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05 12:12:12
Name 캬라
File #1 1234.png (2.14 MB), Download : 38
출처 루리웹
Subject [유머] 25년차 프로 발라더가 말하는 발라드 쇠퇴.jpg


지금 기준으로 예전 발라드 감성을 다시 느껴보면 좀 답답하긴 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기반찬
23/09/05 12:13
수정 아이콘
바르샤 감독이 왜 저기서 나오죠
꿀깅이
23/09/05 12:14
수정 아이콘
중간에 축구틀어놨답니다
고기반찬
23/09/05 12:16
수정 아이콘
??: 답답해서 내가 뛴다(벌써 재밌음)
시무룩
23/09/05 12:33
수정 아이콘
저기는 벌써 싸비가 나오는데 우리 감독은 뭐하냐!
네이버후드
23/09/05 18:42
수정 아이콘
헤어지면 한잔 할 수 있자나요
일반상대성이론
23/09/05 12:16
수정 아이콘
그래서 더 돌아가서 클래식 듣는중…
아무리 들어도 귀에 익는 속도가 느려요 크크
작은대바구니만두
23/09/05 12:16
수정 아이콘
풍부한 감정이란건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가능..
맹렬성
23/09/05 12:16
수정 아이콘
sns차단 당하면 거기에 대해서 곡을 쓰고(?)
Zakk WyldE
23/09/05 13:00
수정 아이콘
힙합 감성??
EurobeatMIX
23/09/05 12:18
수정 아이콘
애당초 멜로디만 가지고 들었던 터라 저는 그냥저냥 똑같이 듣습니다. 예전노래 자체를 잘 안듣게되긴 했지만.
옥동이
23/09/05 12:29
수정 아이콘
쿨한시대에 뭔가 끈적한 느낌이죠....그래도 저는 저런 낭만이 좋습니다
스팅어
23/09/05 12:33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봤던거 같은데, 사람들은 자신이 20대때 들었던 장르의 음악을 계속 듣게 된다였나?
그래서 아직도 발라드가 제일 좋습니다.
시무룩
23/09/05 12:37
수정 아이콘
원래부터 발라드를 잘 듣지 않는 편이라 예전이랑 크게 다를거 없이 좋아하는 몇 곡만 듣네요..
그리고 가사도 엄청 못듣는 편인데다 내용을 신경 안쓰다보니 너무 확 꽂히게 이상한 가사만 아니면 내용은 별로 중요하지 않구요
아이폰12PRO
23/09/05 12:37
수정 아이콘
원래도 안 좋아했는데… 지금도 여전히 크크…
최강한화
23/09/05 12:45
수정 아이콘
쿨 노래를 리메이크해서 발라드풍으로 부르면 아직도 어울리는 곡이 많을...
23/09/05 12:47
수정 아이콘
그냥 대즁암악씬에사 돈이 안되니꺼 사라진거죠
23/09/05 12:48
수정 아이콘
영상물도 무언가 복선을 깔고 큰그림을 그리는(?) 적당히 고구마좀 섞는 느린 방향보단 사이다가 유행이라 예전같았으면 먼치킨물이라 욕먹던것들이 유행하죠.
알빠노
23/09/05 12:5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비해 좋은 멜로디를 지닌 곡을 못 뽑는게 크다 봅니다. 계속 곡은 쌓이는데 표절시비 안 걸리고 안 겹치게 새로운 멜로디 뽑는게 어렵긴 할겁니다
멍멍이개
23/09/05 14:08
수정 아이콘
발라드는 좋은 멜로디 들을려면 인트로 끝나고 빌드업되고 1분 지나서 나오기 시작한 다음부터 또 10초를 더 들어야 한번을 다 듣는데 요새는 시작하자마자 멜로디 10번쯤 반복하죠; 맞다이에서 이길 수가 없는...
