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10/03 23:01:13
Name QM3
File #1 1.jpg (48.0 KB), Download : 25
File #2 2.jpg (72.6 KB), Download : 15
출처 포모스
Subject [LOL] 롤드컵에서 가장 소년만화스러운 우승팀




TPA!!!

첫등장은 나겜의 배틀로얄.

이 대회에서 2승 15패의 처참한 성적으로 나겜 사장이었던 홀스에게

다른대회에서 실력을 검증받으라는 평과 함께 다음시즌 참가 불가 통보.





그리고 대만 홍콩 지역에서 1위로 롤드컵 진출.
지역대회 1위 특혜로 조별예선 치루지 않고 8강 진출.

하지만 우승후보는 커녕 다크호스 취급도 못받음.





상대는 조별예선을 씹어먹으며 전승으로 올라온 막눈의 나진 소드

배틀로얄에서도 TPA를 개발랐던 전적이 있어서

나진이 꿀빨았다는 평이 대부분...

심지어 한국 중계진에서는 맛집이라고 까지 말함.





나진을 개박살 내버림.





4강에선 당대 최강팀으로 꼽히던 러시아의 m5

8강에선 나진이 못한거지 m5가 무난하게 이길거라는 평이 지배적

m5가 1경기에서 예상대로 압승을 했지만

2,3경기를 tpa가 잡으면서 결승 진출





상대는 한국 최강팀이며

눈맵 사건 등으로 인해 누가봐도 악역에 최종 보스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아주부 프로스트







하지만 모두의 예상을 뒤집고 결국 롤드컵 시즌2 우승!





대만의 듣보잡 팀이

그 전에는 해외 팀에 개발리다가

가장 중요한 롤드컵에 들어와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우승까지 차지한

최고의 이변이자 완벽한 소년 만화 클리셰를 가지고 있음.

심지어 롤드컵 참가팀 중에 유일하게 서폿을 플레이하는 여성멤버 (히로인)까지 있음.

거기에 통역겸 매니저 당담하는 여자 코치진도 (삼각관계 가능) 보유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아니시모
16/10/03 23:03
수정 아이콘
소년만화스럽다는 생각 반 사기극같다는 생각 반
저는 이때의 일 덕분에 스크림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어떤팀이 우세하단 소릴 듣든) (롤드컵 당시의)14삼화나 15SK급 팀 얘기 아니면 안믿게 되더라고요(..)
송주희
16/10/03 23:04
수정 아이콘
진짜 대회에서 전력을 숨긴 몇안되는 케이스..
예쁘면다누나야
16/10/03 23:05
수정 아이콘
배틀로얄이 가장 큰 역적이었던걸로...
16/10/03 23:07
수정 아이콘
정작 스크림 해본 해외팀들은 TPA를 높게 쳐줬습니다. 최소 4강정도는 된다. 무시할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배틀로얄에서 보여준게 있어서 그런지 다들 맛집으로 착각 -_-;
마그너스
16/10/03 23:19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스크림에서 전승했다는 기억이...그래서 복한규 코치가 우승을 거의 확실시했던 기억이 나네요
16/10/04 00:03
수정 아이콘
근데 블레이즈가 실제로 스크림에서 95 : 5정도로 이겼었다고 얘기를 덜덜...
16/10/03 23:06
수정 아이콘
사실 이미 소드를 이긴 시점부터 우승 후보 아니었나요
모여라 맛동산
16/10/03 23:07
수정 아이콘
지금은 TPA가 어떻게 됐나요?
Jtaehoon
16/10/03 23:11
수정 아이콘
주걸륜이 투자해서 J Team으로 이름 바꾸고 활동하는 것 같더라고요
피로링
16/10/03 23:08
수정 아이콘
그때나 지금이나 전력을 숨겼다는 평은 좀 이해가 안되요. 당시 한국이 주목할만한 정도였지 우승후보급은 절대 아니었거든요.(애초에 2회 롤드컵이 제대로된 첫 시작이라 누가 우승한다 이런건 말도 안됐고 m5가 강세로 점쳐지는 정도) 사실이라면 tpa가 한국이 결승, 최소한 4강급은 간다는 전제를 깔아놓고 이야기해야되는데 끼워맞추기죠. 스크림 절대 거부하고 그랬으면 의심해볼 여지라도 있는데 해외팀하고 스크림 잘만했죠. -_-; 만약 그렇다고 하더라도 나진전에서나 의미가 있지 그 이후는 뭐...
화성거주민
16/10/03 23:10
수정 아이콘
아마도 핑 문제로 고전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배틀로얄에서 부진은 그렇게 해석할 수 밖에 없죠.
예쁘면다누나야
16/10/03 23:10
수정 아이콘
전력을 숨겼다기보단. 대회에서 보여준게 워낙 개판이어서 그랬죠. 전설의 녹턴발사라던가. 제닉스 스톰에게 관광버스를 탔다던가...
피로링
16/10/03 23:11
수정 아이콘
물론 그걸보고 방심한거야 이해할만 합니다.
16/10/03 23:13
수정 아이콘
음.. 근데 해외팀도 스크림때랑 너무 다르다고 그러지 않았나요?
피로링
16/10/03 23:14
수정 아이콘
위에 다른분도 적어주셨지만 스크림 해보니 잘하더라 수준의 이야기는 나왔던걸로 기억합니다.
바다표범
16/10/04 00:33
수정 아이콘
저도 일부러 실력 숨겼다고 하기 보다는 시즌2롤드컵 직전에 포텐터진거라고 봅니다.

