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8/17 06:28:26
Name 퀀텀리프
File #1 20230817_062449.png (219.1 KB), Download : 31
File #2 20230817_062520.png (244.6 KB), Download : 8
출처 너투브
Link #2 https://youtu.be/dN4JN1keQAk?t=127
Subject [기타] 빛을 관찰하기






빛을 초당 10조프레임으로 촬영함.
차단된 공간안에 당구공처럼 움직임.
아인슈타인이 사고실험하던것을 실제로 보는것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드오드
23/08/17 06:35
수정 아이콘
촬영이 가능한게 엄청 신기하네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3/08/17 06:51
수정 아이콘
나머지는 이해가 되는데 첫짤은 좀 이해하기 힘드네요 어떻게 찍은거지;
jjohny=쿠마
23/08/17 07: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좀 더 자세한 영상이 있네요.
한 유튜브 채널이 이 촬영장비를 개발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즉, 칼텍) 연구실에 직접 방문해서 제작한 영상입니다. (한글자막도 있습니다)
https://youtu.be/7Ys_yKGNFRQ

아마 본문 영상이 이 영상을 따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8/17 07: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매질이 뭔가 했는데 수증기였나 보네요.
jjohny=쿠마
23/08/17 07: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인슈타인이 사고실험하던것]을 실제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
영상에서 언급한(언급하고자 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은 좀 다른 내용이라서요. 영상에서도 그런 취지로 언급된 것은 아닌 것 같고요.
비선광
23/08/17 13:27
수정 아이콘
네 그냥 시간남아서 이런저런 빛 관련 썰풀면서 사고실험을 껴넣은 느낌...저기서 빛말고는 정지되어있으니
ModernTimes
23/08/17 07:25
수정 아이콘
특히 반사와 투과가 동시에 관찰되는 모습이 멋지네요.

관측하는 순간 상자속의 고양이가 어쩌고 저쩌고.
다시마두장
23/08/17 09:01
수정 아이콘
저걸 캐치해내는 인간의 기술력이 경이롭네요.
터치터치
23/08/17 09:34
수정 아이콘
와 통속에서 공처럼 여기저기 튀는 거 멋있네요

연속되는 빛의 입자를 저렇게 짧은 단위로 어떻게 끊어내는지는 궁금하군요
raindraw
23/08/17 10:19
수정 아이콘
저기 설명에 따르면 카메라 하나가 아니라 수백대(혹은 더 많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각각 촬영한 뒤 합성해서 이미지 만드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다 해도 그 카메라 한대 한대가 엄청난 고속 촬영을 지원할 것 같네요.
터치터치
23/08/17 10:55
수정 아이콘
아하!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루카와
23/08/17 10:03
수정 아이콘
하지만 빛... 넌 너무 느리구나. 이 우주에 비해서말이지
에린의음유시인
23/08/17 10:42
수정 아이콘
유투브 내용보면 빛의 속도로 여행하는 입장이 되면 몇 백만 광년 거리를 몇 년만에 갈 수 있다는데 가능한 이야기인가요
23/08/17 11:24
수정 아이콘
광년 자체기 빛의 속도로 갈 수 있는 거리니까 광년 거리는 광년거리입니다. ㅠ
23/08/17 11: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빛이 1광년의 거리를 가는데 1년이 걸린다는 것은 외부에서 관측했을 때 이야기고, 실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선 안에서는 시간이 엄청 느리게 흘러서 체감하는 시간은 훨씬 짧게 될 겁니다. 아래 기사의 계산에 따르면 빛의 99.999999% 속도로 비행하는 우주선은 14만광년의 거리를 체감 시간으로는 20년만에 갈 수 있다고 합니다.
http://scienceon.hani.co.kr/486051
23/08/17 11:32
수정 아이콘
아 그런거군요. 잘 몰랐습니다.
Dark Swarm
23/08/17 12:27
수정 아이콘
빛의 속도 100%로 이동하면 이동하는 당사자의 시간은 전혀 흐르지 않으니 체감상으로는 말 그대로 순식간에 도착했겠죠.
외부에서 볼 때는 다르겠지만
VictoryFood
23/08/17 15:09
수정 아이콘
그럼 워프 항법이라는게 사실은 광속으로 날아가는 거라 순식간에 이동하는 거 아닐까요?
고등어자반
23/08/17 11:51
수정 아이콘
그런데 감속하는 과정에서 도루묵이 되는 것 아닌지요?
Dark Swarm
23/08/17 12:26
수정 아이콘
빛의 속도로 갈 수 있는 기술이면 감속도 빠르게? 될 수 있겟죠
nm막장
23/08/17 12:48
수정 아이콘
급하게 감속하면 묵사발이 될지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5375 [스포츠] 류현진 딸깍 [20] Avicii10533 23/08/21 10533
485374 [기타] 주간 갤럭시 S24 루머 모듬 [21] Lord Be Goja10697 23/08/21 10697
485373 [LOL] 딜라이트의 인생을 바꾼 카톡과 딜라이트의 대답 [38] Leeka10509 23/08/21 10509
485372 [LOL] 울피셜 : 기사도 정신이 없는 젠지 [52] Leeka10707 23/08/21 10707
485370 [유머] 너무 무서운 북한의 도발 [56] Avicii13609 23/08/21 13609
485369 [LOL] KT 결승전 사진... [16] 린 슈바르처9251 23/08/21 9251
485367 [동물&귀욤] 고양이와 아빠 [15] 길갈7813 23/08/21 7813
485366 [기타] 마춤법 실력 늘리는게 어렵지 않은 이유 [21] TQQQ9855 23/08/21 9855
485365 [유머] 아랫글 통키 실사 영화가 원작 고증인 이유 [10] 카즈하9530 23/08/21 9530
485364 [기타] 드래곤볼 만화책 정발 근황.jpg [4] 고쿠9862 23/08/21 9862
485363 [유머] 피구왕통키 실사영화 [10] Croove10126 23/08/21 10126
485362 [서브컬쳐] 임신했는데 지우라는 말을 들은 아가씨 [6] roqur11550 23/08/21 11550
485361 [LOL] 쵸비 내일 시구.jpg [16] 핑크솔져10575 23/08/21 10575
485360 [유머] 연차 안 쓰고 주말 괌 여행가기.jpg [75] 핑크솔져14014 23/08/21 14014
485359 [유머] 약후) 레슬링 경기가 위험한 이유.gif [15] 메롱약오르징까꿍14859 23/08/21 14859
485358 [유머] 관객 조작 죄송하긴 한데 그냥 봐주십쇼 [30] 리니어15314 23/08/21 15314
485357 [유머] 충분히 발달한 과학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39] 인민 프로듀서12921 23/08/21 12921
485356 [LOL] DFM & 유타폰 "22연속 결승 진출, 6연속 우승 달성" [3] Leeka6810 23/08/21 6810
485355 [유머] 커플 데드리프트 [8] 메롱약오르징까꿍9451 23/08/21 9451
485354 [유머] (얏후) 어떻게 한건지 궁금해지는 문신.jpg [19] 캬라13964 23/08/21 13964
485353 [LOL] 1년반 사이에 뒤집힌 커리어 [44] 껌정11407 23/08/21 11407
485352 [LOL] 룰러 선정 LCK 바텀 라이너 순위 [2] Leeka8469 23/08/21 8469
485351 [LOL] 페이즈의 압도적인 킬캐치 능력 [15] Leeka9118 23/08/21 91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