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17 10:23:23
Name Lord Be Goja
File #1 다없음.png (1.62 MB), Download : 23
출처 imbc
Link #2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543894_36199.html
Subject [기타] 국내에 수리기사가 없다는 제품



그것은 헤어 드라이기
고쳐 달라고 하니 10만원짜리 쿠폰주고 이걸써서 새로 사라고 했다고..


물론 취재가 시작되자

vINXO3C.png

방침도 없던..리퍼 수급이 재개되는데!

풀영상


-------------------------------------------------------------------

*4년전에 산 제품이더군요

**국내의 회사들도 간혹 무상보증기간 1년 지났다며 신품가격90%수준의 수리비를 요구하는 식으로 수리를 포기시키는 경우나 출시 2-3년만에 수리부품 재고가 없다는둥.. 수십~백만원짜리를 단기 소모품 취급하는게 맞나 싶더라구요.그러시면서 패키지 종이로 바꾸면 친환경인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람쥐룰루
23/11/17 10:25
수정 아이콘
드라이기는 못해도 10년은 써야되는거 아닌가 싶은데요 4년쓰고 고장날정도면 네구성이 너무 낮은거같네요
23/11/17 10:27
수정 아이콘
다이슨 청소기도 첨엔 참 신박하게 잘쓰고 대체불가였는데. 배터리가 2년되니까 조루되고 교체를 해야하겠더라구요.
그사이에 국내 상품들이 더 잘만들어져 나오고.
모나크모나크
23/11/17 12:17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일단 무겁습니다.
23/11/17 10:33
수정 아이콘
마우스도 똑같지 않나요?
로지텍 마우스 고급형은 1년이더군요.... 저는 13만원주고 트랙볼 샀는데 로지텍가니 as가 지났데요.
게이밍 마우스 6만원짜린 2년인데 이건 1년이고 수리 없고 그냥 교체만 된다구해서 사설 업체가서 돈주고 수리했습니다.
다이슨이랑 별 다른 게 없는 로지텍 무조건 버튼 고장 1년 지나면 나오는 경우가 흔합니다.
23/11/17 13:07
수정 아이콘
다이슨이랑 로지텍 가격차이가...그리고 로지텍 마우스는 사설업체라도 잘 되어있고 가격도 저렴한데 다이슨은 사설업체 찾기도 어려울것 같네요
겟타 세인트 드래곤
23/11/17 10:46
수정 아이콘
일단 언론제보하는법을 널리 알려야할듯
23/11/17 10:48
수정 아이콘
a/s가 저 따위면 정발의 메리트가 없죠
직구해서 싸게 사고 고장나면 사설 가야...
안철수
23/11/17 10:54
수정 아이콘
다이슨 as는 10년전 청소기 시절부터 유명하죠.
제가 보기엔 애플보다 더 악질이 다이슨
코우사카 호노카
23/11/17 10:56
수정 아이콘
고향집 청소기 다이슨 사다놨었는데
그거 제가 가져오고 삼성꺼 사서바꿔놔야겠네요
이따위일줄이야
김유라
23/11/17 11:12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환경오염 개선할거면 종이빨대 후두려팰게 아니라 가전제품 A/S 구조를 갈아엎는게 우선이라 봅니다.
23/11/17 11:24
수정 아이콘
그게 미국/유럽서 나온 right to repair (수리권) 운동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은 삼성 엘지가 수리를 그럭저럭 해주는 편이고 사설 수리도 대놓고 막으려 들지 않아서 덜 드러난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최근으로 올수록 '새로 사세요' 엔딩이 많아지는 것 보면 국내에도 조만간 두들겨질 것 같은...
김유라
23/11/17 11:27
수정 아이콘
과거 세계 시장에 대응하는 한국 기업(삼성, LG)의 가전 산업 구조가 "우리 제품은 싸고 성능도 괜찮고 튼튼해요" 라는 가성비 싸움이었다가, 최근에는 기술력으로 변모한 영향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술 격차 우위에 진입한 순간, 씁쓸하지만 고쳐주는 것보다 새거 팔아먹는게 훨씬 이득이기는 하죠. 이 분야는 담당 일진 EU가 나서주는 수 밖에 없는듯...
23/11/17 11:13
수정 아이콘
드라이기는 업소용으로 쓰는 jmw가 가성비로 최고입니다. 7~8만원대 사면 못해도 5년은 씁니다
The Normal One
23/11/17 12:17
수정 아이콘
저도 jmw 씁니다. 일단 바람 세기부터 달라요.
아카데미
23/11/17 11:13
수정 아이콘
다이슨은 피해야겠네
승승장구
23/11/17 11:30
수정 아이콘
지하철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생각이 났습니다
물론 이쪽은 기사 말고 부품 문제같긴 합니다만
요즘 왤케 수리중인 에스컬레이터가 많은지
Pinocchio
23/11/17 11:49
수정 아이콘
차이슨사서 고장나면 버리고 또 사는게 이득.
탑클라우드
