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12/19 15:41:43
Name 에버그린
File #1 51c86d1f87281c3289cd5c98d44e76bb.jpg (1022.7 KB), Download : 44
File #2 f6b54212ccf8da409a5017c5a045d94d.jpg (437.9 KB), Download : 25
Subject [게임] 8비트 컴퓨터에서 그래픽이 작동하는 방식






신기하네요


번역 : http://www.dogdrip.net/87402263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드래곤
15/12/19 15:45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야...흑
15/12/19 15:51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요즘엔 그런거 없고 메모리를 사러가죠 크크..
마스터충달
15/12/19 15:51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야...흨(2)
아리아리해
15/12/19 15:52
수정 아이콘
이과 망했으면
Tyler Durden
15/12/19 15:57
수정 아이콘
새삼 기술발전의 위대함을 느낍니다..
뭐라는거야..(3)
oginkong
15/12/19 16:0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렇게까지 자세히 알려주는데 다들 모른다고 하시면 안심이 되네요 저도 잘모르겠습니다.
신예terran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진심 천재...
결혼해도똑같네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메모리로!!!
중년의 럴커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캬 그리운 이야기들이 나오네요.

전 문과지만 당시 저거 달달 외우고 다녔네요. 국내 출시된 컴퓨터중 최초로 스프라이트 그래픽 적용한 기종은 뭘까요?
Eye of Beholder
15/12/19 18:41
수정 아이콘
FC 100이던가요 SPC 1000이던가요..확실히 MSX는 있었는데. 애플은 없었죠.
중년의 럴커
15/12/19 19:14
수정 아이콘
가장 상업적으로 널리 쓴게 MSX기종이었는데 제일 처음 쓴 것은 동양나일론에서 나온 하이콤8 제품이었습니다. 삼성 금성 삼보 동양나일론 한국상역 5개 회사가 교육용 피시 사업 계획에 따라 한국에서 최초로 상업용 피시 출시를 했는데 다 사실 일본및 미국 카피후 개조를 거쳤다고 할 수있죠. 나중에 여기에서 빠진 대우가 실수를 깨닳고 가장 적극적으로 MSX 사업에 참여하여 MSX 기종에서는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였습니다. 당시 스포트라이트 빼고는 다 써봤는데 효성 즉 당시 동양 나일론 제품에만 스프라이트 기능과 관련 베이직 명령어가 있어서 모눈종이에 열심히 도트칠을 하며 16진수로 바꾸고 입력한후 움직이는 것을 보며 신기해 했었습니다
접니다
15/12/19 16:20
수정 아이콘
저는 이런거 스크랩해서 두고두고봅니다
한 1년정도 계속보면 이해되겠죠
자루스
15/12/19 16:30
수정 아이콘
msx 시절 게임을 저렇게 만들었습니다.
왜 그 때 게임을 만들었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그때 만들어봤기 때문에 내가 게임회사를 안 갈 수 있었던 경험이 되었습니다.
게임만들기는 삽질이야
15/12/19 16:33
수정 아이콘
여러분 이해못하는게 이해하는것보다 좋은겁니다. 이해한다면 각종 회사에서 갈려나가고 있는(혹은 갈려나갔던) 개발자란 얘기니까요 ㅠㅠ
Sgt. Hammer
15/12/19 16:38
수정 아이콘
진짜 기술의 발전이 느껴지네요.
저게 그렇게까지 옛날 이야기도 아닌데.
제로로꾸
15/12/19 16:49
수정 아이콘
옛날 얘기 맞아요... 저렇게 겜을 만들던 시절이 1970 후반 ~ 1980 초반이니...
Sgt. Hammer
15/12/19 16:53
수정 아이콘
당장에 저 시대에 코드 짜고 도트 찍던 분들이 살아계시고, 현업에 아직까지 종사하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다른 산업이랑 비교하면 IT 쪽의 발전 속도가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MyBubble
