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5/05/03 20:22:07
Name Cliffhanger
File #1 캡처.PNG (233.6 KB), Download : 40
Subject [유머] 어렸을 때부터 수학이 싫었던 이유


'그냥'
'그렇게 배워서'
'이유가 어딨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5/05/03 20:27
수정 아이콘
홍시맛이 나서 홍시맛이 난다 했는데 왜 홍시맛이 나냐고 하시면 전 뭐라고 답해야할지 모르겠사옵니다
15/05/03 20:42
수정 아이콘
18!
15/05/03 20:44
수정 아이콘
사실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서를 읽어 보면 교과서와 그 교육 커리큘럼은 정말 학자들이 어마어마한 고민으로 정말 말도 못 하게 훌륭하게 만들었다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지도 방법이 현실적문제+교사들 자질 문제 등으로 그렇게 배우지 못 한 세대들이 다수니 아마 저런 내용에 의문점을 가지는 것도 당연하다고 생각하구요. 요즘은 나아졌을라나 모르겠네요.
Cliffhanger
15/05/03 20:51
수정 아이콘
본문과는 관계없지만 한국 교육과정 자체는 매우 효율적이죠. 세계 각국에서도 관심을 많이 갖고 있고, 동남아나 아프리까 쪽 말고도 동유럽쪽에서 와서 배워가기도 합니다. 항상 지적받는 몇가지 사항 개선하고 장기적인 입시제도 확립만 되면 좋을텐데, 그게 어렵네요.
LoNesoRA
15/05/03 20:54
수정 아이콘
교양 과목에서 주워들은 얘기긴 한데

교육제도는 정말 훌륭한데

그걸 학벌주의가 다 말아먹는다라죠
15/05/03 21:12
수정 아이콘
최근의 진짜 문제는 학벌이 아니죠.
키르히아이스
15/05/03 21:15
수정 아이콘
사회적인 문제가 교육문제와 학벌주의로 표출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좋은 학벌을 가지지 못하면 먹고살기 참 피곤해지는 세상이니...
Special one.
15/05/03 22:03
수정 아이콘
교육의 끝이 먹고 살기 위한 타이틀을 따기 위해 벌이는 1점승부이기 때문에 중간에서 아무리 용써도 안되는건 안되죵~.
개고기라면
15/05/03 22:49
수정 아이콘
글쎄요 마침 수학이 글 소재라 제 생각을 설명드리면..
사실 교육과정은 거진 미국거 어레인지 한거라 고민의 질이 어떨지는 모르겠고요.. 교과서는 항상 선진(?)적인 교육과정과 검인정의 벽에 놓인 출판사들의 보수적 스탠스 덕분에 발전되는건지 마는건지 하고.. 개인적으로 점점 산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사실 눈에 띌 정도로 발전된 영역이 교사 자질(?)입니다. 문제는 초임교사들이 배워온 것들을 실현할 환경도 안되어있고(행정업무, 학부모, 입시.. 말해봐야 입아프죠).. 교육학이라는 것이 지역적인 영향도 매우 큰 학문인데 연구자들 토대 자체가 아직 미약하죠. 다른 과목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수학교육은 이제사 틀을 잡아나가는 판이니..

물론 긍정적인 방향으로 여전히 나아간다는 점에서 충분히 이바닥에 발담그고 있는 보람은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우리때보다는 수학을 보다 재밌어했으면 하네요.
15/05/03 23:45
수정 아이콘
한국 교육과정에 대한 의문과 정말 발전한것은 교사의 질이라는것에 동의합니다. 사실 교육과정에 나름 공은 들여놨지만 교과간 연계도 전혀 고려가 안돼있을 뿐더러(삼각함수가 중3 수학에서 다뤄지는데 이미 과학에는 중1때 적용되고 있다든지) 거진 2년마다 교체되고 있는데 발전적인지는 회의가 들고(국어의 경우 성취기준을 너무 통폐합해놔서 뭘 빼고 더해야할지 오히려 혼란) 오히려 개별학교마다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도록 권장하는것이 요새 추세이지요. 교사의 질은 임용고사가 실시된후 꾸준히 상승하고있습니다. 교사 선발에서 점점 더 경쟁이 심화되고있거든요.
에이멜
15/05/04 00:32
수정 아이콘
그 커리큘럼은 각국의 자료를 짜집기 한 것에 불과하고 그나마 세계적 추세와도 거리가 있으며 실제 수업현장에 대한 고민은 거의 들어있지 않습니다. 게다가 교과서는 여러개가 난립하는데 집필하는 집단은 고정되어 있다 보니 교육과정 개정이 되어봐야 교과서는 내용과 구성이 바뀌질 않습니다. 교육과정을 어느쪽으로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학계에서 공감대가 형성되지도 않는데 수시개정이랍시고 심심하면 갈아엎는 교육과정 클라스. 삼위일체죠.

