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8/17 12:56:45
Name 길갈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유머] 기술의 한계로는 막을 수 없던 창의력



초등학교 때 씽크빅이랑 구몬쌤 다들 했나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8/17 13:00
수정 아이콘
이때 영화는 진짜 착시예술에 가까워서...
진짜 대단하다는 말밖에 안나오죠.
서린언니
23/08/17 13:02
수정 아이콘
아날로그 특수효과
비뢰신
23/08/17 13:06
수정 아이콘
아름답네요 후덜
raindraw
23/08/17 13:09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멋지네요. 이런 것들 볼 때마다 감탄합니다.
김밥먹고얌얌
23/08/17 13:16
수정 아이콘
수십년전 oled기술력이군요
그당시에도 탑급영상물들은 볼만했을듯
인생은에너지
23/08/17 13:17
수정 아이콘
그 반지의제왕 원근감이용한 것도 볼때마다 놀랍습니다
탑클라우드
23/08/17 13:27
수정 아이콘
요즘은 아예 배경에 LED 스크린으로 화면 띄워놓고 촬영을 하니...
저 때에 비하면 여러모로 참 편리해지긴 했다 싶어요
MC_윤선생
23/08/17 13:40
수정 아이콘
진짜 이런거 보면 존경스러워요.
세츠나
23/08/17 13:57
수정 아이콘
당시부터 메이킹 필름이라는 개념이 있었나? 싶은데 한편 메이킹 필름 자체가 엄청 새로운 아이디어도 아니고
옛날일수록 오히려 와 우리 메이킹 필름을 남기면 쩔겠는데? 같은 생각을 더 많이 했을 것 같기도 하네요.
카사네
23/08/17 14:18
수정 아이콘
낭만있네요
23/08/17 14:23
수정 아이콘
카메라 앞에 그림을 놓는 매트 페인팅 기법이군요. CG의 직계조상님이고 지금도 경우에 따라서는 같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되게 좋아하는 분야입니다.
23/08/17 15:18
수정 아이콘
기술의 한계 때문에 창의력을 발휘하는 게 아닌가요? 크크크
23/08/17 15:42
수정 아이콘
제가 어렸을 때 가장 재미있게 봤던 다큐멘터리가 저런 영화속의 특수효과를 어떻게 구현했는지에 대한 것이었는데, 요즘엔 그런 낭만(?)이 사라져서 좀 아쉽습니다.
동굴범
23/08/17 16:03
수정 아이콘
창의력은 한계(규제? 제한?)에서 나온다. 끄덕끄덕
제육볶음
23/08/17 16:53
수정 아이콘
어릴 때 CG가 아니라 특수효과팀이라는 타이틀이 너무 낭만있어보였드랬죠
No.99 AaronJudge
23/08/17 16:55
수정 아이콘
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5543 [기타] 무시못할 인도의 우주 기술력 [24] 우주전쟁15500 23/08/23 15500
485542 [유머] 나는 이제 죽음이요 [1] 토루10613 23/08/23 10613
485541 [기타] 곽튜브가 말하는 한류의 현실 [39] 아롱이다롱이17412 23/08/23 17412
485540 [기타] 만약 1분뒤에 죽는다면 뭘 하시겠습니까? [45] 쎌라비12873 23/08/23 12873
485539 [기타] 요즘 누나들 가슴에 불 지른다는 미국 어린이 [10] 쎌라비17194 23/08/23 17194
485538 [기타] 초코 송이 충격 근황 [16] 쎌라비15112 23/08/23 15112
485537 [기타] ??: 이럴거면 그래픽카드에 본체를 달던가..뭐하는 짓이람 [8] Lord Be Goja10174 23/08/23 10174
485536 [LOL] T1은 감독대행체제로만 월즈에 진출했다. [16] Leeka9737 23/08/23 9737
485535 [LOL] 23 서머 감독 개노답 3형제다! [28] Leeka10239 23/08/23 10239
485534 [LOL] 중깎마 [12] 만찐두빵10286 23/08/23 10286
485533 [LOL] 롤판에서 가장 잔인하고 양심없는 트래시토크 [13] Leeka9168 23/08/23 9168
485532 [LOL] 롤서운 사실 : GDB는 쵸비 없이 우승한적이 없다 [12] Leeka9392 23/08/23 9392
485531 [연예인] 일본 아이돌의 인사법 [15] 피죤투13059 23/08/23 13059
485530 [음식] 야생버섯 취식이 위험한 이유 [28] 톰슨가젤연탄구이13415 23/08/23 13415
485529 [LOL] 돌고돌아 또 너네냐 [18] Leeka10974 23/08/23 10974
485527 [유머] 진짜 게못살겠다. [19] 판을흔들어라11759 23/08/23 11759
485526 [유머] 35살들 특징.jpg [41] Aqours15550 23/08/23 15550
485525 [유머] 등교할 때 1.5억짜리 차를 타고 다니는 대학생 [7] Aqours11875 23/08/23 11875
485524 [LOL] 이번 회차 다큐 제목은 '운영'입니다 [7] Lord Be Goja8237 23/08/23 8237
485523 [LOL] 보스턴 밤비노의 저주, 컵스 염소의 저주가 있다면 [51] 갓기태10867 23/08/23 10867
485522 [유머]  윤아가 새벽 늦게 자는 이유 [16] Aqours10890 23/08/23 10890
485521 [유머] 그 시절 원시고대 탕후루 [15] 길갈10471 23/08/23 10471
485520 [유머] 남편을 위해 아침밥 차려주는 와이프..jpg [3] Aqours10667 23/08/23 106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