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0/01 11:28:43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m.blog.naver.com/supremee13/223225505209
Subject [일반] <아키라> - 분위기로만 내달리는 오리지널의 힘.
<아키라>는 저에게 그러니까, 최근 세대가 <매트릭스>를 보는 것과 유사한 느낌이었습니다. 많은 오마쥬들을 보고 또, 영화에 자리잡은 아이디어와 생각들을 발전 시킨 다른 영화들을 많이 본 상황에서 접하게 된 ‘오리지널’이라는 측면에서 저는 <아키라>에 대해서는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느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아키라>를 보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이 영화가 얼마나 ‘날 것’ 혹은 ‘정제되지 않은 에너지’를 지니고 있느냐에 대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점은 다른 컬트의 고전과도 비슷한 느낌이기도 한데, 영화 자체가 나중에 보니 편집과 생략이 많이 된 각색본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런지 영화 자체가 잘 갖춰진 뼈대 위에서 작동한다기 보단 강렬한 에너지로 서사를 뚫고 나가는 느낌이 강렬합니다.

강렬함, 그리고 80년대 버블경제와 재패니메이션의 일종의 정점을 향해 가는 분위기가 결합된 이 영화는 그렇기에 상당히 많은 호불호를 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당시 사람들이 받았던 ‘충격’은 지금 다시 봤을 때 느끼기엔 많이 아쉬운 영화라고 생각해요. 대신 남는 건 그 분위기와 일종의 나른함과 강렬함이고, 이 부분에서 현재의 관객들이 느끼기엔 호불호가 갈릴 것 같습니다.

<아키라>를 들여다보면 상당히 많은 것들이 보입니다. <메트로폴리스>나 <블레이드 러너>, 혹은 게임 <사이버펑크>의 비주얼, <파이트 클럽>의 폭력성과 파괴, <크로니클>의 서사와 폭발하는 소년이라는 측면 등등.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영화에서 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굉장히 인상적인 영화는 아닐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손금불산입
23/10/01 12:18
수정 아이콘
명작은 시대를 가리지 않는다는 말이 있고 실제로 그렇게 느껴왔는데 개인적으로 아키라는 이상하게 안읽히더라구요... 결국 끝까지 못봤습니다. 위와 같은 영감들을 받지 못해 아쉬워요.
aDayInTheLife
23/10/01 13:11
수정 아이콘
저는 애니였는데.. 흐음 솔직히 지금의 관객이 보는 건 좀 느낌이 다를 것 같아요. 물론 저는 블레이드 러너나 사랑은 비를 타고, 찰리 채플린 영화들도 즐겨보긴 했지만 크크
결국 서사의 알맹이는 조금 약한 부분이 있고, 연출적 측면에서의 시대를 앞서간 부분은 어느 정도 시대 보정, 뇌이징을 해야해서 그러셨을 수 있을 거 같아요. 크크
Myoi Mina
23/10/01 12:20
수정 아이콘
저 당시 오토모 카츠히로는 그 만신인 데즈카 오사무조차 질투하게 만들정도로 천재로 불렸었죠.

아키라의 충격도 엄청났었지만,환마대전에서의 오토모의 연출이 지금까지 쓰이고 있으니....(능력자들의 힘 방출할때의 연출 등등)

이런 아키라를 한국에 들여와서 방영할 생각을 한 백일섭옹은 대체...(한국에서 홍콩에서 만든 애니메이션이라고 거짓말하고 들여왔다가 바로 들통나서 전부 극장서 내려갔었죠... 폭퐁소년)
aDayInTheLife
23/10/01 13:12
수정 아이콘
근데 그 시절에 일본 애니 닉네임 떼고 봐도 충격적 비주얼과 전개땜시 크크크
switchgear
23/10/02 00:02
수정 아이콘
전 내리기전에 봤습니다 크크크 그게 백일섭옹 덕분이었군요.
Myoi Mina
23/10/02 00:03
수정 아이콘
솔필름이라는 영화사 차렸다가 이 껀으로 문닫은걸로 압니다 크크크크
쪼아저씨
23/10/02 12:07
수정 아이콘
저도 극장서 봤는데 조그만 티비로만 보다가 충격이었죠.
만찐두빵
23/10/01 12:40
수정 아이콘
오프닝 바이크씬은 지금도 몇번씩 돌려봅니다.
aDayInTheLife
23/10/01 13:12
수정 아이콘
크으 수많은 오마주를 만든 명장면!
forangel
23/10/01 12:44
수정 아이콘
비디오 테이프로 자막도 없는걸 작은 15인치?정도 되는 티비로 처음 봤고,
그 다음은 폭풍소년 이라는 제목으로 개봉첫날 극장에서 봤었습니다.
중고등학생 관람가였는데 잔인하거나 선정성이 있으면 다 칼질 당하던 검열의 시대에
젓가슴도 나오고 잔인한 장면도 전혀 칼질 안한 상태여서 상당히 놀랐었네요.
그리고 딱 그 다음주에 불법우회 수입했다면서 내려갔구요.
일본만화가 불법으로 만화방에 범람하던 시기이기도 해서 이때 원작만화도 풀렸었죠.
aDayInTheLife
23/10/01 13:13
수정 아이콘
여기는 아무래도 사이트가 사이트..다 보니 원작을 제때보신 분들이 크크크
23/10/01 13:16
수정 아이콘
폭풍소년 만화책으로 접하고 만화책보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충격을 받았습니다. 특히 배경의 그 영화같은 정교함이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거보고 정말 만화를 이런식으로도 그릴수가 있구나라고 느꼈네요.
aDayInTheLife
23/10/01 22:10
수정 아이콘
작화가 지금 나와도 인상적이더라구요. 디테일이나 과감한 구성에서..
아이폰12PRO
23/10/01 13:24
수정 아이콘
영화버전 작화 지리는거 인정하는데 재미는 좀 오묘합니다.
최근에 완전판 느낌으로 만화책으로 나온거 사서 읽었는데 원작(만화책)이 훨씬훨씬 좋더라구요.
기회되시면 한번 보시는것도...
Myoi Mina
23/10/01 16:22
수정 아이콘
일본 극장판 애니에서 벌어지는 흔한 문제점인데..