15/12/19 17:05
수정 아이콘
오오.. 스프라이트.. 본문에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은 아니었던거 같지만, 어쨌든 모눈종이에 그림그려서 peep poke 쓰면서 하나하나 옮겼던 생각이 나네요.
타네시마 포푸라
15/12/19 17:10
수정 아이콘
와 이걸 저렇게 풀 생각을 할 수도 있다니 대단하네요. 단순한 메모리를 짤 구조뿐만 아니라 비쥬얼적인 측면까지 제한을 두면서 구현하다니 별 생각없이 보다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포포탄
15/12/19 17:57
수정 아이콘
제가 다니는 대학에서는 요즘 저걸 문이과 상관없이 교양으로 배웁니다..
15/12/19 18:24
수정 아이콘
아. 스트라이프 제네레이터? 이 방법때문에 페르시아 왕자에서도 저런 비슷한 코드가 박혀있었던것 같네요. 신기하네요.
그러고보면 지금 그래픽은 어떻게 구현할지 상상도 안되네요.
F.Nietzsche
15/12/19 19:02
수정 아이콘
흥미롭군요
순규하라민아쑥
15/12/19 19:53
수정 아이콘
저런걸로 야겜을 만들고, 당시 아이들(?!)은 그걸 보고 음흠...
내일은
15/12/19 23:03
수정 아이콘
컴퓨터 학원에서 베이직반 떼고 나서 코볼/포트란 반이냐 기계어반이냐로 진로가 갈리는데 기계어반에서 스프라이트 배우고 바로 코볼반으로 바꿨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0396 [유머] 자살감소정책 [23] 톰슨가젤연탄구이8347 15/12/20 8347
260395 [방송] 무한도전 미공개영상 - 2015 정신감정 결과 [7] 앙토니 마샬10190 15/12/20 10190
260394 [동물&귀욤] 권태기 부부의 일상 [3] 유노윤하4850 15/12/20 4850
260393 [스포츠] [해축] IS의 공격을 멈추는 법 티티4221 15/12/20 4221
260391 [유머] 이거 알면 최소 응팔세대.jpg [19] 23년째솔로9565 15/12/20 9565
260389 [방송] [마리텔] MLT-18 실루엣 완성본 [5] 피로링8619 15/12/20 8619
260388 [방송] 왠지 진심각 [27] 마스터충달11602 15/12/20 11602
260387 [스포츠] ??? : 먼저 가 있어. 형이 중요할때 쓸꺼야. [6] 류세라8642 15/12/20 8642
260386 [기타] [스타2][성우][계층] 대모 보라준의 인성 [2] 시노부5498 15/12/20 5498
260385 [기타] 국내 도입이 시급한 시위 [3] 인간흑인대머리남캐7098 15/12/20 7098
260384 [스포츠] [해축] 많은 것을 포함하는 매치 [7] FloorJansen4921 15/12/20 4921
260383 [스포츠] 오늘의 무리뉴 [2] 류세라6747 15/12/20 6747
260382 [스포츠] [해축] 오늘자 누군가의 일상골.gif [2] 닭, Chicken, 鷄6217 15/12/20 6217
260381 [기타] 땅콩공주의 전설 [2] 어강됴리4643 15/12/20 4643
260380 [스포츠] [해축] 하아아아아아아아아아암~~~~.gif [6] SKY925317 15/12/20 5317
260378 [연예인] [마리텔] MLT-18 라인업 [13] 하니8116 15/12/20 8116
260377 [스포츠] [축구] 이청용 골.gif [13] SKY928625 15/12/20 8625
260375 [스포츠] [해축] SB와 OT에서 동시에 무리뉴의 이름이 울려퍼지는 중 [7] 저 신경쓰여요6186 15/12/20 6186
260374 [게임] 고작 게임따위에 공부라고? [4] 이호철6759 15/12/20 6759
260373 [LOL] 거 너무한거 아니오? [8] Tad7367 15/12/20 7367
260372 [유머] 19일자 유병재 싸인회 [9] Madmon8173 15/12/20 8173
260371 [유머] 내가 좋아하는 붕어빵은?.jpg [16] 김치찌개6140 15/12/20 6140
260370 [유머] 찐 감자 설탕찍먹vs소금찍먹 [48] 김치찌개5205 15/12/20 52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