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22 11:27:44
Name 김유라
File #1 Screenshot_20231222_112525_Samsung_Internet.jpg (95.4 KB), Download : 28
출처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scientist-discover-how-to-convert-co2-into-powder-that-can-be-stored-for-decades/
Subject [유머] [탄소포집] 대충 똑똑한 미국인들이 알아서 해줄거임.news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scientist-discover-how-to-convert-co2-into-powder-that-can-be-stored-for-decades/
구글번역 ㅡㅡㅡ

매사추세츠(MIT)의 과학자 팀은 세계에서 가장 위협적인 지구 온난화 배출물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청정 전기로 전환할 수 있는 무해한 가루 연료로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


이 획기적인 발전은 CO2를 저렴하고 깨끗한 연료로 바꾸려는 거의 100년에 걸친 노력의 결과입니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의 연구원들은 CO2를 촉매제에 노출시킨 후 전기분해하여 가스를 포름산나트륨이라는 분말로 전환시켰습니다. 이 분말은 수십 년 동안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

진짜 알아서 해버림


늘 그렇듯이 아직은 개발 단계이긴 하겠지만, 탄소포집 관련해서는 확실히 많은 분들이 연구하고 진전도 있는 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22 11:29
수정 아이콘
온풍기 출력최대로
회색사과
23/12/22 11:29
수정 아이콘
저거 하늘에 뿌리면 설국열차인가요
메가트롤
23/12/22 11:31
수정 아이콘
항상 감사합니다...
23/12/22 11:31
수정 아이콘
전기분해에 들어가는 전력이 얼마나 드는지가 문제겠네요.
23/12/22 11:32
수정 아이콘
탄소포집은 빨리 나오긴 해야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빠를수록 하던대로 그냥 에어컨키고 살수 있으니까요.

