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2/01 13:24:00
Name 우주전쟁
File #1 i16417565799_20231201_132209.jpg (140.2 KB), Download : 36
출처 이종격투기카페
Subject [기타] 사교육 종말 임박?


단순계산으론 그렇긴 한데 진짜 사교육이 사라지게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01 13:25
수정 아이콘
파이가 줄어드는거지 없어지는 건 아니라는거겠죠
23/12/01 13:25
수정 아이콘
저 말을 꽤 예전에 했는데, 메가스터디 매출은 계속 성장했다고... 슈카월드에서 본 기억이 나네요.
스토리북
23/12/01 13:37
수정 아이콘
이제 마지막 피크라고는 했죠. 손주은이 이민사업 시작한 것도 사실이고.
23/12/01 13:27
수정 아이콘
정원이 그대로 유지될 리도 없고, 학교도 기업도 줄 세우기 좋아하는데 다른 형태의 서열이 또 생기겠죠.
Liberalist
23/12/01 13:27
수정 아이콘
아무리 파이가 줄어들어도 극상위권 ~ 중상위권 경쟁은 여전할거라, 우리나라 사교육이 이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걸 생각해보면 앞으로 저출산이 지속되더라도 먹고 사는데 엄청나게 지장이 있고 그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카즈하
23/12/01 13:27
수정 아이콘
2040년대 부터는 서성한 아래로는 전부 잡대가 되는 세상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화씨100도
23/12/01 13:27
수정 아이콘
7,8등급이 인서울 가능하면
기존에 시교육받지 않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게 되는거죠.
raindraw
23/12/01 13:2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최상위권을 노리는 사교육이 더 강화될 것 같은 불길한 느낌은 왜 그럴까요?
알라딘
23/12/01 16:29
수정 아이콘
이번에 입시감독해보니 최상위권은 더 치열할것 같습니다. 메디컬쪽은 n수생들 살벌하게 많더라구요.
피우피우
23/12/01 13:31
수정 아이콘
대학 정원이 줄어들 수도 있죠
MissNothing
23/12/01 13:31
수정 아이콘
지금 국숭세단까진 아니고 그 미만은 좀 그런느낌이 있죠
근데 반대로 전체적인 파이는 줄어도 사교육 시장은 더 과열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성야무인
23/12/01 13:31
수정 아이콘
뭐 이제는 눈치싸움이긴 헌데

지방대도 누가 먼저 줄이냐의 대한 포문을 못열고 있습니다.

이거 잘못하면 독박쓸 수도 있거든요.

정원수 놓치지 않고 버티느냐 망하느냐니까요.
Blooming
23/12/01 13:31
수정 아이콘
딱 저렇게 될지는 몰라도 저런 방향성 자체는 가능성 있죠. 일부 기업에서 직원 뽑아보면 서연고급 이외에는 별 차이없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도들도들
23/12/01 13:32
수정 아이콘
사교육은 잘 모르겠지만 대학 입결 하향은 이미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페로몬아돌
23/12/01 13:35
수정 아이콘
직업의 격차가 있는 한 사교육이 더 고급화 되면 되지 없어지지 않습니다.
23/12/01 13:37
수정 아이콘
파이가 줄어드니 대학들의 정원도 줄어들어야 하는게 정상이겠죠.

그와중에도 결국 상위권 대학은 가야하니 경쟁은 유지되겠지만, 예전만큼의 경쟁이 유지될지는 뚜껑따봐야 압니다.
23/12/01 13:38
수정 아이콘
본질적으로 인구 감소로 인한건데 여파가 생기는건 사교육뿐만이 아니죠. 인구를 기반으로 하는 전반적인 산업의 파이가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처럼 1년에 수십수백억대로 버는 스타강사들이 줄어드는걸 얘기하는거라고 봐요. 그게 메가스터디의 시작이고.
의치약한수 준비하는 사람들 대상으로만은 안되거든요. 거기에 의치약한수도 내수산업이라 같이 타격받고 정원은 늘릴려고 하고있으니..
아이군
23/12/01 13:38
수정 아이콘
사교육은 모르겠고 공교육은 망해감....
지금 이미 지방 국립대도 난리죠....

