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8/24 18:46:09
Name
File #1 fedf0e86c7be128082d6085df377cbd8.jpeg (96.7 KB), Download : 48
Subject [기타] 수저 구분별


질문게시판보고 올려봅니다

그저 눈물만 주르륵..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쿠만사
15/08/24 18:46
수정 아이콘
내가 흑수저라니...ㅠㅠ
15/08/24 18:48
수정 아이콘
자산 플라스틱 수입 동이면 중간수저인 놋으로 쳐주나요?
15/08/24 18:49
수정 아이콘
또는 이라고 써있으닌깐 동수저 아닐까요?
Scatterbrain
15/08/24 18:49
수정 아이콘
'또는' 이니까 수입 동이면 동수저겠네요.
나이스데이
15/08/24 18:52
수정 아이콘
흙수저는 흙흙하고 웁니다...
15/08/24 18:53
수정 아이콘
빚도 자산이라고 그러던데 말이죠 여기서도 적용됩니까?
15/08/24 18:54
수정 아이콘
저 %는 신빙성이 있는건가요.
15/08/24 19:01
수정 아이콘
별로 없어 보이는데 총 인구라고 하니... 일단 세금 내는 사람 중 %로는 택도 없고요, 비 경제활동 인구까지 집어넣어서 %로 따지면... 그래도 버거울 것 같은데;
솔로10년차
15/08/24 20:54
수정 아이콘
앞의 내용은 가구를 기준으로 한 것 같은데, 뒤의 %는 수입을 기준으로 한 느낌입니다. 대충 2배로 뻥튀기하면 개인당 기준이 될 듯하고, 비경제인구를 제외한다고 하면 4배정도로 뻥튀기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제이슨므라즈
15/08/24 18:54
수정 아이콘
흙수저가아니라 노수저 손가락, 혹은 그이하 네요
15/08/24 18:55
수정 아이콘
외국에선 은수저냐 아니냐 하고 말던게 우리나라에선 수저도 계급을 나누고 자빠졌으니...
Shandris
15/08/24 19:00
수정 아이콘
원래 표현이 은수저 밖에 없는거죠...발렌타인 데이 들어오자 무슨 데이 무슨 데이 만들어내는거랑 비슷한거 아닐까 합니다.
하정우
15/08/24 18:56
수정 아이콘
열심히 노력하신 부모님덕에 은수저는 물고있나보네요.
지나가다...
15/08/24 18:56
수정 아이콘
흙수저면 도자기인가효?
15/08/24 18:57
수정 아이콘
흙수저네요.. ㅠ
낭만토스
15/08/24 18:58
수정 아이콘
뭐여 플레기가 다야보다 높네요?

저는 심해입니다
15/08/24 18:58
수정 아이콘
빚도 자산입니다.
뱃심만 있으면 가난해도 놋수저는 가난합니다. 덜덜
15/08/24 18:58
수정 아이콘
연수입에 대한 평가가 굉장히 후하네요 돈벌다보니 수입보단 얼마를 갖고 시작하느냐가 중요하던데..
15/08/24 18:59
수정 아이콘
본문과 관계없이 게이머 입장에서는 다이아<플래티넘 인게 굉장히 신경쓰이네요 크크
15/08/24 19:04
수정 아이콘
롤도심해 수저도심해
스타트
15/08/24 19:05
수정 아이콘
자산이랑 연수입이랑 별개 아닌가요 크크
순살치킨
15/08/24 19:06
수정 아이콘
애초에 게이머가 아니더라도, 당연히 플래티넘보다 다이아가 훨씬 비싼거 아닌가요?
그리고 은수저부터 너무 기준이 확 내려가는듯..

인당 수입도 아니고, 가구당 수입이면 대기업이상 맞벌이는 저거 충족하는 사람들 꽤 있어요
자산과 수입이 '또는' 이 아니라 '그리고' 가 되야 맞다고 봅니다.
착한 외계인
15/08/24 19:07
수정 아이콘
실제 두 광물의 가치나 희소성의 차이는 모르겠지만
이미지 느낌상으로는 다이아몬드 수저랑 금수저 차이가
그리 크게 나지 않는 것 같네요.;;
LoNesoRA
15/08/24 19:10
수정 아이콘
흙흙흙흙 ㅠㅠㅠㅠ
15/08/24 19:12
수정 아이콘
수입은 금수저 자산은 동수저인데 체감은 놋수저(상위 10%)안될거 같은데...
김성수
15/08/24 19:13
수정 아이콘
흙구루루 ㅠ_ㅠ
연수입 따질 것 없이, 자산부터 마이너스-_-.... 나중에 플라티늄 꼭 찍어 보겠습니다.
tannenbaum
15/08/24 19:14
수정 아이콘
퍼센트가 좀 이상한거 같은디.....
순자산인지 걍 자산인지 알랴주지 좀

어찌 되었던 저는 놋수저~~
겜알못
15/08/24 19:17
수정 아이콘
흘규흘규ㅠㅠㅠ
Darwin4078
15/08/24 19:18
수정 아이콘
금수저에 기역도 모르는 사람이 만든거 같네여.

금수저이냐, 아니냐의 차이는 연수입, 자산이 문제가 아니라
불로소득이 일정수준 이상일때, 그리고 그 불로소득이 바탕이 되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하나도 없는 사람을 금수저라고 하져.
아무리 전문직이 매출이 높다고 해도, 그게 지속이 안될거라는걸 잘 알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항상 있죠.
하지만 금수저들은 그런 걱정이 없어요. 그냥 써요.