원작을 너무 압축을 하다보니,스토리가 애매해지는 상황이....

차라리 tv나 OVA로 발매했다면 좋았겠지만, 그럼 저런 퀄리티를 못뽑아냈겠죠..
aDayInTheLife
23/10/01 22:10
수정 아이콘
영화는 솔직히 정서 내지 분위기로 조지는(?) 영화긴 했죠 크크크
마스터충달
23/10/01 1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만화와 애니를 비교해 보면 큰 틀에서 주제 의식을 공유할 뿐 내용이 많이 다르죠. 근데 이건 애니 입장에서 하는 말이고, 만화 입장에서는 "넌 왜 내용을 듬성듬성 빼먹고, 결말까지 날림으로 해 먹냐?"라고 해도 인정입니다. 물론 애니 입장에서는 "너도 그거 2시간 만에 풀어 내봐 T발아! 난 F거등?" 할 자격이 있는 것도 사실이고요.

애니 아키라의 미덕은 이미지(심상)를 관객의 머릿속에 제대로 박아놨다는 데 있습니다. 그게 이후 수많은 작품에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지금 봐도 여전히 생경하고 그로테스크하게 느껴질 정도로 독특한 면이 있죠. 사이버펑크가 아직 제대로 정립되지도 않은 시절에, 이걸 넘어 사이코펑크를 구현해 낸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면에서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비슷한 작품이라고 봅니다. 비교하자면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능력은 두 영화가 동급으로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서사와 철학적 깊이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가 낫고, 신선함이나 충격은 <아키라>가 더 낫다고 생각해요.
Myoi Mina
23/10/01 16:25
수정 아이콘
내용도 듬성듬성인데, 캐릭터 비중이나 컨셉도 바뀐 경우가 많죠.. 아키라는...

조커나 미야코는 차라리 등장 안하니만 못한..
aDayInTheLife
23/10/01 22: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둘 다 공부하는 자세로 본 영화는 맞습니다만,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의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훨씬.. 그냥 더 재밌게 봤거든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10/01 18:30
수정 아이콘
학생때 관련 소양이 없는 상태에서 친구들과 감상회 했었는데 뻥안치고 저포함 모두 보다가 졸았습니다 크크크 돈과 인력을 갈아넣은 티가 확실한 임팩트 있는 씬은 꽤 있는데 이상하게 몰입이 안되고 졸음이 자꾸...
aDayInTheLife
23/10/01 22:12
수정 아이콘
묘하게 영화가 나른하기도 해요 크크크 폭발 직전의 고요함? 나른함이 묻어 있다고 해야할까요.
23/10/01 18: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무래도 한 장르의 효시라는게 그 장르가 정립될대로 정립된 뒤에 보면 그 충격이나 감동이 좀 희석되는 감은 어쩔 수 없이 존재하기는 합니다. 위에 댓글에 다른분도 말씀하셨습니다만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가 그런 작품이고 아키라 또한 장르는 다르지만 맥락은 같다고 봐요.