에어컨을 키고, 플라스틱 테이크아웃 잔에 커피를 담아마시고 싶은 인류가 예상보다 빠르게 답을 찾아내길 희망합니다
망고베리
23/12/22 11:49
수정 아이콘
화석연료로 만든 전기로 탄소포집하면 그만큼 뻘짓도 없으니 당연하지만 그냥 하던대로는 못 살고 신재생 몰빵하고 남은 전기로 탄소포집해야죠. 핵융합은 기약도 없으니...
23/12/22 11:55
수정 아이콘
윽 비디오 게임에서는 그 뻘짓이 +-0으로 탄소배출은 잠깐 시간벌어줘서 신재생으로 -만들어서 그렇게 이해했는데, 현실성보다는 게임의 재미를 위한 전개였군요?
망고베리
23/12/22 12:04
수정 아이콘
조금만 생각해도 탄소포집을 위해 화석연료로 전기만드는 것보다 그냥 전기 안 만드는 게 더 탄소배출에 더 좋을 수밖에 없죠... 그게 된다면 진작에 탄소걱정을 할 필요가....
피우피우
23/12/22 12: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다양한 표현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효율 100%인 열기관은 없다'는 것이죠. 기본적으로 모든 과정이 에너지 전환인데 (화석연료의 형태로 저장된 화학 에너지 → 열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전기 에너지 → 다시 특정 형태 화합물로 전환해서 화학 에너지) 각각의 과정에서 손실이 있을 수밖에 없어서 '화석연료로 만든 전기로 탄소포집'은 결과적으로 걍 화석연료를 다른 형태 화합물로 바꾸면서 땅에 에너지 버리는 일밖에 안 될 겁니다. 이 '다른 형태 화합물'이 플라스틱이나 각종 석유화학의 결과물들처럼 인간에게 유용할 경우 에너지를 소비해가면서 저런 일을 할 유인이 있지만 탄소포집은 그런 건 아니니까요.
ComeAgain
23/12/22 11:38
수정 아이콘
탄소 가루면 연필심인가요...?!
23/12/22 11:45
수정 아이콘
탄소가루는 아니고 co2를 가지고 hcooNa를 합성하였습니다. 고체니까 보관이 쉽겠네요.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이려고 최대한 간단한 구조를 선택한 것 같네요
23/12/22 11:45
수정 아이콘
크으.. 현대 문명에서 미국인의 비중은 진짜 어마어마한것 같습니다..
퀀텀리프
23/12/22 11:46
수정 아이콘
지잡대 화이링~
23/12/22 11:47
수정 아이콘
친환경이네 뭐네 하지만 결국 소비에서 오는 편의를 줄일 생각없고 높은 비용을 부담할 생각도 없으니 저거라도 되야죠.
그래도 온도 낮춘다고 대기에 뭐 뿌리는건 아니라서 다행이네요.
아니지? 안할거지?
탑클라우드
23/12/22 11:48
수정 아이콘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이고, 기존에 누리던 편의를 쉽게 포기 하지 않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유일하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탑클라우드
23/12/22 11:47
수정 아이콘
역시 미국 지잡대는 위대하군요.
Starscream
23/12/22 11:48
수정 아이콘
필요한 장치 촉매 전기를 만들때 배출한 이산화탄소와 비겨서 어느정도인지가 중요하겠네요
망고베리
23/12/22 11:54
수정 아이콘
전기는 당연히 신재생으로 해야죠. 화석연료랑 비교하는 거 자체가 말이 안 됩니다. 무한동력같은 소리 할 거 아니면요
Starscream
23/12/22 12:07
수정 아이콘
공법에 따라서는 신재생이 어려울수도 있으니까요
신재생에너지도 어느정도 이산화탄소 배출이 있는거고
망고베리
23/12/22 12:14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전기로 돌리는데 신재생이 어려울 거라는 게 이해는 안 되지만 그게 안 된다면 저 탄소포집은 무쓸모라는 결론이 납니다. 그냥 지금 무한동력 만들겠다는 거랑 과학적으론 똑같은 이야기가 되거든요
Starscream
23/12/22 12:1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비교해봐야된다는건데 뭐 알겠습미다
아이군
23/12/22 12:11
수정 아이콘
당장 현재는 비용대비 효용이 안나와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0.042 퍼센트 니깐요....
샤르미에티미
23/12/22 12:35
수정 아이콘
저도 해결책은 과학 밖에 없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이제 와서 절약하고 살라는 이야기는... 실제론 더 덥고 더 춥고 하니까 연료를 더 쓸 뿐이죠.
23/12/22 12:35
수정 아이콘
식용 소를 줄이는게 더 효과적이지 않을런지...
고기반찬
23/12/22 12:45
수정 아이콘
MIT니까 믿을만 하겠죠?
23/12/22 12:52
수정 아이콘
90년대에 샤프나 만들어 팔던 지방대를 믿으라구요?
Phlying Dolphin
23/12/22 14:11
수정 아이콘
이게 피지알 제목이 탄소포집인데, 내용은 탄소포집이 아니라 e-fuel이네요. 보통 액체형 efuel이 많은데 이건 조금 독특하게 고체이군요. 탄소포집 후단의 기술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Capernaum
23/12/22 14:45
수정 아이콘
한국 스카이 서성한 중경외시이 조차도 못한 걸

미국 지잡대가?
바람돌돌이
23/12/22 14:50
수정 아이콘
중국인 유학생 혹은 중국계 이민자들이네요. 중국인이나 인도인들은 학계에서도 자기들끼리 잘 밀고 끌고 하는거 같아요.

대기중 탄소 포집기술이 아니라 포집된 co2를 안정적으로 고화 시키는 연구입니다. 기존방법은 심해 해구로 밀어넣거나 유전에 넣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죠.
지니팅커벨여행
23/12/22 14:54
수정 아이콘
그냥 나무를 더 심으라고!!
23/12/22 15:06
수정 아이콘
뻘생각인데, 나무보다는 물풀 쪽이 효율이 좋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온실 안에서 오폐수를 투명용기에 넣어서 녹색말을 길러보면 어떨까요? 나중에 녹색말은 걸러서 묻어버리면 쉽게 탄소포집이 되지 않을까요? 수질정화와 탄소포집을 한꺼번에 할 수도 있을거 같은데.....
차라리꽉눌러붙을
23/12/22 15: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소가스의 경우)화석연료 연소 후 탄소포집은
화석연료 태워서 에너지100만들고
30 정도 에너지로 탄소포집해서 유정 같은데 집어 넣는 느낌으로...