사교육 쪽은 지금 체감 되는 부분이 학원비죠
전체 사교육 비는 모르겠는데 학원 하나하나에서 받는 돈은 꽤 오랫동안 비슷비슷했습니다. 요새 물가인상기에도 못 올리고 있죠...
타마노코시
23/12/01 13:39
수정 아이콘
업계 입장에서 파이가 줄어드는 것은 몇% 범위라도 큰 타격이니까 저렇게 얘기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도 저게 개인별로 들이는 사교육비가 줄어드는 근거냐고 하면 아닐거예요. 어차피 등급은 정해져 있고, 그 등급에 따라서 들어가는 대학도 조금씩 올라갈테니 기존 허용범위의 대학 커트가 올라가겠죠.
그럼 올라가는 커트에 맞춰서 또 경쟁을 해야할테니 근본적으로 1인당 사교육비가 줄어드는 과정은 전체 시장파이에 비해서는 느릴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아마 지금 교육과정과 대학 구조조정에 대한 방향성을 볼 때에는 조만간 서울 중간사립대에도 뻗어올 것이라 봅니다. 어차피 지금 국가예산이 한정된 상황에서 지원을 직간접적으로 줄이기 시작할 경우에 국립대보다는 사립대의 피해가 클것이라 지방사립대->서울사립대->국립대 순으로 줄여나갈 것이기 때문이죠.
파프리카
23/12/01 13:40
수정 아이콘
저건 입시 위주 사교육의 이야기지 사교육 시장 전체를 보면 또 다를 겁니다. 사교육이 지닌 보육, 관리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을 뿐더러 공교육이 채우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수요도 늘 있으니깐요.
일면식
23/12/01 13:40
수정 아이콘
6,7등급이 가는 대학까지는
지금의 지잡대 인식으로 바뀌겠죠.