긴 하루의 끝에서
23/09/05 12:58
수정 아이콘
본문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바가 사회 보편적인 현상일지 특정 세대(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만 나타나는 현상일지 궁금하네요.
서린언니
23/09/05 1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떨리는 수화기를 들고 너를 사랑해 눈물을 흘리며 말 해도 아무도 대답하지 않고 야윈 두손엔 외로운 동전두개 뿐
人在江湖身不由己
23/09/05 15:58
수정 아이콘
동전? 비트코인?
종말메이커
23/09/05 13:29
수정 아이콘
나를 그 사람이라고 생각해도 돼요~ 그대만 내 곁에 있으면~
음란파괴왕
23/09/05 13:40
수정 아이콘
그 좀 정형화 된 그게 질리는 느낌이죠. 최근에 또 뭐 히트친거 하나 있던데 전주부터 벌써 지침.
23/09/05 13:44
수정 아이콘
사랑 한번 하려면 목숨은 기본이죠
안전마진
23/09/05 13:46
수정 아이콘
언젠가 너의 집앞을 비추던 골목길 외등 바라보다
길었던 나의 외로움에 끝을 비로소 느꼈던거야

진짜 제대로 된 가사며 노래는 이런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 이때 사춘기)
WalkingDead
23/09/05 13:48
수정 아이콘
확실히 체감상 옛날에 비해 발라드 입지가 많이 쪼그라든 것 같긴 합니다. 그래도 제 휴대폰 재생목록의 대부분은 나윤권, 김동률, 성시경, 김범수, 박효신 노래네요
인생을살아주세요
23/09/05 13:51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나니까 연애, 이별감성에 공감을 몬하겠어요.. 예전에 차이고 질질 짜면서 들을 때는 그렇게나 내 얘기 같았는데..
물론 옛날에 잘 듣던 노래는 지금도 가끔 꺼내 듣긴 합니다
바람의바람
23/09/05 13:51
수정 아이콘
Tv에서 유튜브로 유튜브에서 쇼츠나 릴스로...
지금은 짪은시간내에 최대한 임팩트를 다 때려넣어야 하죠
발라드도 시대에 맞춰 변화할지 궁금합니다
23/09/05 14:10
수정 아이콘
샘플링은 원곡보다 1.2 배정도는 빨리 돌려야 하죠.
터치터치
23/09/05 13:58
수정 아이콘
적어지긴 했죠

최근 2년 내에 기억나는 건

내가 아니라도
헤어지자 말해요
추억은 만남보다 정도 밖에 없네요
트리거
23/09/05 13:58
수정 아이콘
뭔가 아련함이 사라진 시대긴 하죠. 헤어져도 그립다 보고싶다 싶으면 sns로 닌자짓해도 되고...
꽑꽑꽑
23/09/05 14:06
수정 아이콘
듣긴 많이 듣는데 그때 그 시절 발라드 곡들만 듣네요
리얼월드
23/09/05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유행이 아닌거죠 뭐...
징버거
23/09/05 14:22
수정 아이콘
니가없는 거리에는~ 내가할일이 없어서~ 스마트폰을 꺼내서~ 니 인스타를 염탐하지~
카마인
23/09/05 18:26
수정 아이콘
『비공개 계정입니다.』
23/09/05 14:30
수정 아이콘
옛날에는 연인되면 죽을 확률이 높았는데 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망률이 낮아진 게 원인인 듯
이오르다체
23/09/05 14:34
수정 아이콘
제가 듣기에 이제 발라드 멜로디 코드는 진짜 거기서 거기인듯 싶은.. 나올 멜로디는 다 나온 것 같습니다.
23/09/05 14:37
수정 아이콘
발라드가 다루는 주제의 폭이 너무 좁죠. 요즘은 sns 시대로 대변되는 만큼 음악도 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나의 이야기 중 만남, 이별 밖에 할 수가 없으니까요. 그만큼 발라드라는 장르에서 노래에 메세지를 담고 전달하는 난이도가 올라갔어요. 시대가 변했다기 보다 문화가 발전하면서 오는 장르의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게임도 예전이 더 획기적이었다고 하는데 현재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그 정도 밖에 못 보여주면 고평가 못 받죠.
