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11/03 14:05:43
Name 이호철
File #1 1.png (111.7 KB), Download : 27
출처 루리웹
Subject [게임] 스팀에서 대부분 게임에서 중국어 지원이 국룰인 이유


인구가 깡패...
스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언어 랭킹이라는군요.
부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야무인
23/11/03 14:13
수정 아이콘
근데 한국 사용자수가 대만한테 밀린다는 게 더 충격이고

일본도 의외로 콘솔 게임 위주라고 봤는데

PC게임 플레이하는 인구 비율로 따지면 또 한국하고 비슷하네요.
이호철
23/11/03 14:14
수정 아이콘
인구수 차이 대비 스팀 유저수 하면 한국이 비율상 PC를 더 많이하긴 한다는군요.
Lord Be Goja
23/11/03 14:15
수정 아이콘
일단 구현을 안해주면 그걸로 플레이를 못하는데
그러니 한국인 플레이어는 잉글리시로 하는 경우가 많죠
중국어는 한쪽 구현되면 나머지도 넣더라구요
주인없는사냥개
23/11/03 14:17
수정 아이콘
근데 번체자는 마카오 홍콩도 쓰지 않나요?
성야무인
23/11/03 14:22
수정 아이콘
요즘은 중국 정부의 시책인지 간자체도 많이씁니다.

