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25 16:52:58
Name 시나브로
File #1 화면_캡처_2023_09_25_164137.jpg (41.4 KB), Download : 26
File #2 화면_캡처_2023_09_25_164246.jpg (50.9 KB), Download : 8
출처 네이버, 나무위키
Subject [기타] 태평양 크기 유라시아 정도 될까?




'면적이 165,200,000㎢에 달하여 지구 표면적의 1/3, 지구 바다의 1/2를 차지하며, 지구에서 가장 큰 바다이다. 지구 육지의 총면적이 약 149,000,000㎢이므로 지구의 모든 육지 면적을 합쳐도 태평양보다는 작다. 베트남 통킹 만 앞바다의 대척점은 페루와 칠레 사이의 앞바다인데 둘 다 태평양에 속한다. 즉 태평양은 대척점(지구 중심에 대하여 지구상 한 지점의 반대측 지점)이 똑같은 태평양인 수역이 있을 정도로 거대하다는 것이다.'



아래 일본 영토, 홋카이도 크기 글들 보고 얼마 전 알아본 거 생각나서 올립니다.

지구의 70%가 바다고 바다 중에 가장 큰 바다(위 보면 지구 전체 바다의 반이라고; 그냥 지구 전체 표면적의 1/3인 수준)가 태평양이니 그럴 만함..

평면 지도 크기, 실제 크기 차이도 당연히 알았는데 감안해도 유라시아 엄청 크다고 생각해서 간과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덕선생
23/09/25 16:54
수정 아이콘
메르카토르로 본 러시아가 무지막지하게 뻥튀기되서 그런 감이 있죠 크크
시나브로
23/09/25 17:03
수정 아이콘
거품 줄여도 엄청 크긴 하지만 흐흐 압도적 세계 1등. 그리고 아프리카 생각보다 더 크고. +북중미, 중남미, 남극, 호주 대륙 지구 전 대륙인데. 그냥 태평양을 과소평가 했어요. 지구 70% 바다, 그중 반은 태평양만 상기했어도..
23/09/25 17:00
수정 아이콘
시원하다못해 서늘하네요. 호달달
종말메이커
23/09/25 17:01
수정 아이콘
수구네 수구
시나브로
23/09/25 17:01
수정 아이콘
정말 지구 면적의 1/3..
탑클라우드
23/09/25 19:37
수정 아이콘
외계인 : "지구라는 별을 발견했는데, 왠 물 밖에 없더만"
23/09/25 17:02
수정 아이콘
유라시아보단 당연히 클거 같았는데 육지 총면적 보다 크다는건 덜덜 하네요.
시나브로
23/09/25 17:0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아프리카 대륙 정말 무지막지한데.. 그냥 저기 하나가 한 세계 같은 곳인데. +북중미, 중남미, 남극, 호주 대륙..
일반상대성이론
23/09/25 17:08
수정 아이콘
그 넓은 러시아가 지구표면의 3퍼센트 밖에 안됨…
엑세리온
23/09/25 17:44
수정 아이콘
헐 이게 더 충격이네요
새벽살이
23/09/25 18:07
수정 아이콘
와 찾아보니까 지구 표면적이 5억 천만 제곱키로미터, 러시아 면적이 1700만 제곱키로미터 정도 되네요.
평면 지도의 왜곡이 생각보다 크군요
지니팅커벨여행
23/09/25 18:55
수정 아이콘
요즘들어 보니 러시아 완전 거품이군요
오피셜
23/09/25 17:26
수정 아이콘
마젤란이 태평양 처음 횡단할 때, 말로는 평화로운 바다 어쩌고 했지만 실상은 언제까지 이러고 가야될지 몰라서 덜덜 떨었을 듯.
23/09/25 17:27
수정 아이콘
태평양의 압도적 넓이를 볼 때마다 저 대양을 통통배타고 누볐던 폴리네시아인들의 위대함을 느낍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09/25 17:34
수정 아이콘
가운데 대륙 하나쯤은 있으면 편안할텐데 크크
及時雨
23/09/25 18:04
수정 아이콘
아틀란티스!
-안군-
23/09/25 19:01
수정 아이콘
어허 태평양은 무대륙이란 말입니다!
VictoryFood
23/09/25 19:15
수정 아이콘
르뤼예?
23/09/25 17:37
수정 아이콘
저 막대한 양의 바닷물은