인민 프로듀서
23/09/05 14:41
수정 아이콘
드라마는 사운드트랙으로 발라드 많이 뽑지 않나요 요즘도?
펭귄방패
23/09/05 14:42
수정 아이콘
지금 어린세대들에게 어찌 낭만이 없겠습니까? 감정은 같을지라도 감정의 속도가 세대마다 다르고 표현의 방식이 다른게 아닐까요? 저는 사실 과거의 발라드가 지녔던 위상을 현재는 소위 감성힙합이라는 장르가 차지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23/09/05 14:53
수정 아이콘
크크크 공감 sns 차단 당하면 사실상 죽는거죠 뭐

사실 요즘도 발라드 많긴하죠. 다만 저희 세대랑 안맞을 뿐.
폴킴,마크툽,로이킴,멜로망스는 알아도 우디,산들,적재,임재현 등 여기서는 아는분들 거의 없을테니까요ㅠ
페로몬아돌
23/09/05 15:05
수정 아이콘
락은 첨부터 소리 조지는 데도 할배 음악이죠 크크크 그냥 현 시대가 발라드를 안 좋아 하는거라
회색사과
23/09/05 15:08
수정 아이콘
반대로 요새 곡들은 싸비만 있는 느낌이라 노래 들었다는 생각이 잘 안 듭니다. (제가 늙은이인 거겠죠)
CM송 듣는 기분이에요.
클레멘티아
23/09/05 15:16
수정 아이콘
낭만의 시대가 끝나는거죠 뭐..
산다는건
23/09/05 15:31
수정 아이콘
음악도 유행이죠. 80년대말 90년대초에는 발라드가 혁신이었고, 젊은이들의 감성이었죠.
그 이전세대는 록, 밴드음악이었고, 더 이전세대는 통기타 음악이었고.
00년대는 댄스음악이, 10년대는 힙합음악이 젊은 감성이었고요.
발라드는 그냥 시대와 함께 사라지는거고, 가끔 아웃라이어들이 나와서 명맥을 이어가는거죠.
이탐화
23/09/05 15:33
수정 아이콘
발라드라는 장르 자체가 정점을 한번 찍고 더 새로울게 없어서 그런게 제일 크다고 봅니다
DeglacerLesSucs
23/09/05 15:40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발라드는 유행 안타는 국밥처럼 여겨진게 수십년이었는데 어느새 시대가 변하긴 한거 같아요. 그럼에도 드라마 OST가 있는 한 명맥이 이어지긴 할겁니다 사람들이 지겹고 답답해하는 감정의 빌드업을 드라마가 대신 해줄테니까요. 감정과잉으로 여겨지기 쉬운 발라드 감성을 드라마의 극적인 내용이 커버해주기도 하고
페스티
23/09/05 15:42
수정 아이콘
글쎄... 그냥 노래 좋게 만들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발라드 절정부분으로 틱톡 바이럴 함 조져주면 뜨지 않겠어요?
노노리리
23/09/05 15:51
수정 아이콘
왜 프로 보디빌더로 봤지...
The)UnderTaker
23/09/05 15:52
수정 아이콘
발라드야 말로 요즘 쇼츠 혜택 보기 쉬운 장르아닌가요?
그리고 불과 몇년전에 인기끈 발라드들 무지많고 그때 노래들 아직도 노래방 인기곡에 차트진입되어있는데 딱히 공감가진않군요
지구 최후의 밤
23/09/05 15:55
수정 아이콘
트렌드가 안 맞는 것 같긴 해요.
요새 노래는 2분대도 많더군요.