물론 그렇다고 한들 대만, 홍콩, 마카오 합친 인구가 3천만이 조금 넘기 때문에 한국보다는 인구가 휠씬 적습니다.
크레토스
23/11/03 14:18
수정 아이콘
일단 일본서 플스 인기가 계속 줄고 있고..
게임 스트리밍이 흥하면서 다시 PC 게임이 부흥하고 있다 합니다.
일본서 스위치가 모두의 픽이면 pc랑 플스가 경쟁하는 그런 관계일걸요.
서린언니
23/11/03 15:04
수정 아이콘
코로나로 인한 원격작업. PC사용자 증가
말씀하신 인기 스트리머의 광고효과로 PC게임 인기 상승
히카리 플렛츠(광기가인터넷)의 보급
플스가 코로나때 기기 팔아먹을 기회가 있었는데 물량 부족으로 타이밍을 놓친 느낌입니다
23/11/03 22:48
수정 아이콘
정작 동기간 칩쇼티지 겪고도 플4보다 페이스는 더좋습니다
이미 일본에서 플스는 원신,스타레일,에이펙스 구동기된지 오래거든요
23/11/03 15:00
수정 아이콘
일본이 인구가 더많은데다 한국은 내수용 온라인게임들이 PC유저 대다수인거 고려하면 실PC유저수는 한국이 압살이죠
23/11/03 14:13
수정 아이콘
중국어 지원 없으면 평점 테러해서 말려죽인다는 거 보고 무섭더라구요.
Lainworks
23/11/03 14:15
수정 아이콘
중국어 지원하는 덕분에 유저한글화가 더 쉬워졌다는 말을 예전에 들었는데 요즘도 그럴라나요
사나없이사나마나
23/11/03 17:09
수정 아이콘
중국어 번역하는 유저풀이 영어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은데 그럴 수 있나요?
크레토스
23/11/03 14:16
수정 아이콘
PC게임시장 자체가 중국 비중이 워낙 높다 보니...서양선 콘솔 비중이 높으니까요. 당장 일본겜들 다 PC판 내는게 중국 이유가 크죠. 서양이랑 자국서야 콘솔로 내도 알아서 하지만 중국선 1위 콘솔이라 해도 겨우(?) 5~600만대 그쯤 밖에 안 팔렸다 보니 pc판이 필수가 되는거죠.
handrake
23/11/03 14:24
수정 아이콘
나중가면 한국 게임인구수가 더 줄텐데 한글화가 안될려나...
롯데리아
23/11/03 14:35
수정 아이콘
요즘에도 기계번역으로 내놓는 게임이 있을 지경이니 그 때 쯤이면 자동번역 성능이 더 좋아졌겠죠?
handrake
23/11/03 14:56
수정 아이콘
게임개발시에 텍스트부분은 별도파일에 저장해놓고 그부분을 자동번역하는 툴같은게 콘솔에 자체 내장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게임사도 현지화에 대한 부담이 적어질텐데
Energy Poor
23/11/03 14:35
수정 아이콘
러시아어가 생각보다 비중이 높네요
kartagra
23/11/03 15:06
수정 아이콘
러시아어를 러시아'만' 쓰는 건 아니니까요. 러시아어 화자 따지면 2.5억정도 되는데다가 러시아 쪽은 PC/모바일 게임 비중이 콘솔보다 높은 편이거든요. 어떤 의미에선 한국이랑 비슷한 느낌도 좀 있습니다. 실제로 해외 온라인 게임들 해보면 러시아 클랜들이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죠. 우러전쟁 이후 일부가 스팀 친구창에서 실종됐다는 괴담 아닌 괴담(...)도 있긴 한데, 어찌됐든 러시아 본토만 따져도 인구 1.5억쯤 되니까 아직까진 크게 영향을 줄만한 숫자는 아니죠. 앞으로는 제재까지 곁들여져서 모르겠지만.
유유할때유
23/11/03 16:01
수정 아이콘
한국어 비율은 진짜 미미하네요 ㅠㅠ
flowater
23/11/03 16:08
수정 아이콘
근데 쟤네들 공식적으로 스팀으로 게임 할 수는 있는건가요
티바로우
23/11/03 16:57
수정 아이콘
중국어사용자와 중국인과 중국거주자는 별개니까요
infinitefrontier
23/11/04 03:54
수정 아이콘
인도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9953 [유머] 일본이 미국에 기습했던 이유.jpg [57] 궤변18094 23/11/11 18094
489951 [게임] 스타2 개발자가 현타왔던 이유 [47] 꿈꾸는드래곤16398 23/11/11 16398
489950 [유머] 엄마들 사이에서 다 퍼졌었다는 바퀴벌레 [14] 메롱약오르징까꿍15675 23/11/11 15675
489949 [기타] 쓰나미 탈출 포드... [20] 우주전쟁14202 23/11/11 14202
489947 [게임] 11월 16일에 나온다는 게임기 [13] Lord Be Goja17119 23/11/10 17119
489946 [스포츠] 엠팍 좌담 근황 [11] HAVE A GOOD DAY16138 23/11/10 16138
489945 [스포츠] 오늘 한국 시리즈 경기를 본 타팀팬들.GIF [22] Pika4816094 23/11/10 16094
489944 [LOL] 공포의 부두술 [3] Lord Be Goja11359 23/11/10 11359
489943 [음식] 제목만 보고도 욕이 나올수 있는 노르웨이의 식습관 [10] Lord Be Goja16576 23/11/10 16576
489942 [유머] 징동은 어떻게 강팀이 되었나 [7] 리니어13033 23/11/10 13033
489941 [기타] 미국에 있는 어떤 묘지석의 뒷 이야기 [6] 우주전쟁14807 23/11/10 14807
489940 [유머] 공감되는 평일 퇴근 후 직장인들의 딜레마(금요일 제외).JPG [44] 독각17552 23/11/10 17552
489939 [LOL] 샌드박스게이밍,5년을 끝으로 역사속으로.. [8] Lord Be Goja14746 23/11/10 14746
489938 [기타] 30년간 배스킨라빈스 판매 순위 TOP10 [54] 아롱이다롱이17174 23/11/10 17174
489937 [유머] 중국 버튜버 업계 핵폭탄 [26] Myoi Mina 16366 23/11/10 16366
489936 [유머] 전쟁포로 클리셰.manhwa [15] 메롱약오르징까꿍12907 23/11/10 12907
489935 [서브컬쳐] 블루 아카이브 근황 [30] terralunar13327 23/11/10 13327
489934 [연예인] 모델 교체로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는 디스커버리 [47] 묻고 더블로 가!17766 23/11/10 17766
489933 [기타] 오늘 공개된 남현희의 전청조 소개 녹취.."SK, 삼성보다 돈 많아" [24] 아롱이다롱이15779 23/11/10 15779
489932 [유머] 미국, 일본, 한국의 맥도날드 광고 [15] Pzfusilier15778 23/11/10 15778
489931 [유머] 여자둘 기싸움 [23] 메롱약오르징까꿍18353 23/11/10 18353
489930 [유머] 엄마가 임신해서 삐진 아들 [11] 메롱약오르징까꿍17599 23/11/10 17599
489929 [유머] 엄마 나 80만원만 카운터 [8] ggg23414702 23/11/10 147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