(대기 중 Co2 포집의 경우)대기중 Co2 농도는 수 백~ 2000 ppm 정도 단위라...
식물을 어어어어어엄청나게 대량으로 심어서
안 썩도록(썩으면 또 Co2 발생) 깊은 동굴 같은 데 대량으로 보관하는 느낌으로 가는 방법 아니면 답이없...
리드셀
23/12/22 16:07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일반 대기가 아닌 화력발전소에서 직접 하니 그 농도가 일반적인 대기 농도와는 다릅니다
그래서 화력발전도 화력발전+CCUS는 다르게 취급합니나
차라리꽉눌러붙을
23/12/22 16:24
수정 아이콘
앗 네, 저도 앞 단락은 연소가스 ccus 뒷 부분은 대기 중 ccus를 쓰려고 한 건디 뭔가 구분이 안 가게 써버렸네요...흐흐...ㅠㅜ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708 [스포츠] 감스트 못지않은 리엑션을 보인 맨유팬 [8] 강가딘10875 23/12/27 10875
492707 [LOL] 독후감을 제출하세요 [6] 주말11043 23/12/27 11043
492706 [스포츠] 600원 빌려주고 420만원으로 갚으라는 친구 [25] 무딜링호흡머신14562 23/12/27 14562
492705 [기타] 바나나 까먹기 장인이 알려주는 바나나 쉽게 먹는 법 [27] 묻고 더블로 가!17078 23/12/27 17078
492704 [유머]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무림.jpg [42] lemma18196 23/12/27 18196
492703 [기타] 중국정부의 투자자 위로 정책 [18] Lord Be Goja17768 23/12/27 17768
492701 [기타] 스타링크 차량서비스 발매 [28] Lord Be Goja14617 23/12/27 14617
492700 [기타] 구글,광고부서 구조조정 예고 [14] Lord Be Goja16208 23/12/27 16208
492698 [유머] 보통 디자이너가 지고 개발자가 이긴 상품은 성능 거의 다 괜찮았음.jpg [41] Myoi Mina 20070 23/12/27 20070
492696 [기타] 동아시아 에서만 잡힌다는 멸종위기 해산물 [31] Myoi Mina 18591 23/12/27 18591
492695 [기타] 국회의원 의원실 피셜 트위치 이용자수 감소 [44] Lord Be Goja16422 23/12/27 16422
492694 [유머] 일본 아파트 근황 [12] lexicon17528 23/12/27 17528
492693 [유머] 에스파로 보는 한국 엄마들이 환장하는 패션 jpg [22] 궤변17190 23/12/27 17190
492692 [기타] 노가다하는 남편 월급보고 화가 난 아내 [32] 무딜링호흡머신19970 23/12/27 19970
492691 [유머] 고작 QTE 액션인데 뭘 그렇게 미친듯이 버튼을 누르냐? [6] 캬라14649 23/12/27 14649
492690 [기타] 저는 엄마가 되었습니다.jpg [17] 구상만15149 23/12/27 15149
492689 [기타] 암사자가 맹수인 이유 [9] Lord Be Goja13657 23/12/27 13657
492688 [유머] 진짜 투자는 여자가 한다 [22] 롯데리아22612 23/12/27 22612
492687 [유머] 한국 저출산에 대한 르완다인의 생각.jpg [59] 궤변22126 23/12/27 22126
492686 [유머] 노량진 썩은 대게 사건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jpg [56] 핑크솔져20840 23/12/27 20840
492685 [연예인] 브라이언이 말하는 플라이투더스카이 시절 소속사와 재계약 하지 않은 이유.jpg [25] Myoi Mina 15199 23/12/27 15199
492684 [기타] 할머니 혼자 애플 매장에 갔다 [34] KanQui#116502 23/12/27 16502
492683 [방송] 무엇이든 물어보살에 나온 기구한 19세 소녀 [12] 무딜링호흡머신13880 23/12/27 138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