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12/19 15:41:43
Name 에버그린
File #1 51c86d1f87281c3289cd5c98d44e76bb.jpg (1022.7 KB), Download : 44
File #2 f6b54212ccf8da409a5017c5a045d94d.jpg (437.9 KB), Download : 25
Subject [게임] 8비트 컴퓨터에서 그래픽이 작동하는 방식






신기하네요


번역 : http://www.dogdrip.net/87402263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드래곤
15/12/19 15:45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야...흑
15/12/19 15:51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요즘엔 그런거 없고 메모리를 사러가죠 크크..
마스터충달
15/12/19 15:51
수정 아이콘
뭐라는거야...흨(2)
아리아리해
15/12/19 15:52
수정 아이콘
이과 망했으면
Tyler Durden
15/12/19 15:57
수정 아이콘
새삼 기술발전의 위대함을 느낍니다..
뭐라는거야..(3)
oginkong
15/12/19 16:0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렇게까지 자세히 알려주는데 다들 모른다고 하시면 안심이 되네요 저도 잘모르겠습니다.
신예terran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진심 천재...
결혼해도똑같네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압도적인 메모리로!!!
중년의 럴커
15/12/19 16:07
수정 아이콘
캬 그리운 이야기들이 나오네요.

전 문과지만 당시 저거 달달 외우고 다녔네요. 국내 출시된 컴퓨터중 최초로 스프라이트 그래픽 적용한 기종은 뭘까요?
Eye of Beholder
15/12/19 18:41
수정 아이콘
FC 100이던가요 SPC 1000이던가요..확실히 MSX는 있었는데. 애플은 없었죠.
중년의 럴커
15/12/19 19:14
수정 아이콘
가장 상업적으로 널리 쓴게 MSX기종이었는데 제일 처음 쓴 것은 동양나일론에서 나온 하이콤8 제품이었습니다. 삼성 금성 삼보 동양나일론 한국상역 5개 회사가 교육용 피시 사업 계획에 따라 한국에서 최초로 상업용 피시 출시를 했는데 다 사실 일본및 미국 카피후 개조를 거쳤다고 할 수있죠. 나중에 여기에서 빠진 대우가 실수를 깨닳고 가장 적극적으로 MSX 사업에 참여하여 MSX 기종에서는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였습니다. 당시 스포트라이트 빼고는 다 써봤는데 효성 즉 당시 동양 나일론 제품에만 스프라이트 기능과 관련 베이직 명령어가 있어서 모눈종이에 열심히 도트칠을 하며 16진수로 바꾸고 입력한후 움직이는 것을 보며 신기해 했었습니다
접니다
15/12/19 16:20
수정 아이콘
저는 이런거 스크랩해서 두고두고봅니다
한 1년정도 계속보면 이해되겠죠
자루스
15/12/19 16:30
수정 아이콘
msx 시절 게임을 저렇게 만들었습니다.
왜 그 때 게임을 만들었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그때 만들어봤기 때문에 내가 게임회사를 안 갈 수 있었던 경험이 되었습니다.
게임만들기는 삽질이야
15/12/19 16:33
수정 아이콘
여러분 이해못하는게 이해하는것보다 좋은겁니다. 이해한다면 각종 회사에서 갈려나가고 있는(혹은 갈려나갔던) 개발자란 얘기니까요 ㅠㅠ
Sgt. Hammer
15/12/19 16:38
수정 아이콘
진짜 기술의 발전이 느껴지네요.
저게 그렇게까지 옛날 이야기도 아닌데.
제로로꾸
15/12/19 16:49
수정 아이콘
옛날 얘기 맞아요... 저렇게 겜을 만들던 시절이 1970 후반 ~ 1980 초반이니...
Sgt. Hammer
15/12/19 16:53
수정 아이콘
당장에 저 시대에 코드 짜고 도트 찍던 분들이 살아계시고, 현업에 아직까지 종사하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다른 산업이랑 비교하면 IT 쪽의 발전 속도가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MyBubble
