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12/20 15:11:14
Name SKY92
Subject [스타1] 역대 우승자들중 기억남는 상대적으로 한방송사 성적이 아쉬웠던 선수들.txt
괄호안은 4강 이상성적만

임요환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4회 본선 진출(우승 2회, 준우승 4회, 4강 1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9회 본선 진출(우승 1회, 4강 1회)

강민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12회 본선 진출(우승 1회, 준우승 1회, 4강 4회),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4회 본선 진출(우승 1회, 준우승 1회)

송병구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7회 본선 진출(우승 1회, 준우승 3회, 4강 2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10회 본선 진출(준우승 1회, 4강 1회)

박성준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5회 본선 진출(우승 3회, 준우승 2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8회 본선 진출

정명훈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9회 본선 진출(우승 1회, 준우승 4회, 4강 1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8회 본선 진출(4강 1회)

김택용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13회 본선 진출(우승 3회, 준우승 1회),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2회 본선 진출(4강 3회)

김준영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0회 본선 진출(우승 1회, 4강 1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0회 본선 진출

한동욱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8회 본선 진출(우승 1회, 4강 2회),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0회 본선 진출


보통 엠막,온막이라 했죠.... 물론 양방송사 우승을 차지했거나 둘다 결승간경우도 있지만 한쪽 방송사의 활약이 너무 뛰어나서 상대적으로 다른 방송사의 활약이 아쉬워보이는 경우도 있었고... (ex: 임요환, 강민,송병구) 김준영,한동욱처럼 극단적인 경우도 있었고;; 박성준도 온게임넷에서 대활약했지만 MSL에서 4강 한번 못간게 의외....