한국 수학의 높은 성취수준은 동아시아 특유의 높은 학구열이 캐리하는 거죠. 나머지는 뭐 없습니다.
15/05/04 11:15
수정 아이콘
교사의 자질 문제라고 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차피 우리나라에서 연구(study)를 시작하는 경우도 거의 없고 외국 학회에서 들은 내용을 사용하는건데, 실정을 고민하지 않고 좋을 법한 거 마구 집어넣는게 진짜 훌륭한 일인지도 의문이고요. 외국이 어찌 돌아가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바는 없지만 최근 10년간은 많이 유능한 사람들이 교사로 들어왔죠. 대부분의 교사가 상위 5% 안에 드는 나라는 한국을 빼면 별로 없을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41684 [유머] 매드맥스 조센로드 [6] legend5736 15/05/26 5736
241683 [유머] 중세시대의 고백법.txt [24] legend11995 15/05/26 11995
241682 [유머] pgr 공식 웹툰으로 지정해주세요 쏘쏘3360 15/05/26 3360
241681 [유머] 윈도우 역사(~7까지) [10] DogSound-_-*4692 15/05/26 4692
241680 [유머] 최근 구구콘 모델된 EXID.JPG [15] Anti-MAGE7258 15/05/26 7258
241679 [유머] 에이핑크 듀오&유닛 설명서(설명충버전-_-a) [13] 좋아요5300 15/05/26 5300
241678 [유머] 나 좀 천재인 듯? [3] 좋아요5551 15/05/26 5551
241677 [유머] KBL판 역시 형이야 구하러왔구나 [14] style6386 15/05/26 6386
241676 [유머] 겜덕 아재들은 이 화면만 보고도 설레였었다.avi [15] 파란만장5873 15/05/26 5873
241675 [유머] 내일 아침 [8] 짱구4364 15/05/26 4364
241674 [유머] 이거 안봤으면 아재 아니죠.jpg [12] 삭제됨4870 15/05/25 4870
241673 [유머] [LOL] 충격! 프로게이머 또다시 뉴스에 등장! [15] No.106203 15/05/25 6203
241672 [유머] 우리 감독님은 조작할리가 없어.jpg [19] Chasingthegoals8940 15/05/25 8940
241671 [유머] 아재들 첫사랑.....jpg [42] 파란만장11092 15/05/25 11092
241670 [유머] 신체소유권이 없는 윤보미 [11] 좋아요7572 15/05/25 7572
241669 [유머] 냉장고를 부탁해 보다가 생각난 프로 [13] 강가딘8190 15/05/25 8190
241668 [유머] 압도적인 걸스데이 [19] 좋아요8862 15/05/25 8862
241667 [유머] [해축] 앙리 시즌2.gif [17] 시나브로6010 15/05/25 6010
241666 [유머] [만화계층] 꼭두각시 서커스에서 간지와 감동을 담당하는 그들 [22] 탈리스만8946 15/05/25 8946
241665 [유머] [스타2] 관문투척 . avi [5] 길바닥2824 15/05/25 2824
241664 [유머] 롤 보다 더 어려운 팀게임 . jpg [39] 길바닥8361 15/05/25 8361
241663 [유머] [계층] 아-----앙? . swf [7] 길바닥3014 15/05/25 3014
241662 [유머] bgm] 이마트 야채코너.jpg [13] 하루일기6013 15/05/25 60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