전체적인 파이가 큰지 작은지 와는 상관없이
어느 사회 어느 시대에나 줄세우기는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청운지몽
23/12/01 13:47
수정 아이콘
저런 위기감이 있어야 기업은 대응을 하죠
삼성도 매일이 위기고 매일 망할수있다 합니다
아침노을
23/12/01 13:49
수정 아이콘
교육비 단가가 올라갈 듯.
어이큐.. 애 하나 교육시키는데 이렇게 큰돈이 드네. 애 못 낳겠다. 저출산 악순환으로..
로드바이크
23/12/01 15:04
수정 아이콘
N 수가 없으니 올라갈 수밖에 없죠.
10빠정
23/12/01 16:23
수정 아이콘
안올라갑니다. 학원비는 수년째 제자리..
오우거
23/12/01 13:55
수정 아이콘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르죠
달빛기사
23/12/01 13:55
수정 아이콘
대학은 줄어야 하는게 맞고.. 사회 인식도 달라져야 하지만.. 변하는 걸 본 적이 없으니.. 변할까??
23/12/01 13:56
수정 아이콘
사교육 종사자는 저 정도 수준의 위기의식이 있어야 앞으로도 살아남을거라 봅니다.
나그네큰꺅도요
23/12/01 13:57
수정 아이콘
등급이나 석차 체계, 대학 선호와 경쟁 같은 건 줄어든 인구 상황 및 향후 전망에 맞춰서 다 그 때 그 때 탄력적으로 변하겠죠.
하지만 그게 문제가 아니고 어떤 산업이든 소비자 절대 숫자가 반토막 날 미래가 확정되어 있다면 성장 동력이 생기가 힘들겁니다. YoY 2~30%만 감소해도 관련 업계에서는 곡소리 나올텐데요. 문제는 사교육 뿐만 아니라 다른 대다수의 산업도 마찬가지라는거...
몽키매직
23/12/01 13:59
수정 아이콘
손주은 개인 의견이고 각 잡고 들어보면 본인의 논리가 있는데 그걸 합당하다고 받아들일지는 청자가 판단할 몫이고, 실제로 어떻게 될 지는 두고봐야 알겠죠. 손주은이 저 얘기 시작한지는 꽤 되었습니다.
무냐고
23/12/01 14:02
수정 아이콘
메가스터디 입장에선 꺾일게 맞겠죠.
돈쓰고 사교육을 받는 입장에선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도
23/12/01 14:02
수정 아이콘
그정도 되면 대학이 줄어들겠지...
23/12/01 14:03
수정 아이콘
아이들 숫자만 줄어들어도 사교육 시장은 상당히 줄어들긴 하겟죠
23/12/01 14:04
수정 아이콘
매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겠죠.
Bellingham
23/12/01 14:04
수정 아이콘
대학 입학 정원 안 줄이면 20년 내로 지거국과 그 연구역량, 관련 종사자, 주변 인프라는 죄다 말라죽게 됩니다. 결국 지방이 소멸하는 속도를 늦추려면 대학 정원을 감축해야 해요. 그런데도 정원을 오히려 늘리고 있는 현실
flowater
23/12/01 14:05
수정 아이콘
사교육 뿐만 아니라 모든게 종말이겠죠.. 달러자산이라도 최대한 많이 비축해뇌야하는데 쉽지 않네요
23/12/01 14:06
수정 아이콘
사교육 곧 엄청 줄어들거라는건 현직 학원 강사인 친구도 같은 말 하더군요.
날아라 코딱지
23/12/01 14:11
수정 아이콘
인구감소로 시장자체가 줄어들어버리는데
사교육시장이 무슨 블랙홀머니가 있어 버틸까요
그냥 어린이집 유치원같이 쪼그라들대로 들어
사실상 극소수 말그대로 서연고정도만 목표로 한
시장정도로 축소되는거죠
70년대 사교육시장만도 안될거라 봅니다
그때는 정말 동네과외수준인건데 대부분은
그렇게 될거라 봅니다
티바로우
23/12/01 14:11
수정 아이콘
뭐 인구구조 빼고 생각해도
꼴랑 좋은대학 들어간걸로 신분상승 노려볼수 있는 시대는 점점 멀어져가는게 당연하겠죠 크크
사교육비? 그 don't see.
23/12/01 14:12
수정 아이콘
의치한약수로 대표되는 메디컬미만잡이 현실화될지도 모르겠네요
아스날
23/12/01 14:15
수정 아이콘
사교육이 사라지는게 아니고 사교육 사업이 끝이 아닐까요.
시라노 번스타인
23/12/01 14:16
수정 아이콘
사교육의 범위가 늘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학 입시 사교육 파이는 줄어들지는 몰라도 취업, 창업, 스펙, 유학 등 다양한 사교육이 더 다양해질 뿐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지난 몇년간 취업쪽은 대기업 인사팀 출신 등의 사람들이 나와서, 창업쪽은 스타트업 출신 등의 사람들이 나와서 사교육 시장을 테스트 해봤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사업계획서 컨설팅 명목으로 대리로 기획, 작성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아케르나르
23/12/01 14:25
수정 아이콘
해외로 진출하지 않을까요? 이미 했으려나... 베트남이나 중국 같은데도 교육열이 엄청날텐데.
물맛이좋아요
23/12/01 14:30
수정 아이콘
이미 타격이 큽니다..
No.99 AaronJudge
23/12/01 14:39
수정 아이콘
수요자가 반토막이면 지금같기 쉽지 않죠
한국안망했으면
23/12/01 15:00
수정 아이콘
입시를위한 사교육 매출은 줄죠
성인 사교육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 같습니다
방구차야
23/12/01 17:18
수정 아이콘
전공과 관련된 일을 평생하지는 못할테고 중년,노년에 대한 재교육 시장이 커지지 않을지
스타나라
23/12/01 15:04
수정 아이콘
수능 사교육이야 약화되겠지만, 그 다음단계의 사교육은 활황이겠죠. 이를태면 공무원시험 의전원시험 로스쿨시험 등등...
사교육 자체가 무너지는것이 아닌, 포인트를 옮겨가서 사교육이 생길거라고 생각합니다.
녀름의끝
23/12/01 15:08
수정 아이콘
손주은씨가 이런 얘기한 게 벌써 15~16년 요때쯤부터라
가나다
23/12/01 15:32
수정 아이콘
인구감소에 따른 모든 사회의 수요감소는 뭐 불보듯 뻔한것 아닐까요?