스크림에서 실험적인 픽이나 운영한다던가 초반에 말리면 대충대충한다는건 해외팀들한테는 일반적이었구요.

말씀하신대로 해외팀들과 스크림 잘만했고 심지어 clg도 자기들이 돈주고 불러서 스크림하면서 합숙하기도 했죠

그리고 롤드컵 직전 중국대회에서 we와 한 결승전보면 결코 약팀이 아니었죠.
16/10/03 23:10
수정 아이콘
온겜넷이었나 어디 인방으로 보다가 위성문제로 방송이 끊겨서 영어방송을 틀었었는데... 스카라 왈, TPA가 스크림때 모습하고 너무 다르다는 말을 하더군요.
아마존장인
16/10/03 23:14
수정 아이콘
이때도 나진 엄청 욕먹었죠 기대는 자기들이 해놓고 왜이리 욕을해대는지..
현실은 상대가 우승팀 크크

깔려고 게임보는 분들 적당히좀해야합니다
어차피 두 팀중 하나는 지는게 규칙인데
16/10/03 23:31
수정 아이콘
호구인줄 알았지만 알고보니 세체원, 세체미...
사실 북미 베타 시절부터 보던 멤버도 있어서
사람들의 기대보다 잘해주길 바랬지만 우승해서 깜놀했던 기억이
술마시면동네개
16/10/03 23:32
수정 아이콘
릴볼즈엿나요 결승전 문도 정글은 아직도 소름이...
스웨트
16/10/03 23:44
수정 아이콘
전 베베 베인이 더 소름.. 뭐야 왜이렇게 잘해 이랬네요 원딜이 주포라 그런가
16/10/03 23:4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 뒤 뿔뿔이 흩어지는 영광의 멤버들
쿠로다 칸베에
16/10/03 23:47
수정 아이콘
전설의 녹턴발사
하지만 그땐 아무도 몰랐다.. 그게 빅픽쳐였을줄은..
16/10/03 23:49
수정 아이콘
스탠리 릴볼즈 토이즈 베베 미스테이크 아직도 기억나는 닉네임들
어바웃타임
16/10/04 00:05
수정 아이콘
저도 진짜 이 닉네임들은 벌써 몇 년이 흘렀는데도 못 잊겠네요. 너무 충격적이어서;
릴볼즈의 문도와 토이즈의 오리아나...
잠만보
16/10/03 23:52
수정 아이콘
우승 스킨도 꽤나 잘 나온 TPA!

정말 대단했던 팀인건 확실합니다
유스티스
16/10/03 23:55
수정 아이콘
토이즈의 막눈과의 스토리까지!
16/10/04 00:42
수정 아이콘
스탠리 아니었나요?
유스티스
16/10/04 01:04
수정 아이콘
" 여러분들이 아시다시피, 내일 TPA는 나진을 상대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은 아마 Maknoon을 이미 알고계실겁니다. 여기서 일화 하나가 있습니다. 1년 쯤 전, 시즌1에 갓 2000점을 찍은 한 애송이는 스스로 꽤 실력이 괜찮다고 생각했습니다. 애송이는 친구를 통해 Maknoon에 대해 들었고, 친구는 애송이에게 Maknoon과 게임을 한번 해보겠냐고 물었습니다. 애송이는 별 생각없이 수긍했습니다. 3번의 매치 후, 애송이는 중국 속담의 뜻을 배웠습니다. "산 위에는 언제나 산이 있고, 하늘 위엔 언제나 더 높은 하늘이 있다." 즉, 언제나 자신보다 나은 누군가가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애송이는 처참하게 발렸습니다.