장르가 또 다르게 튀기는 하는데, 예를 들어 야겜계에서 소위 최루물이라 불리는 장르(플레이어의 눈물샘을 뽑아내는 장르)의 효시가 one 빛나는 계절로-카논-에어로 이어지는 key의 일련의 작품들이고 그 중에서도 발매시기로 보면 one이 장르의 개척자 쯤 되는데, 아무래도 98년도 게임이라 이제와서 그 게임을 다시 해봐도 당시 느꼈던 감동은 좀 덜해지기 마련이거든요. 당시 전 진짜 물리적으로 울면서 클리어했는데(…) 지금와서 이번에 나올 리메이크작을 해본다 해도 그때의 그 감정까지는 느끼진 못할 것 같아요.
aDayInTheLife
23/10/01 22:12
수정 아이콘
아니 다 좋은데 왜 하필 야겜… 은 저는 아무것도 진짜 몰라서 크크크
23/10/02 13:40
수정 아이콘
사실 고백하자면 약간 노렸습니다 크크크크크
aDayInTheLife
23/10/02 13:55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23/10/01 23:58
수정 아이콘
같은 작가의 동몽(童夢)도, 그 연출이나 초능력의 표현 방식 같은 것들이 대단했다는 것은 머리로 알겠는데 내용이 막상 재밌냐고 하면 좀 애매하더군요. 제가 너무 늦게 봐서 그럴수도 있고요.
aDayInTheLife
23/10/02 04:06
수정 아이콘
그럴 수 밖에 없지 않나 싶어요. 결국 지금과 그때는 다를 수 밖에 없어서..
그레이퍼플
23/10/03 07:03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 90년대 초, 애니를 시작으로 게임, JPOP등 몰래몰래 들어오던 일본 문화는 정말 매력적이었죠.
아키라는 그 중에서도 뭔가 80년대 일본 애니의 정수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긴 하지만, 처음 볼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재미는 없더군요.
그런데 이런 재미를 떠나 지금도 볼때마다 일본 문화를 신비하게만 바라보던 그 당시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 좋아합니다.
aDayInTheLife
23/10/03 10:06
수정 아이콘
생경하면서도 익숙한 맛이 있는건 아닐까 하고 생각이 드네요.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게 일본이라 그런 건 아닐까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014 [정치] 오늘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일 입니다. [122] Croove16181 23/10/11 16181 0
100013 [일반] 조기영어교육 시켜야할까? 아동 외국어습득에 대한 이론적고찰 [56] 숨고르기10379 23/10/11 10379 15
100012 [일반] 신형 PS5 출시(Slim?) [35] 조선제일주둥이10138 23/10/11 10138 0
100011 [일반] 하마스가 이스라엘 아기들을 참수했다는 소식입니다 + 바이든 오피셜은 오보 [393] 고세구29464 23/10/10 29464 17
100010 [일반] 영어유치원이 효과가 있을까 [54] 유랑11603 23/10/10 11603 0
100009 [일반] 덕후가 말리는 사람 없으면 영화가 산으로 간다 크리에이터 감상 스포 다 PENTAX8391 23/10/10 8391 2
100007 [일반] 뉴욕타임스 10. 4. 일자 기사 번역(미국인은 교사가 되기를 원치 않는다.) [16] 오후2시9868 23/10/10 9868 5
100006 [일반] 학폭 고발 표예림 씨, 부산서 극단적 선택 추정 숨진 채 발견 [29] 로켓14624 23/10/10 14624 3
100005 [일반] 서이초 사건이 결국 고구마엔딩이 되나 보네요... [85] 철판닭갈비18670 23/10/10 18670 7
100004 [일반] 키프텀의 등장으로 킵초게가 가장 위협받는 부분 [26] 우주전쟁11440 23/10/10 11440 9
100003 [정치] 尹, 역대 최대 순방비 다 쓰고…예비비 329억 또 편성 [128] 빼사스20007 23/10/10 20007 0
100002 [일반] 43살에 결혼하고 1년이 지났습니다. [25] 43년신혼1년17254 23/10/10 17254 45
100001 [일반] 오퍼레터를 많이 받을수록 불행해진다 : 선택의 역설, 잼, 그리고 초콜릿 [26] 삭제됨13584 23/10/09 13584 28
100000 [일반] 주말에 재미있게 달린 서울달리기 하프마라톤 대회 후기 [25] insane10456 23/10/09 10456 8
99999 [정치] [단독] "선관위 北해킹 정황 없지만 취약…사전투표 폐지해야" [123] 기찻길18256 23/10/09 18256 0
99998 [일반] 한글날 전 날에 태극기 불태운 디시유저 [52] 졸업14408 23/10/09 14408 8
99997 [일반] (초스압, 극한데이터!)흔한 여행객의 여행 사진 [8] aDayInTheLife9369 23/10/09 9369 7
99995 [일반] 하 하 하 하 한글날입니다. 닉을 바꾸시죠. [94] 닭강정9040 23/10/09 9040 4
99994 [일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전쟁으로 치달았습니다. [271] 계층방정33124 23/10/08 33124 7
99993 [일반] [웹툰추천] <꼬리잡기> [15] 탄단지9029 23/10/08 9029 2
99992 [정치] 윤 대통령, 신원식 · 유인촌 장관 임명…김행도 임명할 듯 [88] 덴드로븀16524 23/10/07 16524 0
99991 [일반] 강추하는 완결 웹툰 -평행도시 [16] lasd24112086 23/10/07 12086 5
99989 [정치] 높은 투표율로 강서구청장 재보선 사전투표가 끝났습니다. [56] DownTeamisDown15166 23/10/07 151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