해당 노래들이 보통 도입부를 많이 축약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발라드는 감정선과 서사 구축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보는데 그게 요새 영상의 원본을 축약한 리뷰도 스킵하며 보는 세대에겐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톤업선크림
23/09/05 16:11
수정 아이콘
성시경 저 얘기는 10년 전 마녀사냥 때도 했는데 크크
그냥 헤게모니가 지난거죠 뭐 그럼에도 좋은 노래 나오면 찾아들을거고요
노래하는몽상가
23/09/05 17:17
수정 아이콘
저래서 그런건지 몰라도
간혹 나오는 싱글이 영 별로더라구요 귀에 전혀 안감기는..
마지막 정규앨범이 나쁘지 않긴했는데 본인도 댄스곡을 타이틀로 했었고;;
성시경 본인이 지겨운거지 대중은 발라드하면 발라드대로 좋아할텐데 말이죠.
오피셜
23/09/05 19:22
수정 아이콘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가 그해에 제일 오래 멜론1위 했던 것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182 [기타] 헤어커트 하러 온 여교사 [25] 아롱이다롱이16085 23/09/21 16085
487181 [게임] 2023년 하반기 최고 기대작 [9] roqur15171 23/09/21 15171
487180 [연예인] 여초에 속속 올라오는 '천박사 퇴마연구소'후기 [18] 명탐정코난15262 23/09/21 15262
487179 [유머] 안합니다 [46] 삭제됨14287 23/09/21 14287
487178 [LOL] 이제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써도 되는 이유 [7] 카루오스10625 23/09/21 10625
487177 [기타] 산미치광이 실제크기 체감 [21] 인민 프로듀서14447 23/09/21 14447
487176 [유머] 영화배우 유머 [33] ELESIS15021 23/09/21 15021
487175 [스포츠] 헌신적 내조로 유명한 야구선수 와이프.. jpg [38] phenomena16096 23/09/21 16096
487174 [유머] 나무위키 야구 문서 근황.jpg [12] Starlord12417 23/09/21 12417
487173 [동물&귀욤] 엄마아빠가 볼 뽀뽀 해줄 때 아들딸 반응 차이.ytb [6] VictoryFood10429 23/09/21 10429
487172 [게임] 서양에서 핫한 최고의 JRPG 논쟁 [121] 프로불편러17506 23/09/21 17506
487171 [유머] 하이브 금감원 투자판단관련 주요경영사항 공시 [11] Leeka10785 23/09/21 10785
487170 [기타] 유럽 각 국가들 마지막 사형 집행 시기 [53] 쎌라비13337 23/09/21 13337
487168 [유머] 하루 사이 맛이 확 달라진 미숫가루.jpg [7] 한화생명우승하자13102 23/09/21 13102
487167 [기타] 스포츠 워치 한정 애플도 안 부럽다는 브랜드... [36] 우주전쟁12999 23/09/21 12999
487166 [기타] 날씨가 선선한게 가을이 오나보네요 [7] 메롱약오르징까꿍10893 23/09/21 10893
487165 [기타] 카피바라 실제 크기 체감 [21] 묻고 더블로 가!12328 23/09/21 12328
487164 [기타] 아빠밥과 아들밥의 진실 [27] 쎌라비15304 23/09/21 15304
487163 [기타] 은근히 많다는 회사원 유형 [32] 쎌라비15950 23/09/21 15950
487162 [유머] 흩날려라 천본앵 당한 연예인 [21] Myoi Mina 13410 23/09/21 13410
487161 [기타] 아이폰15프로의 티타늄은 지문이 잘 묻습니다 [21] Lord Be Goja11560 23/09/21 11560
487160 [유머] 사고친거 2달째 안걸렸는데 맘 놓아도 되냐?.jpg [32] Myoi Mina 13391 23/09/21 13391
487159 [유머] 1주전 이혼한 염경환한테 연애상담 했었던 홍진경.jpg [2] Myoi Mina 12819 23/09/21 128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