23/11/17 11:53
수정 아이콘
청소기 LG로 바꿨는데, 다이슨보다 좋은 것 같아요. 물론 가격도 별 차이 안나는게 함정...
23/11/17 12:27
수정 아이콘
샤크청소기 좋습니다
23/11/17 12:49
수정 아이콘
as 진짜 개악질입니다
글쓴이
23/11/17 12:57
수정 아이콘
헤어롤 as때문에 돈 더 들여서 국내판 산건데...
고라니라고
23/11/17 12:57
수정 아이콘
저도 드라이기는 jmw씁니다. 쎄고 좋아요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3/11/17 13:17
수정 아이콘
다이슨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네요.
무선 청소기 시장 다 빼앗기고 이제 저것 마저 날릴 셈인지.
디자인이나 호기심이 아닌 머리 건조 성능 때문이라면 JMW라는 대체재가 있는데 말입니다
록타이트
23/11/17 14:24
수정 아이콘
보스 제품도 저렇습니다. qc 시리즈 착용감이랑 무게때문에 애용했는데 헤드밴드 거지짝되는 고질병이 있어서 교환하려고 보니까 교환도 안되고 보스 코리아는 as 자체가 없다고 하더라구요.
Lord Be Goja
23/11/17 14:27
수정 아이콘
의외로 헤드파이쪽 고갱님 대우가 브랜드불문 별로던데요
(제가 좋다고 느낀게 예전에 er4시리즈 한번 받았을때정도?? 나머지는 사설수리나 알리 이용안하면 걍 노답..)
그러니 차이파이가 뜨나싶기도 해요.어짜피 서비스기대하기 힘드니 가성비는 확실한거 찾는
록타이트
23/11/17 14:43
수정 아이콘
3-50만원 하는 물건 as가 이렇게 막장일수 있다는게 참 신기했습니다. 근데 소니랑 애플은 도저히 못쓰겠더라구요. 한두시간이면 버틸텐데 하루 종일 쓰고 있다보니.
난키군
23/11/17 15:17
수정 아이콘
드라이기는....진리의 JMW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032 [게임] 기가바이트,한국전용 게임 콜라보 상품 출시 [5] Lord Be Goja11515 23/12/14 11515
492031 [기타] 층간소음 보복 최신 판례 [48] 톰슨가젤연탄구이17528 23/12/14 17528
492030 [유머] 트위치 현상황 요약.jpg [25] 캬라18344 23/12/14 18344
492029 [유머] 롯데리아 신상 돈까스버거.jpg [33] 핑크솔져14707 23/12/14 14707
492028 [동물&귀욤] 시고르잡종 유튜버가 힘든 현실적인 이유 [10] Lord Be Goja14257 23/12/14 14257
492027 [기타] 우주와 인간 신체의 유사성!? [16] 우주전쟁14583 23/12/14 14583
492026 [유머] 요즘 마트에서 계산할때 특 [5] 카루오스14285 23/12/14 14285
492025 [LOL] 유퀴즈 페이커편 예고편 업로드 [6] 무딜링호흡머신12040 23/12/14 12040
492024 [유머] 경차 천국인 일본의 경차 옵션들.jpg [58] 캬라20228 23/12/14 20228
492023 [유머] 집안에서 신발을 안신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는 미국.jpg [30] 핑크솔져16758 23/12/14 16758
492022 [유머] 트위치, 성인 컨텐츠 방송 허용으로 정책 변경. [37] 캬라17239 23/12/14 17239
492021 [유머] 오늘자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롤러코스터 멈춤 사고.jpg [19] 핑크솔져17442 23/12/14 17442
492020 [유머] 그래 난 정대만 [18] 짱구15797 23/12/14 15797
492019 [LOL] 제오페구케의 커리어 3줄 요약 [21] Leeka18484 23/12/14 18484
492018 [유머] 민며느리제를 널리 알린 전설의 그 짤 [10] Myoi Mina 15734 23/12/14 15734
492017 [LOL] 페이즈가 파엠 받고 기뻐하지 않았던 이유 [8] Leeka13537 23/12/14 13537
492016 [유머] 기립하시오! [6] 전자수도승15822 23/12/14 15822
492015 [유머] 증권맨 사귀고나서 계좌 단위가 달라졌다는 블라녀 [30] 구상만16922 23/12/14 16922
492014 [방송] 내년에 새로 개편되는 아프리카 [42] 아드리아나17576 23/12/14 17576
492013 [유머] 다음주 기온.jpg [20] 핑크솔져17562 23/12/14 17562
492012 [LOL] 뉴스에 나온 전프로게이머 [2] backtoback11919 23/12/14 11919
492011 [유머] 이번 겨울 우리를 찾아온 깜짝선물 ♡ [15] 짐바르도14452 23/12/14 14452
492010 [유머] 드디어 그 단계에 접어든 올리버쌤 딸 체리 [20] Myoi Mina 16003 23/12/14 160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