학원이 메가스터만 잇는 것도 아니고, 전국 지방에 전반적인 사교육 시장을 본다면 사교육 시장 축소 , 파이의 감소는 당연한 것입니다.

군인 감소에 따른 사단 통폐합과 이전에 따라 군인들을 통한 지역경제를 유지했던 지방(주로 강원도나 경기도 북쪽)이나
학생 감소에 따른 지방대 폐교, 통합에 따라 학생들은 통한 지역경제를 유지했던 지방(지방 대학이 위치한 중소규모 거점도시) 들이

사단 이전, 학교 통폐합이후 극심하게 말라가는데

사교육시장이라고 별수가 없죠.

이건 당연한 수순이라고 봅니다. 인서울에 상위급 대학을 목표로 하는 사교육 시장이야 미래에도 당연히 있을테고 어지보면 소수의 아이들에게 더많은 인당 교육비를 낼순 있다 하더라도 "교육시장"의 축소는 인구감소에 딸 불보듯 뻔함
23/12/01 17:23
수정 아이콘
모든 분야에서 축소되는 정도의 축소는 당연히 올거고, 근데 종말은 아니겠죠.
infinitefrontier
23/12/01 18:08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고등학교였나? 폐교했다 들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3140 [기타] 근로자가 로봇의 도입을 반기는 경우 [38] Lord Be Goja14582 24/01/05 14582
493139 [기타] 짬밤 꽁으로 먹은 게 아닌 이유... [17] 우주전쟁13447 24/01/05 13447
493138 [음식] 2024 블루리본 서베이 근황 [24] lexicon13191 24/01/05 13191
493137 [기타] 아랫글보고 여자친구랑 마라탕 무턱대고 먹으면 안되는 이유 [2] Lord Be Goja12826 24/01/05 12826
493136 [유머] 요즘 반박불가 세대갈등.jpg [95] 캬라18592 24/01/05 18592
493135 [유머] 소가 다쳤을 때는 알코올을 사용하면 위험합니다 [12] 푸른잔향14371 24/01/05 14371
493134 [유머] 출근 1시간만에 그만 둔 이유 [58] 이호철21738 24/01/05 21738
493133 [기타] 와이프랑 의절한지 10년 째 되는 블라인 [75] 조선제일검21330 24/01/05 21330
493132 [유머] 의외로 크게 갈린다는 것 [67] 길갈19874 24/01/05 19874
493131 [유머] 텝스 교재 근황 [14] 65C0213800 24/01/05 13800
493130 [기타] 열받아서 방어력이 4배 올라간 동해 [33] 쎌라비17239 24/01/05 17239
493129 [유머] 고객이 빡쳐서 책임자 바꾸라고 전화했는데 [12] Myoi Mina 14142 24/01/05 14142
493128 [서브컬쳐] 위기의 외계인 1부를 구하러 외계인 2부가 간다!! [44] 껌정14209 24/01/05 14209
493127 [기타] 정식 수입된 1.8L 위스키 [51] 톰슨가젤연탄구이22628 24/01/05 22628
493126 [기타] 알약글 보고 생각난 알집 VS 반디집 속도 차이.MP4 [43] insane15033 24/01/05 15033
493125 [기타] 하반신 마비 되어서 전역하게 된 장병.jpg [54] 핑크솔져16718 24/01/05 16718
493124 [유머] 부산에만 있다는 치킨 [31] STEAM15255 24/01/05 15255
493123 [유머] 백신프로그램 알약이 너무 싫은 직장인 [26] Myoi Mina 16258 24/01/05 16258
493122 [서브컬쳐] [건담계층] 이상주의자 vs 현실주의자 KanQui#19244 24/01/05 9244
493121 [기타] 2023년 한국 인터넷 방송인 순위 [31] 묻고 더블로 가!17295 24/01/05 17295
493120 [서브컬쳐] 패트와 매트 근황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629 24/01/05 12629
493119 [기타] 공화춘의 계승자들 [24] 조선제일검17038 24/01/04 17038
493118 [유머] (약후) 새해 시작부터 비키니 사진 올린 치어리더 [25] Davi4ever21988 24/01/04 219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