15/12/19 17:05
수정 아이콘
오오.. 스프라이트.. 본문에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은 아니었던거 같지만, 어쨌든 모눈종이에 그림그려서 peep poke 쓰면서 하나하나 옮겼던 생각이 나네요.
타네시마 포푸라
15/12/19 17:10
수정 아이콘
와 이걸 저렇게 풀 생각을 할 수도 있다니 대단하네요. 단순한 메모리를 짤 구조뿐만 아니라 비쥬얼적인 측면까지 제한을 두면서 구현하다니 별 생각없이 보다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포포탄
15/12/19 17:57
수정 아이콘
제가 다니는 대학에서는 요즘 저걸 문이과 상관없이 교양으로 배웁니다..
15/12/19 18:24
수정 아이콘
아. 스트라이프 제네레이터? 이 방법때문에 페르시아 왕자에서도 저런 비슷한 코드가 박혀있었던것 같네요. 신기하네요.
그러고보면 지금 그래픽은 어떻게 구현할지 상상도 안되네요.
F.Nietzsche
15/12/19 19:02
수정 아이콘
흥미롭군요
순규하라민아쑥
15/12/19 19:53
수정 아이콘
저런걸로 야겜을 만들고, 당시 아이들(?!)은 그걸 보고 음흠...
내일은
15/12/19 23:03
수정 아이콘
컴퓨터 학원에서 베이직반 떼고 나서 코볼/포트란 반이냐 기계어반이냐로 진로가 갈리는데 기계어반에서 스프라이트 배우고 바로 코볼반으로 바꿨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0755 [유머] 그거 비밀이었음? [7] 마스터충달6653 15/12/25 6653
260754 [연예인] 팬들한테 그림 선물한 유라.jpg [6] 우리형7880 15/12/25 7880
260753 [LOL] 페이커가 페이커에게 묻다 [3] 어리버리6436 15/12/25 6436
260752 [텍스트] 메리 크리스마스의 유래 [11] 메롱약오르징까꿍7659 15/12/25 7659
260751 [연예인] 슈퍼 이승환.jpg [9] ESBL7056 15/12/25 7056
260750 [서브컬쳐] [덴마/신작 라노벨]가면벗은 찌질이가 내 새로운 주인?! [9] 피아니시모5338 15/12/24 5338
260749 [유머] 자유선언 주먹이운다 이런 것도 있네요 [7] ohmylove6774 15/12/24 6774
260748 [연예인] 첫판부터 장난질이냐? [5] 이야기속으로6386 15/12/24 6386
260747 [서브컬쳐] 노래로 삼각함수롤 배워보아요. [4] 에버그린3586 15/12/24 3586
260746 [스포츠] 똘끼 대장 더썬.jpg [8] 앙토니 마샬8089 15/12/24 8089
260745 [서브컬쳐] 수학에서 왜 문자를 사용하나요? [1] 에버그린3723 15/12/24 3723
260744 [유머] OCN에서 1시간 후에 호그와트로 떠나는 기차가 출발합니다. [10] 어리버리5742 15/12/24 5742
260743 [연예인] 가수 이승환 [28] 배주현10899 15/12/24 10899
260742 [기타] 크리스마스 OCN 편성표.jpg [2] 긍정_감사_겸손5960 15/12/24 5960
260740 [기타] 체질의 관한 질실. [49] 배주현9824 15/12/24 9824
260739 [유머]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회자되는 한 고등학생의 고백 [10] ohmylove10388 15/12/24 10388
260738 [기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가 추적하는 남자 [15] ramram7353 15/12/24 7353
260737 [연예인] 윾쾌한 안형 [4] 초아5640 15/12/24 5640
260736 [유머] 크리스마스는 하니와 함께 [11] 에버그린6261 15/12/24 6261
260735 [기타] [혐오주의??] 동심파괴 甲 [6] 초아7122 15/12/24 7122
260734 [기타] 스텝 좀 밟아본 수민이 [10] 초아6607 15/12/24 6607
260733 [연예인] 메리크리스마스~ [4] 삼비운5003 15/12/24 5003
260732 [기타] [스베누] 점입가경, LOL처럼 재평가의 장?, 점점 더 미궁속으로...!! [15] 초아9089 15/12/24 90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