그네들의 걱정은 매출이 아니고, 지금 있는 거를 어떻게 잃지 않는가가 최대의 관심사죠.
그래서 재산증여, 상속에 목을 매고, 세무조사의 표적이 되지 않기 위해 몸부림을 치고...
15/08/24 19:38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표요. 단순 액수보다는 구성의 질(?)이 중요하죠. 연소득 3억이상 전문직 상위라고 해봐야 당장 내가 일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갑갑해지는거죠. 근로소득 2억보다 금융소득 1억이 금액은 더 적어도 여러모로 낫다고 봅니다. 플래티넘은 자산과 연소득비가 금리비슷하니 납득이 되는데 아래는 밸런스가 영 아니네요.
15/08/24 19:19
수정 아이콘
동수저는 몸에 해롭지 않나용
사티레브
15/08/24 19:26
수정 아이콘
수저가 없고 손밖에엄서요 ㅠㅠ
다비드 데 헤아
15/08/24 19:29
수정 아이콘
난 왜 수지 구분법으로 보고 들어왔을까
정지호
15/08/24 19:31
수정 아이콘
플래티넘보다 다이아몬드가 훨씬 비싼데...뭐 의미없죠
리비레스
15/08/24 19:33
수정 아이콘
은수저 물고 있는데 별로 실감은 안나는
아케르나르
15/08/24 19:38
수정 아이콘
흙수저보다 나무수저로 합시다.
배두나
15/08/24 19:39
수정 아이콘
연수입 8000+에서 은수저라니.. 동의 못 합니다..
공허진
15/08/24 19:46
수정 아이콘
흙수저라기 보다는 그냥 맨손...
나이키스트
15/08/24 19:54
수정 아이콘
챌린저는없나요!?
불판배달러
15/08/24 20:13
수정 아이콘
연소득 대신 금융소득이면 인정합니다.
DogSound-_-*
15/08/24 20:28
수정 아이콘
전 나마스떼 네요ㅠ
내일은
15/08/24 20:37
수정 아이콘
손으로 흙퍼먹고 있네요
15/08/24 21:29
수정 아이콘
가구 연수입 5500이면 상위 7.5% 맞나요? 1인 기준으로 5500은 되어야 상위 7.5% 아닌가요? 가구 기준이 맞으면 맞벌이하는 부부들은 대부분 상위 7.5%가 될텐데, 믿을수가 없네요..
언뜻 유재석
15/08/24 21:33
수정 아이콘
인도사람 찾으신다기에 와봤습니다.
15/08/25 00:52
수정 아이콘
다이아 수저 : 물건을 살때 가격을 보지 않음. 롤스로이스건 나발이건
플래티넘 수저 : 물건을 살때 가격을 보지 않음. 단, 억대 물건은 좀 신경 씀

이정도는 되어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51387 [연예인] 납뜩이와 봉선이 [5] 좋아요5957 15/09/18 5957
251386 [기타] 진정한 의느님 [20] 싸우지마세요8896 15/09/18 8896
251385 [스타1] 테란전 전진 2게이트 조기에 발각되면 망하는줄 알았는데...avi [6] SKY926008 15/09/18 6008
251383 [연예인] 에이핑크 윤보미 [4] 좋아요4578 15/09/18 4578
251382 [동물&귀욤] 정교한 CG처리.gif [3] 길갈5830 15/09/18 5830
251381 [스타1] 김택용 듀토 최종전에서 임요환 이기던 시절.avi [7] SKY925141 15/09/18 5141
251380 [스포츠] 고척돔에 대한 오해 .jpg [31] 아리마스10804 15/09/18 10804
251379 [스타1] 최정상 프로게이머 홍진호 [77] Perfume12865 15/09/18 12865
251378 [연예인] 배우 김성균 단평 [9] 좋아요8584 15/09/18 8584
251377 [서브컬쳐] 2차원세계의 인구분포 [9] 짱구4769 15/09/18 4769
251376 [스타1] 12년전 소문난잔치에 먹을게 엄청 많았던 조.jpg [43] SKY929177 15/09/18 9177
251375 [기타] 인도의 Bad Girl [31] iAndroid7845 15/09/18 7845
251374 [동물&귀욤] 싱크홀 희생자 구출장면.gif [13] 길갈6581 15/09/18 6581
251373 [유머] 예술가 피지알러 [8] 팔라듐 리액터5379 15/09/18 5379
251372 [게임] 야만 유저 히틀러 [5] 배두나5217 15/09/18 5217
251371 [LOL] 게임회사 직원은 근무시간에 게임해도 되나요? [29] DANKAN9523 15/09/18 9523
251370 [스타1] 박용욱 해설이 진심 열받은 테테전.avi [5] SKY926042 15/09/18 6042
251369 [방송] 정화통 머리위로 올립니다. 실시. [9] hoho9na6175 15/09/18 6175
251368 [유머] 여친에게 차인 남자가 복수하는 이야기.jpg [21] 마스터충달9727 15/09/18 9727
251366 [기타] 오늘자 클로져 이상용 #617 - 수정 완료 [8] 빠독이3759 15/09/18 3759
251365 [유머] 오타확률 99% 단어.jpg [118] 사탄10288 15/09/18 10288
251364 [스포츠] 주모오오오오!(손흥민) [19] 이홍기11043 15/09/18 11043
251363 [기타] 배타보고 싶어서 탔다가 지옥경험한 이야기.txt [14] Anti-MAGE8451 15/09/18 84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