시즌2를 거치면서, 애송이는 스스로에게 보다 연습해서 Maknoon보다 나아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내일 애송이는 Maknoon을 대등한 무대에서 만납니다. 그리고 바로 제가 그 애송이입니다... "


" 지금 저는 아무 글도 적지 못하겠습니다. 예, 이건 단지 8강이지만, 저에게는, 애송이에게는, 저는 무언가를 증명해냈습니다. 2:0 나진, Maknoon이 저에게 와서 저에게 포옹을 하고 작게 속삭였습니다. "I'm proud of you." 그게 제 기분을 최고로 좋게 했습니다. 저는 Maknoon이 저의 멘토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누가 이겼는지에 관계없이, 그는 제가 가장 존경하는 플레이어 중 하나입니다.. "

토이즈 맞아요.
16/10/04 01:09
수정 아이콘
아. 제기억에 오류가 있었네요.
대문과드래곤
16/10/04 19:55
수정 아이콘
dd... 이건 진짜 소년만화네요
16/10/04 00:26
수정 아이콘
문도정글의 충격은 아직기억나네요 오대식의 적중률이...
16/10/04 11:00
수정 아이콘
눈맵은 결승전에서 있었던 일 아닌가요?
Nasty breaking B
16/10/04 11:39
수정 아이콘
8강에서 TSM이랑 할 때
16/10/04 12:26
수정 아이콘
녹턴발싸!
전 다른것보다도 핑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크크
페스티
16/10/04 19:11
수정 아이콘
8강부터 bo5 였다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3102 [LOL] 롤드컵에서 가장 소년만화스러운 우승팀 [36] QM310207 16/10/03 10207
272178 [LOL] 모 선수를 care하는 방법 [9] 로즈마리5323 16/04/18 5323
264103 [LOL] 역대 3억제기 역전 경기들 [35] 반니스텔루이13702 16/02/08 13702
256977 [LOL] CJ가 마지막 결승 진출 이후 생긴 일 [4] 4697 15/11/13 4697
255842 [LOL] 역대 팀 통산 승률 TOP 10.txt [8] Vesta6655 15/11/03 6655
255619 [LOL] 매년 한국 최고 팀들의 1년 커리어 [9] Leeka5519 15/11/01 5519
250634 [게임] [히어로즈] 렉사르 소개영상 & 대사 [20] 은하관제5876 15/09/09 5876
250408 [LOL] Together kt~ [11] 반니스텔루이6492 15/09/05 6492
250212 [LOL] 5연 챔프를 경험한 아마도 유이한 두팀 [8] Vesta6236 15/09/03 6236
249684 [LOL] CJ 3연 시리즈의 역사 [21] Vesta9907 15/08/26 9907
225249 [유머] [유머] 엘사&잭 프로스트 [7] 하늘을 나는 고래4412 14/11/21 4412
222133 [기타] [기타] [clickerheroes] EDR자동해놓고 출장다녀왔어요 [7] Quantum3270 14/10/20 3270
212985 [유머] [유머] [LOL] CJ 팬이라면 삼성 화이트 응원합시다.. [9] Leeka4765 14/07/22 4765
211541 [유머] [유머] [LOL] 롤챔스 섬머 오프닝 [18] Leeka6126 14/07/09 6126
208659 [기타] [기타] [LOL] 프로스트와 화이트와의 관계 [12] 민머리요정5410 14/06/13 5410
206492 [유머] [유머] [LOL] 프로스트 모임 [15] Leeka5622 14/05/25 5622
205855 [유머] [유머] 눈사람 몰래카메라 [8] 王天君6475 14/05/19 6475
204543 [유머] [유머] [LOL] NLB 결승 티저 - 프로스트, 소드 [5] sway3463 14/05/06 3463
203727 [유머] [유머] [LOL] SKT K 최근 성적.. [21] Leeka5899 14/04/28 5899
203725 [유머] [유머] [LOL] NLB 3경기 결과 [1] Leeka4270 14/04/28 4270
203527 [유머] [유머] [LOL] 롤챔스와 NLB 대진표 비교 [28] Leeka5700 14/04/27 5700
203435 [유머] [유머] [LOL] 라이엇 : 다시는 파워랭킹을 무시하지 마라! [9] Leeka5113 14/04/26 5113
203233 [유머] [유머] [LOL] 파워랭킹 재평가.. [7] Leeka6057 14/04/24 60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