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4/18 02:45:47
Name 기무라탈리야
출처 http://www.dailyesports.com/view.php?ud=201210120928230067755
Subject [스타1] '임요환은 마이클 조던입니다' 의 출처
http://www.dailyesports.com/view.php?ud=201210120928230067755

관련 글에 댓글로 남기려고 했는데 글이 사라졌네요.

솔직히 단군신화 같은 느낌이긴 합니다만...

이것만 남기자니 심심해서 SKT T1 10주년 기념으로 나온 책에 적힌 창단 일화를 조금 남겨놓겠습니다.

==

임요환의 이름값이 한 몫 하긴 했지만 실제로 최연성 등 팀 멤버도 꽤나 좋았고, 프로리그에서 우승까지 했으니
돈 있고 관심 있는 기업이라면 탐낼만한 구성이었죠. 주훈 감독도 그렇게 생각해서 여러 기업에 제안서를 돌렸고
SK텔레콤이 제안서를 받자마자 주훈감독이랑 미팅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사장실 직속 현장경영팀이 창단제안서를 만든 게 2월이고 고위층의 동의를 받아서
김신배 사장에게 결재를 받기 위한 보고서가 3월 25일, 김신배 사장은 크게 고민 없이 25일 당일에 결재했다네요
(임요환 허재, 마이클 조던 비유 썰은 이때 나온 걸 수도 있는데 책에 그런 기록은 없었습니다)

그렇게 창단이 결정되고 창단식이 열린 게 4월 13일입니다.
최연성의 MSL 결승이 4월 18일이라서 빨리 창단해서 T1 소속으로 우승컵 받기 위해 빨리빨리 진행했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튀김빌런
20/04/18 03:1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임요환은 다른 스포츠의 유명 선수와 비교하는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그런 선수들은 영향력이 너무 높아서 그 스포츠의 패러다임을 바꿨다거나 아니면 그 스포츠 이외의 분야까지 영향력을 미친 경우가 전부이지만 임요환은 스포츠를 만들어 버린 선수니깐요.
아무리 찾아봐도 리그를 만들거나 스포츠를 만들어 버리게 된 선수는 못찾겠더라구요..또 임요환 이외에 그런 선수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구요

차라리 개척가나 모험가에 비유하는게 더 맞을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코코볼
20/04/18 03:25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이판을 만든사람인데, 단순히 게임내에서 업적만으로는 그설명이 부족하다 생각합니다.
20/04/18 03:34
수정 아이콘
저는 반대되는 의견인데 현재의 이스포츠가 모두 북미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고 또 그 이스포츠에 한국의 영향력이 아주 미미한 수준으로 흘러들어간 제작사 중심의 이스포츠 시대이기에 별로 공감이 안갑니다.

한국한정이라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일본에선 우메하라 다이고가 그 역할하고 있고 국내 한정이라면 모를까 임요환을 이스포츠 종목의 창시자급으로 보는건 비약이 아주 심하다고 생각해요.
20/04/18 11:34
수정 아이콘
시대보정이 들어가야..
당시 시대가 지금처럼 체계화되고 그런 시대도 아니고..
인터넷이나 미디어 매체도 발전된 시기도 아니구요..
지금 시점에서 평가하면 다 박해질 수밖에 없고, 별거도 아닌 수준이죠.
20/04/18 04:54
수정 아이콘
무하마드 알리랑 비슷하네요
다시마두장
20/04/18 04:42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의 아이콘 임요환을 잡은 SKT.
그 SKT가 발탁한 인재 페이커가 또다시 다음 세대 이스포츠의 아이콘이 된 걸 보면 뭔가 운명같다는 느낌도 들고 그럽니다.
물론 업계 최고의 투자를 해온 SKT이니만큼 좋은 인재가 모일 가능성이 높은것도 맞지만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0/04/18 07:12
수정 아이콘
임요환만큼 에고강한사람이 있을까요. T1감독까지 올라갔었는데 지금 다시 T1 스트리머로 계약한거 보고 역시는 역시 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4239 [스타1] 전상욱 vs 김택용 09-10 프로리그 준플레이오프 [6] SKY927394 20/04/27 7394
384153 [스타1] 이제동 vs 염보성 2007년 스타챌린지 3전 2선승제 [4] SKY927377 20/04/26 7377
384078 [스타1] 임요환선수 live - 가연좌의 갱킹 [2] 니나노나9266 20/04/25 9266
384050 [스타1] 09 WCG 김택용 vs 샤쥔춘 [6] SKY927920 20/04/25 7920
384034 [스타1] 스타로드배 스타리그 첫 우승자는?? #홍진호 #박정석 #이윤열 #박태민 [1] 그10번7401 20/04/25 7401
383987 [스타1] 박태민이 이제동을 주목하게 된 경기 [9] SKY9210969 20/04/25 10969
383985 [스타1] 안기효의 스타리그 마지막 8강 진출 [8] SKY928037 20/04/25 8037
383937 [스타1] 안기효 선수의 추억 [5] 서린언니8248 20/04/24 8248
383927 [스타1] 전상욱 vs 홍진호 in 815 3 [8] SKY929333 20/04/24 9333
383924 [스타1] 안기효의 테란전 파워 드라군 [16] SKY9210617 20/04/24 10617
383910 [스타1] 마흔 한살 아저씨 [41] 차은우12134 20/04/24 12134
383802 [스타1] 박태민 vs 차명환 08-09 프로리그 에결 [3] SKY926873 20/04/23 6873
383795 [스타1] 임팩트 있던 스타리그 오프닝.jpg [10] SKY9210215 20/04/23 10215
383790 [스타1] 변은종 vs 최연성 우주 MSL 승자조 [23] SKY9210870 20/04/23 10870
383524 [스타1] 저그킬러 3인방 [31] 니시노 나나세8680 20/04/21 8680
383482 [스타1] 김정민 vs 서지훈 질레트 스타리그 엘리전 [7] SKY928050 20/04/20 8050
383416 [스타1] 이영호 테란 졸업 / 랜덤 전향 선언 [41] 及時雨14923 20/04/20 14923
383281 [스타1] 44층 지하던전 스타로드 / 박정석+이윤열+박태민편 [8] 빨간당근8024 20/04/18 8024
383221 [스타1] '임요환은 마이클 조던입니다' 의 출처 [7] 기무라탈리야11375 20/04/18 11375
383013 [스타1] 질럿 2기로 게임 터트리기 [9] SKY9210624 20/04/15 10624
382991 [스타1] ASL9 맵 밸런스 [19] 랜디존슨7997 20/04/15 7997
382917 [스타1] 홍진호피셜 임요환보다 머리가 더 커지고 있다는.jpg [27] 살인자들의섬11955 20/04/14 11955
382877 [스타1] ASL 5~8위 결정전.jpg [14] SKT7190 20/04/14 71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