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22 15:42:31
Name 츠라빈스카야
File #1 4000.jpg (52.0 KB), Download : 83
출처 네이버 도량형 환산기
Subject [기타] 왜 1300미터 인증 유리로 4천미터 잠수를 했을까



1300미터 -> 약 4200피트.

....설마 또 야드파운드 너때문인거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johny=쿠마
23/06/22 15:44
수정 아이콘
아앗... 설마... 하아....

아닐 것 같긴 하지만 진짜 그랬다고 해도 그런가보다 하겠네요.
덴드로븀
23/06/22 15:44
수정 아이콘
어...어어
동굴곰
23/06/22 15:49
수정 아이콘
맞는거같은데...
Valorant
23/06/22 15:51
수정 아이콘
설마..?
Jedi Woon
23/06/22 15:51
수정 아이콘
서.....설마......진짜는 아니겠지....?
23/06/22 15:51
수정 아이콘
어.. 진짜 맞는거 같은데;;
23/06/22 15:56
수정 아이콘
이렇게 또 하나의 피로 쓰여진 안전매뉴얼이..?
WalkingDead
23/06/22 16:02
수정 아이콘
단위 실수가 맞다면...화성 탐사선 사고도 유사한 부류가 있었던것 같은데...
DownTeamisDown
23/06/22 16:11
수정 아이콘
단위실수라면... 이게 또
보로미어
23/06/22 16:14
수정 아이콘
와 이거 성지가 될 것 같은 느낌이
terralunar
23/06/22 16:31
수정 아이콘
이미 어제 타 커뮤에도 올라왔던 얘깁니다
23/06/22 16:16
수정 아이콘
어?!
닉네임을바꾸다
23/06/22 16:16
수정 아이콘
아마 그건 아닐걸요...흠
호랑이기운
23/06/22 16:17
수정 아이콘
발견됐나요?
타카이
23/06/22 16:18
수정 아이콘
이미 여러번 오고갔다고 했지 않나요...?
23/06/22 16:2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모르고 여러번.... 그래서 더 신경안쓴것이고...
페스티
23/06/22 17:00
수정 아이콘
10kg 압력이 걸리는 배관에 대한 설계를 한다고 하면 10kg이 초과했을때 바로 터져나가도록 설계하지 않습니다. 안전율을 더해서 훨씬 더 큰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하죠. 운전 최대 압력이 10kg/cm2이면 16kg/cm2의 압력을 한시간 동안 버티는지 하는 수압시험을 통해 품질 검증을 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하거든요. 그러므로 몇번 정도는 버티는 것이 가능했을 수 있습니다. 여러번 오고가는 와중에 잠수정 유리에서 피로가 심해졌고 이번에 박살 났을지도 모르는거죠...
단비아빠
23/06/22 17:52
수정 아이콘
여러번이 아니라 이번이 고작 3번째라서요...
23/06/22 16:30
수정 아이콘
어... 진짜 그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terralunar
23/06/22 16:30
수정 아이콘
1400m 한도로 4000m이상 잠항한다고 내부고발을 했고, 거기에 대한 반응으로 그 직원을 해고하고 그 뒤로도 밀어붙였으면 실수가 아니라 고의인거고 야드미터법 착각이랑은 상관없죠
마르키아르
23/06/22 18: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처음에 쓴건 야드미터법을 착각해서 실수로 썻고..

그걸 알아챈 시점엔, 유리변경하기엔 너무 큰 비용이 들어가는 일이라,

고의적으로 밀어붙인거 아닐까요 덜덜..
무냐고
23/06/22 17:42
수정 아이콘
안전율 쪽이 맞아보입니다.

포터에 어느정도까지 싣는지 생각해보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2025 [기타] 영화관에 가고 싶어지는 장면들 [34] 제가LA에있을때16069 23/07/01 16069
482024 [유머] 10년만에 되돌아온 업보.gif [23] Myoi Mina 13250 23/07/01 13250
482023 [게임] 게임큐브를 기억하십니까 [15] 제가LA에있을때9502 23/07/01 9502
482022 [유머] 머스크 대 저커버그 대결에 숟가락 얹는 이탈리아 정부 [19] 우주전쟁10046 23/07/01 10046
482021 [유머] 혼자서 자동차 흠집을 복원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13] Myoi Mina 10596 23/07/01 10596
482020 [유머] 새롭게 밝혀진 아파트 철근 사건 [15] Myoi Mina 11286 23/07/01 11286
482019 [유머] 최근 몇 년 사이 미국에서 인기폭발한 한식.jpg [23] 깐프15103 23/07/01 15103
482018 [유머] 헨젤과 그레텔의 진실 [4] 길갈8695 23/06/30 8695
482017 [유머] 로씨야의 창조경제 [11] 된장까스8959 23/06/30 8959
482016 [게임] 로스트아크 근황 [38] 김티모12242 23/06/30 12242
482015 [동물&귀욤] 다음 가운데 반려동물로 적절하지 않은 동물은? [11] 우주전쟁8146 23/06/30 8146
482014 [LOL] 고스트 T1 vs DK 경기요약 [4] insane9431 23/06/30 9431
482013 [기타] 학교 가기 전 아침은 카스테라를 먹어요.jpg [4] insane11174 23/06/30 11174
482012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로드 투 더 탑의 5화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2] 캬옹쉬바나7193 23/06/30 7193
482011 [스타1] 한화 6593일만에 7연승 체감.JPG [7] insane10725 23/06/30 10725
482010 [유머] 호불호 김치찌개 [41] 메롱약오르징까꿍12101 23/06/30 12101
482009 [스포츠] 군자의 복수는 십 년이 걸려도 늦지 않다,한화팬 [41] 카루오스16010 23/06/30 16010
482008 [유머] 약후) 아싸가 사진 찍는법 [3] 메롱약오르징까꿍14486 23/06/30 14486
482007 [기타] 의외로 후방주의 해야하는 것.jpg [16] 깐프15015 23/06/30 15015
482006 [방송] "어린놈의 XX가 돈이면 다 해결 되는줄 알....." [17] Croove14358 23/06/30 14358
482004 [유머] 추억의 용가리 치킨 근황 [17] 길갈12460 23/06/30 12460
482002 [음식] 한때 미국에서 가난을 상징했던 음식들.jpg [52] 한화생명우승하자16531 23/06/30 16531
482001 [유머] 황신이시여!! [6] 밥과글10526 23/06/30 105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