김준영선수는 MSL 본선에서 한번도 못본게 아쉬워요. 우승자 아닐경우에는 범위가 더 넓어질것 같아서 일단 기억나는 우승자선수들만 적어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화이트데이
15/12/20 15:22
수정 아이콘
대표적 엠막에 오영종 선수도 있죠. 흐흐흐. 김준영, 한동욱 선수가 MSL 진출 경험이 한 번도 없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윤열이는요
15/12/20 15:27
수정 아이콘
본좌라인중 2명도 아쉬울 정도니 이최 리쌍 빼고는 다 아쉽다고 봐야겠네요
예니치카
15/12/20 15:27
수정 아이콘
임요환 osl 준우승 4회죠. So1, 에버2004, 스카이 2002, 스카이 2001
15/12/20 15:29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피아니시모
15/12/20 15:34
수정 아이콘
소원 우승하면서 홍진호는 2위로도 2위가 되었죠
송지은
15/12/20 15:28
수정 아이콘
김준영, 한동욱 선수는 진짜 의문이네요
갈색이야기
15/12/20 15:47
수정 아이콘
왕중왕전 우승자 홍진호가 없네요.
솔로11년차
15/12/20 16:11
수정 아이콘
홍진호는 위너스챔피언쉽의 우승자이기도 하니까요.
15/12/20 15:58
수정 아이콘
마지막 xx는 지우시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15/12/20 15:59
수정 아이콘
그게 낫겠네요... 그 자식이 사실 이런 기록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선수이긴 하지만 어쨌든 없는 사람이므로...
솔로11년차
15/12/20 16:15
수정 아이콘
임요환은 전성기 시절엔 엠겜이 없었고, 전성기가 살짝 지난 다음에 엠겜이 생겼을 땐 대회 규모가 작았죠. 그 작은 규모에서 그닥 성적을 못내긴 했습니다만. 엠겜이 KPGA 투어형태로 규모가 커진 이후로만 따지면 온겜이나 엠겜이나 그리 큰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온겜쪽에서 우승 2번과 준우승 1번을 뺴야하니까요.
상대적으로 온겜쪽에서만 활약한 선수가 많은 이유는, 안그런 시기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온겜쪽이 시드가 많아서 연속적으로 성적을 내기 좋은 구도였기 때문인 면이 있습니다.
15/12/20 16:19
수정 아이콘
강민은 진짜 특이하긴 했네요;;; 물론 초반에 MSL 16강 시드가 8장이던 시절도 있었다지만 그래도 저렇게 극단적으로 엠겜과 온겜 본선진출횟수중 엠겜쪽이 상당수라니.... 물론 온겜에서도 결승 2번가면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로 절대 나쁜건 아니었지만 본선진출 횟수가 강민 치고는 많이 적었고 엠겜에서 활약이 워낙 화려했기때문에....
솔로11년차
15/12/20 16:16
수정 아이콘
마지막 온겜의 두 개 대회는 제외됐습니다만, https://pgr21.net/pb/pb.php?id=free2&no=44659 참고요.
ANTETOKOUNMPO
15/12/20 16:33
수정 아이콘
조용호 선수 기록도 있으면 좋겠네요. 온겜 성적도 그리 나쁘지는 않았지만, 엠겜 4강 공무원하던 시절이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15/12/20 16:39
수정 아이콘
조용호
MBC게임 메이저리그 총 11회 본선 진출(우승 1회, 준우승 1회, 4강 3회), 온게임넷 메이저리그 총 10회 본선 진출(준우승 2회)
도들도들
15/12/20 21:10
수정 아이콘
엠겜이 배출한 최고의 스타는 역시 김택용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0643 [스타1] 임성춘 일장춘몽08 - 진정한 이시대 흙수저에게 [9] i_terran4903 15/12/23 4903
260642 [연예인] 저평가와 고평가가 공존하는 연예인 [99] 뀨뀨12979 15/12/23 12979
260641 [연예인] 몸매의 완성은.. [48] 삭제됨13367 15/12/23 13367
260640 [연예인] 예정화가 또.. [39] 뀨뀨12370 15/12/23 12370
260639 [연예인] [데이터주의] 오랜만에 그녀. [17] 7607 15/12/23 7607
260638 [유머] LG 홍보팀 클라스 [21] Anthony Martial10575 15/12/23 10575
260636 [방송] 마리텔 CG피해자 백주부 [30] Anthony Martial10793 15/12/23 10793
260635 [스포츠] [해축] 요즘 아스날이 잘 나가는 이유 [25] Anthony Martial5993 15/12/23 5993
260634 [연예인] 걸스데이 유라 닮은 꼴 [3] Anthony Martial9556 15/12/23 9556
260633 [연예인] 금요일에 만나요!! [11] SANJI6115 15/12/23 6115
260632 [기타] 첫사랑의 시작과 끝 [14] 쏘팔매토6473 15/12/23 6473
260631 [LOL] 캡틴잭의 내맘대로 올스타 일기 3~4 [17] 철혈대공6504 15/12/23 6504
260630 [연예인] 윤아 근황 [37] 에버그린11019 15/12/23 11019
260629 [유머] 아이고 깜짝이야. [5] Neo6755 15/12/23 6755
260628 [기타] [꿀팁] 총에 덜 맞는 방법 [18] 마스터충달5962 15/12/23 5962
260627 [유머] 지진 대피용 침대 [10] 에버그린7072 15/12/23 7072
260626 [유머] 신종직업 [12] 에버그린6901 15/12/23 6901
260625 [유머] 기자가 원래 이렇게 힘든 직업입니다. [7] 에버그린6813 15/12/23 6813
260624 [유머]  알바면접 탈락 사유 (2) [40] 이즈리얼10710 15/12/23 10710
260623 [유머] 주인의 반댓말 [8] 마스터충달8312 15/12/23 8312
260622 [연예인] EXID무명시절 [16] wish buRn8370 15/12/23 8370
260621 [유머] 이경영이 또.... [26] 에버그린10418 15/12/23 10418
260620 [유머] 오늘의 명언 [12] 효연덕후세우실7595 15/12/23 75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