언제 만들어진건가요?
시나브로
23/09/25 17:38
수정 아이콘
수십 억 년 전 어디서 물을 머금은 운석들이 떨어져서 어쩌구..
루카와
23/09/25 18:09
수정 아이콘
저번에 유튜브에서보니까 어느 지구과학교수님말론 저 바닷물은 비교도안될만큼 지구맨틀에 어마어마한 물이 내포되어있다더군요.
지표면은 진짜 그저껍데기에불과하고 지구내부가 찐이죠 크크
23/09/25 19:39
수정 아이콘
노아의 홍수 때 생겼습니다.
23/09/25 19:36
수정 아이콘
우주에서 보면 푸른 점이라 할만하네요
20060828
23/09/25 20:05
수정 아이콘
저길 카누로 항해할 생각을 하다니.. 아 몰라서 가능했나?흐흐
애플프리터
23/09/25 22:58
수정 아이콘
영화중에 지구에 물강탈하러온 외계인이 나오는 영화가 있는데, 알고보니 Moon보다도 작은 목성 유로파에 지구 2배만큼의 물이 있다고, 지구올 필요 없다고 지적하던 게 기억나네요.
그레이퍼플
23/09/26 01:24
수정 아이콘
물 자체는 더 많지만, 매우 두꺼운 얼음 지층(20-30 km) 아래 물이 있어서 물을 캐는 건 지구가 더 편하긴 하죠. 얼음 상태의 물도 괜찮다면 그냥 목성 주위에 돌고 있는 얼음들만 주워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9430 [게임] 창세기전 모바일 플레이 영상 [39] 네야12523 23/11/03 12523
489429 [방송] 핑계고 근황.mp4 [173] insane22852 23/11/03 22852
489427 [LOL] 현재 도인비 방송 상황 [26] 그 닉네임14694 23/11/03 14694
489426 [유머] 여친특 [22] 메롱약오르징까꿍15405 23/11/03 15405
489425 [LOL] 이번 시즌 쵸비와 젠지의 포스를 단 두장으로 표현하면 [25] EnergyFlow10974 23/11/03 10974
489424 [음식] 과자의 칼로리 순위 [35] 퍼블레인13490 23/11/03 13490
489423 [기타] 구해줬더니 그 사람을 보상으로 받음 [12] 묻고 더블로 가!14417 23/11/03 14417
489422 [기타] 회사를다니면서겪게되는여러상황들 [17] 서귀포스포츠클럽14023 23/11/03 14023
489421 [기타] 피지알 형님들이 좋아할 초콜렛 [14] 서귀포스포츠클럽14348 23/11/03 14348
489420 [LOL] ?? 드라마에 출연한 쵸비 [9] 아롱이다롱이12362 23/11/03 12362
489419 [LOL] 알고보니 케이티의 소원을 들어줌 [9] Leeka11105 23/11/03 11105
489418 [유머] 1:1 과외의 단점 [8] 레드빠돌이13025 23/11/03 13025
489417 [서브컬쳐] 범죄자 체포하는 manhwa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9852 23/11/03 9852
489416 [LOL] "젠지 vs BLG" 해외 전문가들의 승부예측 [25] 아롱이다롱이12817 23/11/03 12817
489415 [게임] 스팀에서 대부분 게임에서 중국어 지원이 국룰인 이유 [22] 이호철12934 23/11/03 12934
489414 [LOL] 협곡 슬릭백 [1] 아드리아나9533 23/11/03 9533
489413 [유머] 11월 KBS 신작드라마 포스터.jpg [23] 핑크솔져13682 23/11/03 13682
489412 [연예인] 웃음참기 [9] 12382 23/11/03 12382
489411 [게임] 창세기전 새 티저영상 [49] STEAM13420 23/11/03 13420
489410 [유머] 야구를 거의 끊었다는 박보영.jpg [5] 핑크솔져13472 23/11/03 13472
489409 [LOL] 아프리카TV 그마서폿 유저가 알려주는 티어 탈출하는 법.jpg [16] insane11105 23/11/03 11105
489408 [스포츠] LG트윈스팬이 사비 들여 건물 하나를 LG응원 현수막으로 덮어버림 [31] 호시노 아이12297 23/11/03 12297
489407 [유머] 메이플 사기사건 예언 [6] 짱구11863 23/11/03 118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