로메인시저
24/01/20 14:54
수정 아이콘
먹으려면 일주일도 먹습니다. 단지 계속해서 건조해지고 맛도 없어지는게 문제일 뿐이죠.
애한테는 갓 지은 밥 먹이고 싶은게 부모 심리인걸 감안해야.
티바로우
24/01/20 15:03
수정 아이콘
그렇게 턴오버가 느리면 그냥 햇반쓰는게 모두가 행복한 방법 아닐까 싶긴 해요
비오는일요일
24/01/20 15: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자취하면서 느낀 점은 48시간 지나면 확실히 뭔가 달라진다 였습니다.
그거 몇 번 느끼고서 보온은 2시간 이내에 먹으려고 쓰는 거고 밥은 할 때 많이 해서 냉동으로 먹자로 바뀌었죠.
카바라스
24/01/20 15:33
수정 아이콘
그냥 먹어도되긴함
24/01/20 15:34
수정 아이콘
뭔 말인가 했습니다. 상황 설명 없이 덜렁 저렇게 써놓으면 없던 오해도 생기겠네요. 명문을 바라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인 문장 구성도 못하는 사람이 왜 이렇게 많을까요? ㅡㅡ;
개념은?
24/01/20 15:53
수정 아이콘
쫌 딴이야기인게 오히려 글이 잘 읽히는게 주작이 아닌거 같긴합니다. 요즘은 주작글은 짧은글안에 모든 서사가 완벽하게 담겨있어서 크크..
24/01/20 15:38
수정 아이콘
집마다 차이 많이 나는군요
제 주변은 길게 잡아도 48시간인데
회색사과
24/01/20 15:54
수정 아이콘
저희 회사에서 제 사수가 저한테 했던 얘기 고대로 적습니다.
(저희 회사는 데이터 작성 업체와 일을 자주 같이 합니다)


“돈 주고 사람 시킬 때 결과물이 마음에 안들면 그건 시킨 사람이 디렉션을 잘 못 준거다.”

우리 집은 헌 밥 사흘 안 먹으니 매일 해달라고 지시하면 될 문제죠..
개념은?
24/01/20 15:56
수정 아이콘
보온이 전기요금 엄청 많이 먹지 않나요? 그래서 저희는 당장 먹을거 제외하고는 소분해서 냉장고에 넣어버립니다.
그리고 저거 같은 경우는.. 일을 쫌 명확하게 지시했어야 했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분명히 밥솥에 밥이 남아 있는데 이모님 입장에서는 함부로 버리기도 애매하죠. 그래서 집주인분에게 이걸 버리고 새로할건지, 소분해서 넣어놓을건지, 아니면 애기밥만 따로하고 어른은 그냥 드실건지.. 이런걸 쫌 물어봤어야 했었다고 생각하는데.. 그점도 쫌 아쉽긴하지만.. 어찌됐뜬 정확한 지시가 있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자)아이들
24/01/20 16:21
수정 아이콘
이래서 햇반이 잘 팔리는 거
VictoryFood
24/01/20 16:24
수정 아이콘
돈 받는 이모님이 월요일에 밥을 하고 수요일까지 밥을 안했으면 문제인거 같은데요.
새로온 월요일에 양조절을 잘못해서 밥을 많이 했을 수는 있어도 남은 양을 보면 따로 냉동/장 보관을 하고 새로 해줘야죠.
조금 남아서 화요일 아침에 다 먹었다 도 아니고 수요일이면 이건 좀... 입니다.
아케르나르
24/01/20 16:43
수정 아이콘
요즘 밥도 많이들 안 먹고 하니 이틀 된 밥 먹을 수도 있긴 한데, 제가 조카에게 준다면 새로 하거나 볶아줬을 거 같네요.
Jedi Woon
24/01/20 18:25
수정 아이콘
밥 한 뒤에 바로 먹을 거 빼고 나머지는 소분해서 냉동실에 넣는데 그냥 보온 상태로 두는 집도 있었군요.
24/01/20 19:01
수정 아이콘
먹고 탈나는 것 아니면 비상식까지야..
가만히 손을 잡으
24/01/20 21:41
수정 아이콘
고용주가 고용인에게 취사 기간에 대해 명확한 지시가 없었다면 고용인은 그냥 하던데로 혹은 자신의 집에서 하던 식으로 했겠죠.
누구의 상식이냐가 문제가 아니고 매일 취사를 지시하면 됩니다. 그 다음 지시를 어기면 문제가 되겠죠.
김건희
24/01/21 20:17
수정 아이콘
소분(전자레인지 돌릴 수 있는 작은 용기)/냉동실 보관/전자레인지 돌린 후 취식

이게 아직 국룰이 되지 않았나보군요. 이 방식 정말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4200 [기타] 미쳐버린 슈크림빵 가격 [47] 아롱이다롱이14258 24/01/26 14258
494199 [기타] 2천원이라는 SBS 구내식당 [9] 아롱이다롱이14230 24/01/26 14230
494198 [LOL] LEC + LCS 대량해고 사태 발생 [29] 아롱이다롱이15266 24/01/26 15266
494197 [유머] 여권사진은 왜 못생기게 나오나요? [36] 핑크솔져17003 24/01/26 17003
494196 [서브컬쳐] [근황올림픽] 질풍가도 유정석 가수 싱어게인3 하차 이유 설명 [5] 빼사스15215 24/01/26 15215
494195 [기타] 30살 차이나는 부인 [7] 아롱이다롱이16530 24/01/26 16530
494194 [기타] 친누나와 딥키스 가능? vs 불가능? [102] 서귀포스포츠클럽17370 24/01/26 17370
494193 [스포츠] 이제는 확실히 선수빨로 16강 간게 아니라고 말씀드릴 수 있는 허정무 감독님 [38] 개념은?17863 24/01/26 17863
494192 [게임] 팰월드 제작사가 성공한 이유 = 운빨(?) [42] 덴드로븀12485 24/01/26 12485
494191 [기타] 갤럭시 S24 사전예약 결과 [33] 길갈14903 24/01/26 14903
494190 [기타] 중국에서 금값이라는 아이폰 xs맥스 [12] Lord Be Goja13794 24/01/26 13794
494189 [게임] ???: 이새끼가 선넘네 ?? [26] Lord Be Goja13237 24/01/26 13237
494188 [기타] 결혼식장에서 꽃 뿌려주는 누나 [19] 서귀포스포츠클럽18088 24/01/26 18088
494187 [스포츠] 치어리딩 기술을 완성하는 과정.shorts [9] VictoryFood14691 24/01/26 14691
494186 [기타] 약혐) 바퀴 고문하기 [15] 서귀포스포츠클럽13240 24/01/26 13240
494185 [스포츠] 파비앙 근황.jpg [14] insane14820 24/01/26 14820
494184 [유머] 네가 누구인지 기억해라!!! [26] 우주전쟁15940 24/01/26 15940
494183 [유머] 고위 공무원이 되면 가능 한 것 [20] 주말15407 24/01/26 15407
494182 [게임] 마참내 윤곽을 드러낸 컴투스의 미소녀 게임 [12] 묻고 더블로 가!15368 24/01/26 15368
494180 [유머] (약후) 뽀글이 좋아하세요? [19] Davi4ever17860 24/01/25 17860
494179 [스포츠] 클린스만 감독님 속마음 [33] Dresden17394 24/01/25 17394
494178 [스포츠] 말레이시아 감독님 속마음 [31] insane18163 24/01/25 18163
494177 [기타] 요즘 당근에 늘어났다는 10억짜리 물건들 [49] Lord Be Goja20519 24/01/25 205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